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4번째 전원주택 이야기 올려드립니다.

IP : 5fbebe067ef24ef 날짜 : 조회 : 4533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붕어간지입니다. 오늘도 전원주택 사진 올려드립니다. 쪽지, 문자, 전화 문의많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몇가지 안내를 미리해드립니다. -저희는 시공업체입니다. 땅을 매입이나 매매 하지 않습니다. -당연히 분양을 하는 업체도 아니구요. -경량식목조주택만 하고있습니다. 경량철골이나, 철근콘크리트는 하지 않는 목조주택전문시공업체입니다. -필요하신분들은 가이드북을 보내드립니다. 단 택배비만 부담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디든지 현장문의하시면 달려가서 도와드리니 부담없이 문의해주셔도 되고요. -가끔 전원주택 얘기도 하시고 사진을 많이많이 요청하시는 분들이 많지만 도배할 생각은 없으므로 한번씩 올려드리겠습니다.
4번째 전원주택 이야기 올려드립니다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4번째 전원주택 이야기 올려드립니다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4번째 전원주택 이야기 올려드립니다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4번째 전원주택 이야기 올려드립니다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4번째 전원주택 이야기 올려드립니다 (커뮤니티 - 자유게시판)

2등! IP : 7af99b90f868c12
집이 너무 멋져서 내장재도 그렇고

평당 건축비가 꽤 비쌀거 같습니다
추천 0

3등! IP : f6a1b027490055b
조금 아쉽습니다....기존 주택에서 3층이나 4층까지 올리려고 마음을 먹었는데.....ㅎ
추천 0

IP : 6f0dc1481cd16fa
기존주택의 옥상면적이 30평 이상은 나와야 하고 미리 2층에서 배관이 올라와 있어야하며 구조계산도 받으셔야 합니다.
단순히 증축을 한다는게 쉬운일은 아닙니다.
또한 하자발생우려가 높습니다.
이 부분은 저희뿐만아니라 모든업체가 마찬가지입니다.
하자가 발생될걸 알면서 시공하는 업체는 사기나 다름없습니다.
머찐님도 증축이 신축보다 비용이 더 든다는점 아셔야됩니다^^
추천 0

IP : 6f0dc1481cd16fa
산골님 꼭 그런건 아닙니다.
스탠다드한 주택에서 조금 꾸몄을 뿐입니다^^
추천 0

IP : 32bc4df6cf19af7
붕어간지님 덕분에
멋진 집들의 정보를 알고 갑니다
가이드북 부탁드려도 될까요?
추천 0

IP : 822d97ab6bfe87f
네 보내드릴수 있죠.
무료로 보내드립니다. 택배비만 부담해주세요^^
추천 0

IP : 40e40be8e3f9549
목조 주택은 수명이 그리 길지 못하여 관리하는데 손이 많이 간다는데 어떻나요? 동일 가격의 돌집이나 컨테이너 하우스에 비해서... 전문가에 소견을 듣고 싶습니다...
추천 0

IP : 796856d54f070ce
질문 감사합니다. 시간이 늦은관계로 내일 답변드리겠습니다. 핸폰으로 써드리기엔 다소 짧지않은 내용이기에 내일 컴터로 써드리겠습니다.
그리고 혹시나 궁금하시면 전화주셔도 답변가능합니다^^
추천 0

IP : 5fbebe067ef24ef
일단 경이아빠님의 질문 환영하고요. 서면상으로 답변드리기가 어려운 부분이 있으나 최대한 궁금증을 해소시켜드리고자 자판에 손가락을 올려봅니다.
관심 있으신분은 꼭 정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목조주택의 수명은 길지 못하다?? 그외 다른 구조재와의 비교를 한다면?

