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슬이 깍꿍님ᆢ
낚시방에서 파는 새우는 보통 채집하여
판매하는 보리새우 이고여 민물새우중
백새우라고 있는데 보리새우보다 껍질이
연해서 더 좋다고 합니다
새우는 죽어서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몸통과 목이 분리가 됩니다 되도록 죽지 않게끔
보관해야 하며 입질을 빨리 받기위해
머리를 눌러 죽이거나 뿔과 수염을 자르고
몸통의 껍질을 제거하고 쓰기도 합니다
이때 새우의 눈과 머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합니다ᆢ
동일 조건이라면 '
입질 받기는 지렁이가 냄새나 움직임에서 빠를거라 생각듭니다.
새우는 무조건 그런건 아니지만,
붕어의 사이즈 선별을 위함이 큰 이유중 하나일겁니다.
저도 예전엔 큰 새우를 매장에서 구매해서 갔지만
지금은 파는곳도 많이 줄었고
현장에서 채집하여 사용합니다.
선별력은 새우가 한수 위인거 같습니다.
쓰는 이유는
시각적으로도
효과를 보기 위함입니다.
지렁이가 입질 받기는 빠릅니다.
낚시방에서 파는 새우는 보통 채집하여
판매하는 보리새우 이고여 민물새우중
백새우라고 있는데 보리새우보다 껍질이
연해서 더 좋다고 합니다
새우는 죽어서 시간이 조금만 지나면
몸통과 목이 분리가 됩니다 되도록 죽지 않게끔
보관해야 하며 입질을 빨리 받기위해
머리를 눌러 죽이거나 뿔과 수염을 자르고
몸통의 껍질을 제거하고 쓰기도 합니다
이때 새우의 눈과 머리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합니다ᆢ
보편적으로
지렁이에 반응이 빠른것 같습니다
입질 받기는 지렁이가 냄새나 움직임에서 빠를거라 생각듭니다.
새우는 무조건 그런건 아니지만,
붕어의 사이즈 선별을 위함이 큰 이유중 하나일겁니다.
저도 예전엔 큰 새우를 매장에서 구매해서 갔지만
지금은 파는곳도 많이 줄었고
현장에서 채집하여 사용합니다.
선별력은 새우가 한수 위인거 같습니다.
낚시점에 있어도 크기가 작습니다
새우미끼엔 잔챙이도 덤비지만....
토종터 기준 큰씨알을 잡기 위한 미끼입니다
입질빈도는 지렁이가 많고 빠릅니다
근데 잔챙이가 지렁이 끝을 물고 헛입질을 자주하기에 스트레스가 많습니다
지렁이
새우
참붕어
정도로 보시면 될거같네요
씨알선별력 순이라 보심될거같네요
밤낚에 좀더 큰녀석으로
확률을 높일려면 새우나 참붕어...
뭐 항상그렇듯 정답은 없습니다
채집해 쓰는데 미끼용 선별해두고
나머지는 냄비로 갑니다 ㅋㅋ
정답은없는듯 합니다
새우쓰다가 몇대는 강냉이 채워놓으면
강냉이한테 입질오다가 이랫다저랫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