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희나리붕어?

IP : 8db9d8407060b5f 날짜 : 조회 : 13112 본문+댓글추천 : 0

희나리붕어는 토종인가여? 토종과 떡사이의 교잡종인가여? 작년 언젠가 낚시춘추기사에 교잡종으로 밝혀졌다는 기사를 읽은 기억이 가물가물... 갑자기 뭔가가 떠올라 생각이 안나거나 궁금해지면 잠도 못자는 성격인데, 또 그 병이 도졌습니다.. ㅠㅠ 도와주세여.. _ddunk_qna11582680.jpg

1등! IP : 3580a2979551765
경상도지역 낙동강계에 서식하는 토종붕어 일부를 희나리로 표현하는 분들이 종종 있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희나리란 붕어는 없는 것으로 봅니다.

저수지마다 붕어의 특성과 먹이 형태가 조금씩 다르고 체색이나 체고가 다르다고 그것을 또 다른 붕어로 명명하지

않습니다.

특정인이 튀고 싶고 낚시계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싶어서 그런 용어를 사용한다고 봅니다.
추천 0

2등! IP : 114398d22cd3ddd
분명한것은 희나리는 토종은 절대아니고
아마도 떡붕어 종류의 어종으로 채색이 떡보다
월등히 희기때문 붙여진것이 겠지요
추천 0

3등! IP : 114398d22cd3ddd
학계에서는 재래종으로 보지만 토종과는
생김세 및 체색을 보면은 확연히 구분이 대지요
측선과 아가미 세파수가 토종과 비슷하다고
재래종으로 보지만 가령 외국인과 혼인해서
후세가 지금 우리땅에 산다고 토종으로 안보듯이
교잡종에 가깝지 토종은 절대 아니라고 보는1인입니다
지금도 연구중이니 언젠가는 교잡인지 토종인지 답이 나오겠지요
추천 1

IP : 3580a2979551765
교잡종이라니요?

교잡종이면 왜 낙동강 수계에서만 교잡이 일어나고 또 낙동강수계 다수의 저수지에서는 일어나지 않는지요?

앞뒤가 맞지 않는 과학적으로 검증이 안되는 그런 논리는 곤란하지 않나 싶습니다.

지금으로 볼땐 서식 환경이나 먹이 사슬에 따른 토종붕어의 일환으로 보는 것이 합당하지요.
추천 0

IP : 114398d22cd3ddd
낙동강계가 아니고 경남 일원에서는 강계 저수지
개체수가 토종과 거의 비슷할 정도로 많아요
타지역에 없다는 것은 아직 유입이 안된 상태지요
과학적 검정은 누가하나요 인간이합니다
인간이 지정한 틀에의하여 구분대는대 과학적 검정을 대보세요
유사님.... 측선과 아가미 세파수가 토종과 비슷하다고 토종이라고 학계에서는
말하지만 학계에서도 토종이 아니다라고 의견이 분분 합니다
생명 자체를 두고 과학에 너무의존 하는건 아닌지요
확실한 답은 고기만이 알고 있겠지요
추천 0

IP : a430895ba329c51
희나리..

제가 처음 긴꼬리 붕어? 보았을때도 이것이 붕어랑 금붕어랑 교잡종인지..

그냥 예쁘게만 보면 좋겠습니다
추천 0

IP : c79ca99e02d04e5
아직 많은 연구가 필요하긴 하지만
대륙이동설부터 시작이 되어야 할 듯 합니다.


200만년전에 일본의 쓰시마와 한국의 김해지방 그리고 큐슈는 서로 붙어있다고 합니다.
쓰시마에서도 희나리와 비슷한 종이 있는 것으로 보아
같은 대륙에 있던 붕어들이 바다로 나뉘고
각기 다르게 진화해 온 것으로 보입니다.


희나리는
토종보다는 헤라(떡붕어)에 더 가까운 종입니다.


바닥에서 약간 떠서 생활하고 측선은 30-33개 사이이며
아랫턱이 헤라만큼은 아니지만 토종보다는 다소 튀어나와 있고
대체로 은백색을 띠며
어깨가 실하고 허리는 잘록하며
측선 윗쪽부터 5줄의 은회색 검은 띠가 머리부터 꼬리까지 바탕에 깔려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영남지방에 분포하던 것이
지금은 대체로 전국의 강계에서 두루 보여지기도 합니다.


