요즘에 현장가면 찌맞춤(새봉돌로) 다시합니다.. 일단 찌를 구입하면 집에있는 수조통에서 찌맞춤하고 현장에서 사용하는데요..
수조통에서 찌맟춤하고 현장에서 수심체크하잖아요?
수심체크시 채비와 찌가 가까울때 투척시 찌가 누워버리는게 맞나요??
찌가 가라앉아야 수심체크하면서 서로간에 간격을 조정하면서 수심을 맞추는게 맞는거 아닌가요??
머가 잘못된건지 모르겠네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만약에 가라앉으면 수조통에서 찌맞춤이 잘못 될수 있습니다 수조통 지름이 작은것이면 표면장력으로 인해 찌가
수조통에 붙어 잘못 찌맞춤이 될수있습니다
수도물로 찌 맞춤하면 100% 현장에서 가라앉습니다
찌에 봉돌만을 달고 하는지 바늘까지 다는지...찌톱의 어느 부분을 수면과 일치시키는지...
일반적인 바닥낚시의 경우 찌맞춤시 바늘을빼고 봉돌만가지고 찌맞춤을 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바늘까지 결속해 찌맞춤을 해도 관계없습니다.
찌맞춤통에 넣고 찌가 서서히 올라와 수면과 일치되면 됩니다.
혹은 서서히 가라앉아 뜨지않아도 관계없습니다.
하지만, 찌가 눕거나 찌가 계속 몸통부위가 보인다면 봉돌이 상당히 가벼운상태입니다.
대부분 수조에서 맞춰놓은 상태로(약간 무겁게) 그대로 현장에서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생각합니다.
이유는...바닥낚시라는 것은 두바늘과 봉돌까지 모두 바닥에 닿은상태의 낚시입니다.
이것을 붕어가 물었을때 찌는 올라오는 것이지요.
그러므로 어느정도의 무게는 충분히 붕어가 감당을 합니다.(대개의 토종붕어)
*추가
대물낚시라 하여 특별한 찌맞춤은 없습니다.
하지만 말 그대로 대물이란 월척이상 사짜 오짜의 붕어를 잡기위한 채비입니다.
그러므로 잔씨알의 입질은 무시되도 된다라고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그런이유로 대물낚시라는 찌맞춤은 찌맞춤통에 찌와봉돌을 달고 넣었을때 어느정도의 속도를 내며 내려가야 합니다.
물론, 찌는 뜨지않습니다. 찌 또한 어느정도의 부력이 있고 긴것을 많이 사용합니다.
월척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