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제 경우 한번 맞춤하면 수심히 비슷한 곳에선 하지 안고요
수심히 특별히 많이 차이나거나 입질이 너무 예민할시 평상시 핀도레를 사용하기 때문에 쇠링을 추가하거나 빼거나 하여 상황에 맞게 대처를 합니다
저수심이나 비슷한 수심에서는 한해 찌맞춤 신경 안쓰고 낚시를 하는데요 조과에 차이를 못느끼고 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찌맞춤에 비중보다는 포인트와 미끼가 조과에 더 큰 영향이 있다는 개인적인 확신으로 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물론 노지기준입니다
한 예로 친구와 낚시를 하느중 저는 표준 찌맞춤 친구는 고부력 풍덩 채비인데도 같은 떡밥미끼에 친구에 찌를 쭉쭉 올려주더군요 ^^
전에는 민물낚시에서는 모노줄만사용했는데
요즘들어 카본줄을 많이 사용합니다.
모노와 카본줄과 어느것이 좋고 나쁨을 떠나서(논쟁의 대상이 됩니다) 저는 모노줄만을 사용합니다.
이유는 줄의 비중이 최초 찌맞춤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기때문에 단한번의 찌맞춤으로(상황에따라 쇠링으로 가감적용)
낚시에 임합니다.
카본줄의경우는 수심에따라 뒷줄의 영향으로 찌맞춤을 달리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카본줄을 사용하신다면 당연히 현장맞춤을 매번다시 해야합니다.
제 경우 한번 맞춤하면 수심히 비슷한 곳에선 하지 안고요
수심히 특별히 많이 차이나거나 입질이 너무 예민할시 평상시 핀도레를 사용하기 때문에 쇠링을 추가하거나 빼거나 하여 상황에 맞게 대처를 합니다
저수심이나 비슷한 수심에서는 한해 찌맞춤 신경 안쓰고 낚시를 하는데요 조과에 차이를 못느끼고 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찌맞춤에 비중보다는 포인트와 미끼가 조과에 더 큰 영향이 있다는 개인적인 확신으로 낚시를 즐기고 있습니다 물론 노지기준입니다
한 예로 친구와 낚시를 하느중 저는 표준 찌맞춤 친구는 고부력 풍덩 채비인데도 같은 떡밥미끼에 친구에 찌를 쭉쭉 올려주더군요 ^^
요즘들어 카본줄을 많이 사용합니다.
모노와 카본줄과 어느것이 좋고 나쁨을 떠나서(논쟁의 대상이 됩니다) 저는 모노줄만을 사용합니다.
이유는 줄의 비중이 최초 찌맞춤에 거의 영향을 주지않기때문에 단한번의 찌맞춤으로(상황에따라 쇠링으로 가감적용)
낚시에 임합니다.
카본줄의경우는 수심에따라 뒷줄의 영향으로 찌맞춤을 달리해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카본줄을 사용하신다면 당연히 현장맞춤을 매번다시 해야합니다.
전 게을러서 카본줄에 현장맞춤도 아닌 수조통 맞춤으로 끝인데 ...
수조에서 끝입니다
절대 꽝 없는 낚시에
올해도 4짜 5수하고 월척급 수없이 했습니다.
매번 갈 때마다 혹여 같은 자리라도
필히 현장맞춤 다시 합니다.
저수지 바뀔때마다 우찌합니까 귀찮고 낚시대 한두대펴는거도 아닌데 ㅎㅎ
매번 수심채크와 찌맞춤을 한다는것이지요
무겁고 가벼운것은 쇠링을 첨부해서 사용하지요
처음에 반목이나 한목나오게 맞추어놓고
쇠링으로 케미꽃이만 잠기게추가 해주면 되지요
현장가서 무거우면 빼면되고 가벼우면 추가하면
되는데요
현장에서도 맞아요..
그리 신경 안써도 됩니다
현장 찌맞춤안해도 만일 찌가 뜨면 찌가 움직이며 유동 되기때문에 알게 마련..
그런때는 찌를 조금1센치정도 올려서 쓰면 됩니다
낚시 편하게 합시다
요즘은 오링으로 가감을 할수 있어서 시작전에 한번 해주면 그나마 위안이 됩니다.
저수지마다..계절마다..미세한 부력차이가 발생하더군요
그리고...찌도 물먹을수도있고.
아무튼..한다고해서 실보다..득이 많은것같아 시작할때..접을때 꼭 현장 맞춤 합니다
말되네요..
참 방법 여러가지다..
수조맞춤 하고 현장가서 낚시하다 이상한넘만 현장 맞춤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