***
추천 1

IP : bdcfdad5df5969f
희나리는........
떡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기전부터 경상도 낙동강 수계에서만 사는 어종인줄 압니다.
더위로 올라가면 어떨지는 모르지만은......
이쪽 경상도 지방에서는 우리 고유의 토종으로 생각하시는분들이 많습니다.
우리나라도 각 지방마다 붕어 생김새가 다른 토종들이 많이 살고있습니다.^^*
전라도 지방에는 금붕어처럼 꼬리가 긴 붕어도 우리의 토종이라고 하더군요..
추천 0

IP : ed37e5a7724e584
예전에 보았던 자료가 생각나 알려드립니다.
충청투데이 들어가셔서 홈->뉴스->사회->환경 2005년 5월 25일자 자료에 있습니다.
어케 올리는지를 몰라 이렇게 적어드립니다.

대청호에 희나리란 붕어가 대다수라고 합니다.
떡붕어와 다르고 토종붕어와도 확연히 다른.
연구결과에 의하면 떡붕어와 훨씬 유사하다고 나오네요.
전문가들이 연구한 결과 교배종이란 연구결과가 나왔다니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

충청투데이 들어가셔서 희나리 검색해보세요.

좋은 하루 되세요.^^
추천 0

IP : ca0b2ba1e638b91
떡붕어와 교잡종이라~내가 알기론 희나리 라고 하는 붕어는 일제 시대때 한국에 들어온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영남지역 낙동강 하류지역에 많이 서생하고 있지요.

한가지 분명한 것은요...떡붕어와 교잡종이니~짜장붕어와 교잡종이니~이것은 분명히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떡붕어 대한민국에 들어온지 오래 돼지 않았습니다...떡붕어 하고는 많이 틀립니다 얼굴이나 붕어에 체고 등...

아주 오랜세월 토착어종으로 그 지역에서는 인정을 해주고 있는 붕어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 토종붕어 와는 더더욱 틀리구요.

많은 연구가 돼어야 할 부분이구요...제가 알고있는 희나리에 역사는 대구에서도 유명한 꾼"에 어르신이 30년전에 한말씀은

희나리가 들어온 계기는 일제시대 때 양식에 일환으로 부산 경남쪽에 들어와서 키운다.

그것이 토착어종으로 되어가고 있다는 말씀을 올리더군요.

월님들에 많은 의견을 들어 보고싶네요~

행운을 기원 합니다.
추천 0

IP : b01052e1b33f861
제가 알기론 떡붕어의 처음 유입은 1970년대 초 파주에서 약국하시던 분이 일본으로부터 수입한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몇년전 ftv에서 송귀섭 선생님이 송소석 선생님과의 인터뷰를 하시면서 송소석선생님 지인(파주에서 약국하시던분)께서 일본에서 들여 왔으며 파주근처의 모 저수지에 처음 방류하였다고 하셨습니다.

떡붕어란 명칭도 '떡두꺼비처럼 머머하게~~~'에서의 '떡'자를 따왔다고 합니다
추천 0

IP : 3580a2979551765
낙동강수계 의성 안동 영주등등 다수의 저수지에는 희나리라는 붕어는 찾아 보기 어렵습니다.

학계 다수의 정설이 토종으로 분류하는 이상 송귀섭씨 이창수씨 같은 낚시꾼이 낚는 방법과 입질 상태등등으로

이렇다 저렇다 하는 것을 정설로 받아 들이면 곤란할것으로 봅니다.

송귀섭씨가 FTV에서 비중이 높다보니 FTV에 출연하는 이창수 김진우 나광진 김태우 같은 낚시인들이 송귀섭씨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그가 쓰는 용어를 거르지 못하고 쓰는것 같습니다만 잘못된 부분은 바로 잡았으면 좋겠습니다.

우리 낚시인들도 이제는 우리말의 바른 표현을 즐겨쓰는 문화를 만들었으면 좋겠습니다.
추천 0

IP : f8cc33177e658ee
휘나리 토종아닌가요? ftv 끈은지 몆년 됬네요... 거기선 뭐라고 하던지간에 (거긴 일본어 전문적으로 쓰죠? 소류지??