먼저 답변부터 말씀드리자면 아닙니다. 목조주택의 수명은 100년 이상 반영구적으로 명시가 되어있을 정도로 수명이 깁니다. 우리나라는 목주조택이 활성화되기가 약 20년정도밖에 되지 않아서 인식이 잡혀있지 않을뿐 입니다.
우리나라에 기존에 지어져 있는 많은 전원주택이 30년 길어야 50년밖에 못가는건 다들 아실겁니다. 오히려 한옥이 더 오래가고있죠. 30년 정도면 철근콘크리트 자식들에게 못 물려주고 철거하고 신축을 하게되죠.
목조주택의 기본적인 건축방식은 캐나다에서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캐나다 목조주택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방식은 경량식 목조주택이라고 하며 이는 한옥식이나 중량식처럼 나무자체가 겉으로 드러나거나 나무로 끼움방식을 하거나 하는 방식이 아닌 골조자체가 목재(각재)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따라서 사진으로 보시다시피 외관상 철근집인지, ALC인지, 경량철골인지, 조적조인지 등등...구분이 쉽지 않은것입니다.

캐나다의 같은경우 90%이상이 경량식 목조주택으로 이루어져있고 이중 반 이상이 100년이상 되어있고 150년 이상된 주택단지가 형성되있을만큼 수명이깁니다.
캐나다만 예를 들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텐데 미국만해도 같은 경량식 목조주택이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처럼 철근콘크리트로 지어진 주택을 찾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가까운 일본만해도 중량식 목조주택이 전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고 경량식도 많이 하고 있으며 기술력도 우리나라가 못따라갈 정도로 견고하고 잘 짓습니다. 더군다가 평단가만해도 일본은 우리나라의 2배에 가깝습니다. 철근콘크리트나 다른 구조재는 상당히 저렴하고 친환경적이지 못한점 그외 상대적으로 많은 단점으로 인해 주택으로는 건축되지 않습니다. 더군다나 지진이 잦은 나라이기에 철근콘크리트로 짓는것은 위험한 일입니다. 이 내용은 아래 서술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쓰고싶은데로 쓰는게 아니고 실제 책만 몇번 공부해 보시면 시멘트, 철근, 블록, 등등 구조재로 사용할수 있는 자재들을 보면 수명이 명기가 되어있으나 목조는 정확하게 '무기한'이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타거나 부식되지 않는이상 평생 쓸 수 있는 자재라는 뜻이며 이를 부인한다면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세계적으로 5~600년 이상된 목조건축물이 증명해보이고 있습니다.

2. 손이 많이 간다는데 어떻나요?

네, 답변부터 말씀드리자면 손이 갑니다. 허나 정확하게 짚어드리겠습니다.
겉으로 드러난 외장재 즉, 나무로 마감을 하거나 통나무형식(누가봐도 나무로 지었구나 생각이 들게 밖으로 보이는) 혹은 목재데크 등등...
이런 부분들은 주기적으로 오일스테인을 발라주시고 관리를 해주어야 수명을 유지 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20년도 못갑니다. 다시말씀드리면 이 부분은 골조가
아닌 외장재 즉 페인트나, 벽돌, 사이딩처럼 마감재일뿐 골조가 아닙니다. 따라서 관리를 해 주어야만 오래 유지 할 수 있고, 잘 관리된 주택의 경우 이 문제는 야기하기 어렵습니다.

이 밖에 외장재가 아닌 골조가 목조주택은 손이 많이 가느냐를 물으신다면 이 대답은 네, 아니오로 명확하게 답변드리기 어렵습니다.
이유는 목조는 목재특성상 수축, 팽창을 합니다. 자연적으로 습도조절을 하는 능력이 있기에 늘어나고 줄어 들기도 하고 심할경우 목재가 틀어지기도 합니다.
이는 목조주택의 단점이라고 하면 단점이겠습니다만 이를 줄이기 위해서 경량목구조에 사용되어지는 각재는 대부분 S.P.F 로 사용되어지고(메뉴얼입니다.) 수종은 전나무, 가문비나무, 소나무 입니다. 원목을 2x4 부터 2x12 까지 재단을 하고 함수율을 낮추기 위해서 가공(쪄냄)을합니다. 위 과정이 없으면 틀어짐이 심하게 발생합니다.
집안에 있는 장롱이나 식탁, 소파등등....실내가구들도 이처럼 가공이 되어져서 오며 함수율이 15%이하로만 사용되어집니다. 목조주택에 사용되어지는 S.P.F는 함수율은 18~19%이하로 지어지기 때문에 이 부분도 최소화 하고 있으며 이로써 수축팽창율도 현저히 낮아집니다. 만약 이 부분이 문제가 되어 구조에 문제가 있다면 단점으로만 남아있겠죠. 하지만 목조주택의 장점중에 하나로 개보수가 용이합니다. 쉽게 뜯어내고 쉽게 보수가 가능하고 비교적 간단합니다.

