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폭님 그럼 낚시방 사장이 싫어합니다. ^&^
어쩌다가 그런 상황이 되면 봉돌을 더 깍아서 원줄을 길게 메서(약 15Cm 정도) 바늘로부터 약 7Cm 위에다가
알맞는 조개봉돌을 달고 낚시하면 오히려 예민한 채비가 되더군요.
즉 분활봉돌이 되는 셈이지요.
원줄에 달면 혹 줄이 상할수도 있고, 특히나 봉돌을 빼버릴때는 원줄이 상하는 경우가 많아서...
저수지 풍경님 의견에 한표..
2봉단차나 외봉 사용시 목줄이 길다면 풍경님 말씀 처럼 하는게 찌올림 좋읍니다..
낚시점 가면 방랑자 채비라 해서 2봉단차에 쫍쌀봉돌 물려서 파는것 있읍니다.
채비 교체하기 귀찮으시면 방랑자 채비 한묶음 이면 해결 됩니다..
요즘 분납 봉돌 나옵니다.. 봉돌 중간에 구멍이 뚫려 있어서 원줄 손상없이 사용이 편합니다.
1호부터 4호까지 크기 별로 나와 있어서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 합니다..
목줄에 달 경우 채비 안착에 발란스가 깨지게 됩니다
긴목줄이 10~12cm , 짧은목줄이 7cm 정도 되는 단차 이봉을 사용하기에 긴목줄 중간쯤.. 짧은 목줄 바늘 높이와 맞춰 답니다.
예민한 찌맞춤을 했어도.... 간사한 입질이나... 찌올림이 좋지않으면...
목줄길이를 짧게 하고 분할봉돌채비 비스므리하게 하면 약간에 차이지만.... 좀 더 쉽게 파악되는듯해서... ^^;
목줄을 길게 사용하실려면 메인봉돌 바로밑에 다시고
예민한입질 보실려면 바늘위2~3센치 정도에 물리시고요
즐낚, 안출하세요~~^^*
수초 많은 곳이나 대물 낚시면 봉돌 바로 위에 다시는것이 좋을듯 합니다
고집도 있습니다.
저두 처음에 부력마추다가 잘못깎아서 좁쌀추 처음달때 고민을 잠시? 했습니다.
목줄에 달면..바늘바꿈시에 또 마춰야하니깐 귀찮겠단 생각이 스치더군요
그래서 그이후로는 ~쭉~수초던 백사장이던간에 무조건 원줄에 답니다.
원줄터지면..
낚시방가서 사장님에게 줄 매달라구 합니다.
공짜로 4호원줄 매어줍디다.
그래서 낚시줄은 안삽니다. ㅡ.ㅡ;
결론이 삼천포로 가버리네 ...제길 ㅡ.ㅡ;;
어쩌다가 그런 상황이 되면 봉돌을 더 깍아서 원줄을 길게 메서(약 15Cm 정도) 바늘로부터 약 7Cm 위에다가
알맞는 조개봉돌을 달고 낚시하면 오히려 예민한 채비가 되더군요.
즉 분활봉돌이 되는 셈이지요.
원줄에 달면 혹 줄이 상할수도 있고, 특히나 봉돌을 빼버릴때는 원줄이 상하는 경우가 많아서...
2봉단차나 외봉 사용시 목줄이 길다면 풍경님 말씀 처럼 하는게 찌올림 좋읍니다..
낚시점 가면 방랑자 채비라 해서 2봉단차에 쫍쌀봉돌 물려서 파는것 있읍니다.
채비 교체하기 귀찮으시면 방랑자 채비 한묶음 이면 해결 됩니다..
요즘 분납 봉돌 나옵니다.. 봉돌 중간에 구멍이 뚫려 있어서 원줄 손상없이 사용이 편합니다.
1호부터 4호까지 크기 별로 나와 있어서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