어느 나라 말인가요? 국언 사전에도 없는말 ) 전 걍 토종이라고 생각 할랍니다.. 누가 뭐래도
추천 0

IP : 07a6fcadf971a42
희나리는 낙동강 수계와 연결된 수역에서 많이 볼수 있는 우리나라 고유 어종으로 알고 있습니다
추천 0

IP : bd5191963bf495e
다행스럽게도 붕어네요,,,,.만나면 반갑구,눈부시게 살아있는 자연이라서,그걸 짖밣고 사는 내게 수줍게 사라져가니 잠시 돌아다 봅니다.자연스러움을 지나치지 못하는 사람들의 열정을~
추천 0

IP : 8a1f8d9798153d0
고구마는 1760년 일본에서 들여왔습니다. 감자는 19시기 초 전래되었다 합니다.
하지만 지금 누군가 고구마가 일본에서 왔다고 배척한다면 코메디가 되겠죠...

희나리는 잡아본 사람은 다 압니다. 토종이라 부르는 바닥붕어와는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요...
하지만 떡붕어를 잡아본 사람은 다 압니다. 떡붕어와도 확연히 다르다는 것을 요...
떡이 있고 토종이 있는데,,,희나리가 없는 못을 저는 여러개 압니다....

앞으로 얼마나 지나야 희나리를 그냥 우리붕어로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그때까지 존속이나 했으면 하고 바랄 뿐입니다.
추천 1

IP : f2ef6730a0d0a51
결론 붕어한테 물어봐도 붕어는 대답 안해줍니다.

참고로 희나리가 수면밖에 장시간 노출되었을때 붉은 반점이 나타나면
그건 교잡종입니다.

만약 반점이 안생기면 토종으로 봐야 합니다.

토종은 절대로 붉은 반점이 생기지 않습니다.
추천 0

IP : be73962e263f4af
희나리붕어 - 낙동강,남강수계에 오래전부터 서식하는 영남권의 토종붕어 맞습니다.

떡붕어와는 차이가 있으며 분명 틀립니다
- 70년대이후에 일본에서 들어온 계량붕어(낚시용) 인줄 알고 있습니다

또한,희나리붕어를 토종붕어와 떡붕어의 교잡종 이라고 잘못알고 계신분들이 많습니다...

아직도 영남권에서는 흔히말하는 토종붕어는 돌붕어라 말하고

주로 강에서 잡은 붕어를 희나리라고 지칭하지요.

그만큼 강계에서 주로 서식하기때문에 - (물론 저수지에도 있습니다만)

우리토종붕어는 분명 희나리도 포함됩니다...
추천 0

IP : ed37e5a7724e584
저역시 희나리 붕어가 토종이냐 아니냐가 논쟁의 거리가 되는 게 좋지는 않습니다.
다만 글쓴이께서 궁금해하시는 점을 기사에서 본 기억이 있어 알려드렸을 뿐. ^^;
전 그냥 붕어라고만 생각하고 있습니다. ^^
추천 0

IP : 696310d97bc750d
좋은 의견들 많이 주셨네요 정보감사드리구요~
사실 저도 토종으로 인정하는편인데요~
만약 월척과 사짜 오짜를 희나리로 했을데 인정은 ???ㅎㅎㅎ
추천 0

IP : 114398d22cd3ddd
아직 희나리를 월척으로(토종) 인정해 주는곳은 없는 걸로알구요
재래종과 토종은 확연히 다르고요 윗분 돌붕어는요
강계에 서식하는 토종 붕어 입니다 희나리 붕어 하고는 완전히 다른 어종 입니다
학계에서는 재래종이다 아니다를 두고 의견이 분분하지 토종이다 아니다를 두고 논하는 것이 아닙니다
토종 이라함은 조금도 변형이없는 고유 생명 자체입니다
우리가 강계 혹은 저수지에서 잡은고기 확인 해보면 형태및 체형이 붕어와 흡사한놈을
보면 입옅에 수염이 있어요 이게바로 잉붕 교잡 종이지요
반대로 모던것이 잉어와 같은대 수염이 없어요 그세 누군가가 면도 한건 아닌걸 볼라치면
이것또한 잉붕 교잡 종이지요 이걸두고 토종 이라할까요 교잡 종이라 할까요
돌붕어는 강계에 서식 하기때문에 비늘 자체가 못 고기보다 억수로 튼튼하고
검은 점이 있지요
추천 0

IP : c79ca99e02d04e5
(낚시잡지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


희나리'라는 물고기가 있습니다.
'희나리'라고 하면 노래 제목을 떠올리는 분도 있겠지만
희나리는 붕어의 일종입니다.


어류학의 분류에선 희나리를 붕어와 다른 종으로 구분하지 않지만
외형적으론 붕어와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붕어의 일종입니다.


완전히 형질이 분리되지 않아 유전적으로 다른 종으로 구분할 순 없으나
외형상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 경우를 어류학에선 아종이란 용어로 일단 정리합니다.


