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력 5그램 찌가 10목이면 한 목이 0.5그램 부력에 대응하는 것으로 보면 맞을까요? 달리 말하자면. 분할봉돌에서 1그램 바닥 봉돌이면 이 봉돌이 들리는 경우 2목이 올라오는 것이 맞는 것인지요? 갑자기 궁금증이 폭발하네요.^^
찌마다 다르겠지만
몸통 잠구는데 대부분 부력이 들어가고
제품따라 차이는 있지만
스위벨 할때 해보면 약 0.5g정도가
찌톱을 내리는 무게였습니다
그래서 스위벨 무게를 0.6g정도 줍니다
두께도 굵기차이 많이 납니다
꼬인 트위스트 톱도 있고,
찌탑길이에 따른 무게 차이도 있을거고,
입질시 봉돌이 들리는 경우도,
순부력 차이따라 틀립니다
찌 소재 부력 찌톱소재
채비 올려주시고,
질문하시는게 원하는 답얻으시는데
도움되실겁니다
그러면 0.6그램 바닥봉돌이 들리면 찌톱이 다 올라온다고 보면 될까요?
저의 궁금증이 바로 그 부분입니다.
순부력 5그램이라면 0.5그램이면 한목이라고 보면 되는지.
찌를 만들 때 이 기준으로 만드는 것이 아닌지.
소재도 나노로 균질하니까 탑 길이도 평균값 산출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탑 소재야 솔리드 또는 카본으로 매끈한 형태라고 보구요.
스위벨만 올려도 찌톱은 다 올라옵니다
나노찌에선 올라오는 속도가 너무빠르니
본봉돌에 추가 오링으로
컨셉 조절하구요
보통 딸깍 맞춤에 소짜나 중짜 추가합니다
안할때도 있구요
무게를 스위벨과 본봉돌 사이에서
올리거나 내리는 업다운 채비도 있구요
전체무게를 단순 나누기로 계산하는건
틀린겁니다
5g찌에 0.5g봉돌달면
9목이 나오는거 아니니깐요
스위벨 채비던 원봉돌 채비던 봉돌과 찌의 밸런스가 깨지는 상황은 동일하다고 보아야 하는거 아닌지.
결국 부력과 침력의 밸런스가 깨지면 찌가 상승하는 것인데묘.
그 깨진 정도(?)가 스위벨이 다르고 원봉돌이 다르다는 것인지 좀 이해가 안가서요.
0.6그램 스위벨은 균형이 쉽게 깨지고 5그램 본봉돌은 어렵게 균형이 깨진다고 볼 수 없다고 보거든요.
찌맞춤 기준이 어차피 동일하기 때문에 다를 수 없다고 보는 입장이거든요.
예로 찌고무 하단 일치.또는 케미상단 수면일치 등.
이런 의문의 시작은 찌톱에 구분된 목수를 보다가 생겨난 궁금증이었습니다.
톱에 그려진 목의 구분이 봉돌의 분할에서는 일관되게 적용된 것인가? 라는 의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