3. 목조주택의 장점을 설명드린다면...

1) 친환경적입니다.
국내에 다수 지어져있는 철근콘크리트는 라돈, 포름알데히드 등등 유해물질로 인해 피부 및 호흡기에 상당히 않좋은건 다들 아시는 내용이고 목조주택은 건축소재가 거의 자연친환경적으로 사용되어 지기때문에 건강을 위한 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단열이 뛰어납니다.
목재자체가 콘크리트의 7배, 석재의 15배, 철의 175배 뛰어난 단열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 외에 추가로 단열재가 메워져 냉,난방비 절감에 뛰어납니다.
열전도율은
목재 0.1
벽돌 0.5
콘크리트 1.41
철 41
알루미늄 204
유리 0.67 입니다. 숫자로 보기보다 이해하기 쉽게 설명드리자면 같은두께와 면적의 철근, 콘크리트, 목재가 있다고 하고 한쪽면으로 불을 붙여서 시간이 지나면 열이 오르게 되겠죠. 반대쪽에 손을 갖다 댔을 때 철근? 콘크리트 만질 수 있을까요? 목재는 한쪽에 불이 타고 있어도 반대쪽은 손으로 잡고 있어도 그 열이 전달되지 않습니다. 한 여름에 자동차 보닛이나 바위위에 못 앉지만, 나무의자에는 앉을 수 있죠.
이 말을 주택으로 풀자면 여름에 햇볕이 뜨거워도 집안은 시원한거고, 겨울에 추워도 실내가 따뜻한 이유입니다.

1주일도 안된 몇일전 오후6시경에 방송하는 한 채널에서 목조주택을 보여주는 인터뷰장면이 있었는데 지역이 대구임에도 불구하고 에어컨이없으며 리포터가 에어컨이 켜져있는줄 알정도로 쾌적하다는 말을 했습니다. (어디업체에서 지은지는 모르며 목조주택입니다.)
저희가 지은 집 중에서도 예전에 건축주님꼐서 남기신 한마디가 있습니다. 1월달에 이사를 하는데 집에 들어서면서 사모님께서 이런말을 하셨습니다.
"보일러 틀어놨어?"
이는 기본적으로 목조주택이 따뜻하다는 걸 알면서도 스스로 놀라며 말씀하신 내용입니다.


3) 습도조절능력이 뛰어나다.
위에 언급한 내용에서 이어지는 부분입니다. 목조는 습기를 필요하면 머금고, 뱉기때문에 수축팽창을 합니다. 습도조절은 인간에게 이로운 수준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제습기나, 가습기가 필요없으며 4계절내내 쾌적함을 유지한다는 장점이 큽니다
당연히 곰팡이나 결로에 강하며 피부나 호흡기에도 안전하다는 내용입니다.