진화론에서 보면 지역적 차이 등 어떤 요인에 의해
종의 분화가 일어나기 시작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지요.


희나리는 우리나라 영남, 부산과 경남 지역에서 주로 볼 수 있는 놈입니다.
희나리는 우리나라 토종 붕어와 일본 붕어인 떡붕어(헤라부나)의 중간적 형태를 보입니다.


혹자는 우리나라의 옛 문헌에 희나리에 대한 기록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제 시대에 일본에서 야생 떡붕어가 도입돼 퍼진 것이 아니냐는 주장을 펴기도 합니다.


그러나 제가 15~16년 전 만난 경남 지역 80세가 넘는 고참 낚시인들의 얘기에 따르면
일제의 양식 기술이 도입되기 훨씬 전부터 희나리 붕어는 존재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고대에 우리나라와 일본이 연결돼 있던 고대에 이미 변이종 붕어가 나타났고
이것이 나중에 지각 변동에 의해 분리됐으며
일본에서는 헤라부나의 원종인 가와치부나로, 우리나라에선 희나리로 분화됐다는
그럴 듯한 주장을 펴는 이도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그에 대한 과학적 근거는 확인된 바 없습니다.
그에 대한 논의를 잠시 미루고 희나리 붕어에 대한 논의를 살펴 보겠습니다.


지금까지 희나리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한국해양연구소 김종만 박사(해양생물자원개발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의 논문이 유일합니다.


지금으로부터 30년 전에 쓴 김 박사의 석사학위 논문
"부산 근교의 붕어 형태에 관한 연구"(부산수산대 수산생물학과, 1974년 7월)가 그것입니다.


김 박사는 1973년 12월에서 이듬해 4월 사이에
낙동강 하류에 연결된 선암천과 수영강 상류
부산시 금정구 회동저수지(현재 상수원으로 관리 중)에서 채집한
일반 붕어와 희나리를 비교 분석하고 있습니다.


김 박사는 희나리가 일반 붕어와는 물론 우리 나라와 일본의 어떤 종류와도 구분되는
'새로운 타입'의 붕어라는 것은 틀림없지만
완전한 구분을 위해선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습니다.
김 박사의 동의를 얻어 전문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일부를 요약했습니다.

---------------------------

붕어는 서식 장소의 환경에 따라 변이가 심한 물고기다.
대체로 일반 붕어(이하 붕어로 표기)는 황색을 띤 갈색을 띠고,
희나리는 회백색에 옆줄 윗부분에 희미한 검은 가로띠가 5줄 있다.


희나리는 붕어에 비해 전체 몸길이 중
머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머리가 크다는 인상을 준다.
붕어는 입이 좁고 뾰족한 느낌을 주는데 비해 희나리는 넓고 둥글다.


입의 위치도 붕어는 눈보다 아래에 있으나
희나리는 눈과 일직선상에 있어 상대적으로 아래턱(하악 下顎)이 위로 빠르게 올라간다.
붕어의 아래턱이 위로 올라가는 각도는 희나리에 비해 완만하다.


물과 함께 입 안으로 들어온 먹이를 거르는 역할을 하는
새파(아가미 안쪽 빗처럼 보이는 부분. 아가미빗살)의 수도
붕어는 36∼50개(평균 48개), 희나리는 70∼91개(평균 81개)로 큰 차이를 보인다.


그 길이도 몸 길이 20cm짜리를 비교해보니
붕어는 가장 긴 것이 6mm이나 희나리는 11mm나 돼 현격한 차가 있다.
창자 길이의 경우 붕어는 몸 길이의 2.9∼7.3배(평균 5.3배)인데 비해
희나리는 4.1∼8.3배(평균 6.3배)로 상대적으로 상당히 긴 편이었다.


같은 크기의 개체를 선택해 비교하면 희나리가 붕어에 비해 창자가 훨씬 더 길다.
이것만으로도 희나리가 붕어에 비해 식물성 먹이를 더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다.
척추골수도 붕어는 26∼29개(평균 27개), 희나리는 27∼31개(평균 29개)로 차이가 난다.


붕어와 희나리는 생태학적으로 큰 차이가 난다.
식도와 창자 속에 들어 있는 내용물을 검토한 결과를 보면
붕어는 저서생활을 하는 것(주로 곤충의 유충), 수초의 잎과 뿌리,
패류의 패각, 모래가 거의 같은 비율로 나왔고
간혹 코피파드(copepod 검물벼룩 등 요각류)가 나오는 것도 있었다.


