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대전 갑천으로 강낚시를 갔는데 눈으로 보기에는 아주 약하게 흐르는 상태였습니다.
무겁게 찌맞춤 하면 괜찮을듯 싶어서 쇠링 한개씩 추가하면서 찌맞춤을 하는데 최대 6개까지 추가를
해도 흐름이 똑같아서 이건 무겁게해서 되는게 아닌거 같아서 쇠링 다빼고 다시 가만히 봤더니
물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흐르는 상태였고, 채비를 투척하면 투척한 곳에서 약1미터 정도 흐른후
다시 투척한곳으로 돌아오기를 계속 반복합니다.. 다실 말씀드리면 투척한곳에서 찌가 약 1미터정도
오른쪽으로 흐르다가 다시 처음 투척 지점으로 다시 되돌아 오기를 계속 반복합니다..
왼쪽으로 올때는 찌가 서고, 오른쪽으로 가면 찌가 가라앉는데 초보인 저로썬 도저히 입질인지,수심에의한
찌높이 변화인지 알수가 없었습니다.. 그나마 저보다 낚시 오래한 후배랑 같이 갔는데 그 동생도 도저히
모르겠다고 하네요.. 이건 무슨 현상인가요?
참고로 수심은 약 1~1.5미터정도 눈으로 볼때는 아주 약한 흐름이었습니다.
채비는 카본3호,스위벨5호,붕어7호 입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제가 해본곳은 물 흐름이 분명 왼쪽인대 찌는 오른쪽으로 흐르더니 원줄이 팽팽해지면 그제서야 멈추던대요
물론 무겁게해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이문제는 잘 아시는분들게 패스 ㅎ
스위벨은 물살있는곳에서 사용하는 채비로는 안맞지 안나요?찌형태 얘긴 없으신대 몸통형도 중요해서 물살덜타는 형태 고추형찌가 유리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예 중통채비나 끝보기 채비 해보시는게 이롭습니다.
가장 이상적인것은 흐름 덜타는 곳 찾아서 하시는게 최고입니다.
별 도움이 안되서 지송합니다.저도 수로 유속있는곳 관련해서 질문한적이 있어서 몇자 적어봤습니다.검색하시면 나와요 ㅎ
흐르는 물 극복하시고 즐거운 낚시 하세요~
물이 흐르다가 장에물을 만나면 반탄 흐름때문에 상류로 다시 돌아가는현상입니다..
찌 낚시보다는 중통낚시나 끝보기 낚시가 좀더 유리하고요..
찌 낚시 하시려면,, 좀 짧은대로 하시면 찌낚시 가능할겁니다.
대류 현상은 주로 저수지에서 수온 차이로 생기고요. 수로나 강계쪽은 대류 현상이 그리 심하지 안습니다..
그리구 스위벨 은 비추 입니다.. 그냥 풍덩 체비가 좋습니다...
제 짧은 지식입니다 더 자세한건 고수님께 패스 합니다..^^*
그런데 1M까지 움직인다니 좀 다른 것 같습니다.
2분할봉돌채비에서 쇠링을 추가하면 물쌀과 연관되어 오히려 더 잘 잠기게 됩니다.
그리고 3호줄이면 물쌀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저는 2.5호 카본 줄로 낚시를 했었는데 개인적으로 1.5호 이하가 좋다고 생각했었습니다.
수심 1~1.5M이고 찌가 1M 움직였다 하시는데
와류지역에서도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생각되여집니다.
원줄의 호수을 2호이하로 낮추시고
찌의 형태도 바꾸어야 합니다.
대류는 아니구요
물의 흐름때문에 찌가 누웠다가 잠잠할땐 다시제자리로
돌아가는 현상이 반복됩니다.
찌의형태는 길이가 45cm 정도되는 막대형찌나 고추형찌가 좋읍니다..
유속이 있을땐 붕어의 경계심이 흐려지기 때문에
봉돌을 무겁게 하셔도 잘 밀어 올립니다..!!!
1.고부력찌를 사용한다
중저부력찌에 쇠링5개 추가하는 것보다 고부력찌(14푼이상)에 쇠링1개 추가가 물흐름에 강하다
2.찌형태는 막대형보다는 다루마형이 일반적으로 물흐름에 강하고 직립성에서 유리하다
동일재질,동일부력이라면 다루마형이 막대형보다 겉표면적이 적어 물의 저항도 적게 받는다
3.가능한 가는 원줄을 사용한다. 카본 1호줄정도
무시하기 쉬운데 찌의 선택 못지않게 중요하다. 찌가 밀리는 거리가 배차이 날수도 있다
_
4.찌맞춤을 무겁게 하는 것에 너무 부담갖을 필요없다
_물흐름은 일종의 부력제 역할을 하므로 그 강도에 따라 침력을 추가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너무 무겁게하는것 보단 찌가 조금은 밀리는 것이 오히려
조과에는좋다
5.그래도 찌가 너무 심하게 밀리면 구멍봉돌을 이용 맥낚시(끝보기낚시)를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