4) 튼튼하다.
간혹 나무로 지었으니 콘크리트 보다 튼튼하지 않을 거라고 생각하시는데 이는 잘못된 생각입니다.
침대만 과학이 아닙니다. 단순히 길이대로 자르고 갖다 붙여서 못을 박는게 아닙니다. 하중과 구조를 계산하면서 골조가 세워지고 손가락 깍지끼듯 맞춰지며 서로 목조간에 지탱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지진이 일어나도 집이 틀어졌으면 틀어졌지 콘크리트처럼 집이 와르르 무너지지 않습니다. 실제 일본에서 지진이 났을 때 뉴스를 잘 보시면 주택들은 잘 서있으나 빌딩이나 도로들은 무너져 있는것을 보실 수 있으며 목조주택이기 때문에 사망율도 낮은거고 짧은시간에 보수도 가능한것입니다.
이 부분은 궁금하시면 유튜*에 진도 7.5에도 견디는 목조주택 실험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5) 수명이 깁니다.
주택으로 본다면 100년이상으로 명기되어있습니다. (우리나라는 80년 예상)
목조주택외에 50년 이상으로 보는 주택용구조는 없습니다.(빌딩은 이야기가 다름.)
이 내용은 위에 언급한 내용이므로 추가 설명은 하지 않겠습니다.

6) 경제적이다.
-다른 구조재에 비해 공사기간도 짧고, 그 기간만큼의 인건비도 줄일 수 있다는 점도있으며 중량이 적어 중장비 사용도 적으며 가설물 설치도 적습니다.
-규격화된 자재로 소수의 숙련공으로 건축이 가능합니다.
-건식공법이므로 연중공사가 가능합니다.
-철근콘크리트는 습식공법이므로 양생하는 기간이 길며 이 기간에 인부들이 술마시는 값도 계산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철근콘크리트는 짓고나서 5년정도는 멀쩡하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균열이 발생하고 지속적으로 관리를 해주어야 하지만 목조주택은 균열도 없거니와 별도의 유지비 가 들지 않으며 육안상 청결을 위한 외장재정도만 관리하면 됩니다.
-철근콘크리트보다 벽 두께(철근 약 400, 목조 300)가 얇으므로 조금 더 넓은 평수를 차지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료비가 적게듭니다.
-증축, 개축, 설비보수, 철거등이 쉬우며 자재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7) 화재에 강하다
목조는 상식적으로 불에 잘 탑니다. 따라서 화재에 취약하기때문에 위험하다는 생각을 하시는데...
-쉽게 활활타는 나무가 아닙니다. 타더라도 뼈대는 오랫동안 버티며 증거영상또한 유튜*에 많이있습니다. 철근이나 콘크리트는 600도가 넘어가면 녹거나 부서집니다. 하지만 목재는 타면서도 뼈대가 서있습니다.
-주택화재시 가장 위험한건 집이 다타서 없어지는게 아니라 사람의 목숨이라는 걸 아셔야 됩니다.
주변에서 교통사고 났을때 가장 먼저 묻게 되는 말을 생각해 보십시오. 차는 얼마나 부서졌는지 물어보는 사람은 없을겁니다. 다시말해 화재가 났을 때 사람에게 얼마나 안전한지를 보는 건데 OECD국가에서 주택화재시 사망률이 가장 높은 나라는 바로 대한민국입니다. 이는 기존 건축의 내외장재가 화재시 유독가스가 분출되어 질식사를 유발하는 겁니다. 사람이 타서 죽는게 아니라는 거죠.
목조가 탄다고 해서 사람이 연기에 질식하지도 않으며 다른나라에서도 목조주택 화재시 사망율을 보면 증명이됩니다.
1층 집인데 자다가 불이 났는데 못나오는 이유는 질식사이고, 목조는 기침하면서 일어나게 되는 겁니다.
-사람을 떠나서 집만 가지고 얘기한다면...목조든 다른 구조든 전소가 되면 아무집도 못씁니다.
첫째로 배관이 타면 벽이 멀쩡히 서있는 철근집도 배관때문에 다 뜯어내야 합니다.
둘째로 600도 이상 지속되었다면 철근도 녹아있고 시멘트도 부서집니다. 못을 박으면 벽이 부서집니다.
이 말은 어떤 구조재도 다 타면 못쓰는 집인 겁니다.

장점은 이정도로 하겠습니다.