그러나 희나리는 식물성 부유생물(플랑크톤)이 90%를 차지했고
그중 너비큘라(navicula 식물성 플랑크통의 일종. 배 모양으로 생겼다)가 전체의 80%나 됐다.


그 다음이 녹조류로 약10%, 나머지 10%는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려웠다.
희나리가 식물성 먹이를 극단적으로 좋아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육식성 어류의 식도와 위에 해당하는 부분의 크기도
붕어가 희나리에 비해 약3배 정도 길어 저서생물을 먹기에 알맞게 발달했음을 알 수 있다.


연구 재료가 된 붕어는 삼중망으로 포획한 것.
수심별 분포를 알기 위해 바닥과 중간, 표층에 각각 망을 설치해
어느 쪽에서 많이 잡히는가를 살펴봤다.


붕어는 따스한 봄(연구재료를 채집한 시기가 주로 봄이었습니다)에는
수심 1m 전후의 얕은 곳에서 많이 잡혔다.


희나리는 겨울과 봄에 관계없이 깊은 곳에서 주로 잡혔는데
70%는 중층에서, 30%는 바닥층에서 잡혀
중층을 유영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암수의 비율도 차이가 난다.
붕어는 암컷이 수컷에 비해 현저히 많았으나(암컷 91.4%, 수컷 8.6%)
희나리는 암수의 비율이 비슷했다(암컷 56.9% 수컷 45.1%).

-----------------------------------------

영남 지역에 사는 낚시인이 아니면
위의 논문이나 '희나리'라는 용어만으론 어떤 붕어인지
잘 알기 어려우실 겁니다.


일본에서는 대체로 붕어를 5가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우리 나라 붕어의 형질은 이 중
긴부나(Ginbuna:학명 Carassius auratus langsdorfii)와 일치합니다.


체장에 대한 체고비(比), 옆줄 비늘 수,
등지느러미 줄기 수, 새파 수, 체색, 암수비, 식성 등이 일치합니다.
그러나 일본의 분류법에서 희나리와 같은 종류를 찾을 수 없습니다.


우리 나라에 떡붕어라는 이름으로 들어와 있는
겡고로부나(Gengrobuna:학명 Carassius auratus cuvieri)와 비교할 때
척추골(脊椎骨:등골) 수, 체색, 암수의 비율 등에서 거의 일치하지만
새파수, 식성, 체고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일본 붕어 중 가장 작은 종류인
킨부나(Kinbuna:학명 Carassius auratus subsp·다 자란 것도 15cm 내외)와 비교해보면
체고비, 암수비를 제외하면 나머지 형질은 전혀 일치하지 않습니다.


희나리는 '새로운 타입'의 붕어임에 틀림이 없지만
이를 확정하자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수년 전 낚시계에 치어방류사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될 무렵
저는 청평내수면연구소 이완옥 박사와 함께 전국의 붕어 샘플을 채집한 바 있습니다.
어떤 붕어가 낚시용 치어 생산에 적합한 지 살펴보는 작업이었습니다.


당시 이 박사는 충남 논산의 논산지 붕어가
모양이 좋고 힘이 좋으며(이 부분에 대해선 논란의 여지가 있겠지요?)
키우기가 좋다는 결론을 내린 바 있습니다.


현재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치어 방류사업의 붕어 치어생산용 어미고기는
상당 부분 이때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시 경남 진주 일원에서 채집한 희나리는 아직도
청평내수면연구소 수조 속에서 대를 이어가며 자라고 있습니다.
이 박사의 연구를 좀 더 지켜봐야 하겠습니다.


***
추천 2

IP : 114398d22cd3ddd
독닙꾼님
졶은 자료 올려주신대 감사 드리며
자료 고맙게 잘 보았읍니다
건강 하십시요
추천 0

IP : 3580a2979551765
토종붕어를 희나리라 분류하고 그렇게 칭하는 낚시인을 보면

저사람이 무슨 생각으로 저런 단어를 사용하는지 의구심이 듭니다.

FTV에서 출연진이 희나리란 용어를 쓰기 이전엔 경북 북부지역 낚시인들 그 누구도 희나리란 용어를 쓰지 않은 것으로 압니다.

송귀섭씨 같은 사람이 전라도 방언을 표준어인양 방송에서 쓰다보니 낚시인들이 동화되어 가는것 같습니다.

낚시인들이 특히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고 방언을 많이 사용하는것 같습니다

우리말 우리글을 사랑하며 토종붕어를 사랑하는 마음으로 희나리란 용어를 자제했으면 좋겠습니다
추천 0

IP : 114398d22cd3ddd
유사님 정히 한탄 쓰러우시면
관계기관에 자료 제출해서 어명을 바꾸세요
아니면 이대로 넘어 가시던지요
있느걸 없다고 우기지는 마세요
추천 0

IP : 3580a2979551765
있는걸 없다고 우긴다니요?

똑바로 알고 똑바로 말씀하세요.

희나리란 용어는 허접한 낚시꾼이 뜨고 싶고 남보다 잘나고 싶어서 만들어낸 용어를 생각없는 낚시꾼이 부화뇌동하며 쫒아가니

그런것 아닙니까?

우리 낚시인들도 과학의 문명을 만끽하면서 과학을 불신하고 3류 따라지 글보고 옳다고 생각하는 우를 범하지 말았으면 합니다.
추천 0

IP : 114398d22cd3ddd
글소통이 안되네요
증명 할만한 자료를 올려보세요
막무가네로 우기지 마시고 님의글에 이해 할만한
아무른 근거가 없어서 올린 글입니다
불쾌하게는 생각 하지 마시길요
서로 모르는 부분을 알고가는 졶은 기회 아닌가요
추천 0

IP : f8cc33177e658ee
경상도 지방에서는 희나리 라고 부르진 안았죠 걍 붕어라고불렸죠.. 저두 고향이 안동이라서 ... 어릴때 부터 낚시 해서리....

희나리라는 단어는 여기 올라와서 듣는 단어에요... 그걸 말씀 하시는것 같은디요 낚시 방송에서 뭐다 하니깐 다들 그렇게 부

르는것 같은디.... 위글에서 언급했듯이 "소류지 " 어는 나라 말인지 국어사전에두 없는 말을 방송에서는 당연하다는 듯이 쓰고

있던데요...제가 알기론 일본말인줄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만 봐도 "소류지"란 단어을 많이 사용하시더군요.... 그래서 전 낚시 방송 안봅니다.....

거기에 지원하는 낚시대제조 업체 쳐다두 안봅니다. 그넘이 그넘 같아서요
추천 0

IP : 9111100606f9462
희나리 손맛 죽여줘요

한번 붙어다 하면 월척급이 줄줄이 꼴리물고 올라요죠?

희나리도 우리나라 에서 서식하고 있으니 토종붕어라 생각합니다.

떡붕어 하고는 사돈 지간이지만 족보가 염연히 다르죠?

희나리 모르신분은 잡종이라 생각 할수도 있지만 토종붕어에 한표..
추천 0

IP : 114398d22cd3ddd
메인글 올리신분 그외 댓글 과 유익한
자료 올려 주신분 모두 감사합니다
모르는 부분을 배워감에 즐거웠읍니다
모두 건강하세요
추천 0

IP : be73962e263f4af
갱상도 희나리를 모르는분들이 생각보다 많네예...ㅎ
언제짝 부터인지는 모리것쓰나?
아부지에 할배할매때부터 대대로 불러오던 그넘을...

눈알이 빠꼼하고 면상이 허여멀것타꼬..
얼라때 아부지가 지보고 희나리라 쿠더만요...ㅋㅋ
추천 0

IP : 8a1f8d9798153d0
저는 경남 태생에 그곳에서 유년을 보냈습니다. 나이는 40이 조금 넘었구요...
최소 40년 전부터 희나리 잡으러 아부지 따라 다녔습니다.
최소 40년전부터 희나리라는 말이 있었습니다.
대학을 경북에서 나왔는데요... 희나리 많은데 희나리라 하지 않더군요...
그래서 제가 친구들에게 이게 희나리다라고 일러주고,, 잡는 법을 알려주던 기억이 납니다.
작은 나라지만 그 속에서도 지역차이가 나더군요...
토종이면 어떻고 아니면 또 어떻습니까?
희나리 5짜가 토종4짜 보다 가치가 없으면 또 어떻습니까.
낚시를 즐길 대상이 있으니 그것만으로도 행복하다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b1fecaf3f45d0bb
제가 알기로는 토종으로 알고 있읍니다
부산,경남 일원에 주로 서식하고 있고요 떡붕어와 외형상 다름니다
거의 토종의 모습과 비슷하나 체색이 차이가 나지요
약간의 줄 무늬 모양의 체색이 다섯 줄 정도로 나타난답니다
떡은 일본에서 유입된 붕어......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