4. 그렇다면 왜 그동안 대한민국은 그 좋은 목조주택을 여태 하지 않았나? 의문이 생길 수 도 있습니다.
목조주택이 국내에 도입된건 20년정도 밖에 되지않았습니다
그 전에는 하고 싶어도 못했던 이유가
첫째, 우리나라는 시멘트가 납니다. 전세계에서 기와를 시멘트로 만든 유일한 나라입니다.
둘째, 구조로 사용할 수 있는 목재가 매우 적습니다.
셋째, 있어도 중목구조(한옥)용이며, 땅이작고 인구는 많아서 아파트가 발달할 수 밖에 없었고 그에 따른 콘크리트에 대한 인식이 박혀있었습니다.
넷째, 수입을 하려고 해도 수요가 적어 매우 비싸서 옛날에는 정말 돈 많은 사람만 지을 수 있었습니다. (수요가 적어 컨테이너에 싣지를 못함...)
다섯째, 새로운 시도에 대한 두려움이 컸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여섯째, 국내에 들어온지 얼마 안되다보니 초반에 기술력이 부족해 문제가 많았습니다. 따라서 주변에서 꺼리게 되기도 했습니다.

제가 알고지내는 타업체 동료가있는데 그 업체는 모든 구조재를 다 하는 업체입니다.
R/C ALC 스틸하우스 조적 등등 다 하는 업체인데 작년 2015년 공사한 실적표를 보여준게 있습니다.
35채정도를 시공했는데 그 중에 딱 2채만 철근콘크리트, 1채는 경량철골, 나머지 32채는 경량목구조로 지었습니다.
다른업체도 마찬가지입니다. 목조주택 외에 다른 골조는 100채중 10채수준입니다.

제가 말씀 드리고 싶은것은...
목조주택은 유행이 아닙니다. 제가 몸 담고있는 업체는 목조주택만 전문으로 하는 전문업체이며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24년의 역사와 노하우를 자랑하고 있으며 어느 업체보다 실패의 경험이 많은 업체입니다.
다른 구조재도 종합적으로 할 수 도 있었지만 꿋꿋하게 목조주택의 길을 걸어온 이유는 전문성을 가지기 위해 적자가 나더라도 버텨왔고
국내 주택업계에서 3위를 하고 있으며, 목조만으로 따지만 1위를 지키고 있습니다.

다른 구조재가 나쁘다고 말하는게 아닙니다. 각 구조재마다 특성을 가지고 있고, 그 특성에 맞는 지역 및 성향에 따라 가시면 됩니다.
다만 그 용도가 정말 적절하게 사용되어 져야 하겠지요.
자동차 휠도 옛날에는 스틸이었죠.. 기술발달에 따라 알미늄휠이 나왔을때 두려워하는 분들이 많았습니다.
휘어질까봐...가벼워서 괜찮을라나 부식이야 안되겠지만....
지금 누가 스틸휠을 쓸까요...?
시기가 지남에 따라 알미늄휠은 현재 당연시 되어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과도기에 있기때문에 아무래도 거부감도 있고, 고집이 남아있고 인식이 안잡혀있을뿐....
때문에 제가 지금 이렇게 열씸히 자판을 두드리고 설명을 하는거겠죠.
참고로 마진율로 따지면 목조보다 철근이 많이 남습니다.
같은 돈이면 건축주꼐서는 목조로 가는게 남는겁니다.

이상 제 답변은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짧지않은 내용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요...
궁금하거나 문의하실 내용 있으시면 문자나 전화, 쪽지 어느경로든 환영하겠고요^^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추천 0

IP : 507b6ebf0862d7c
갑자기 붕어간지님 하고 친하게 지내야겠다는 생각이`~~ ㅠㅠ


외상으로 도 되나요?

ㅎ 농인거 아시죠?
추천 0

IP : 5fbebe067ef24ef
말씀하세유...ㅋㅋ 로또번호 뽑아드립니다 ㅋ
사무실에 탁구공45개 번호써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