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시 대를 마니 피자나요~~~~~
그래서 질문이 있는데요
보통 받침틀을 이용해서 피자나요~~그러면....
바로 옆에 낚시대와 간격이 그렇게 넓지가않아요....... 어떤식으로 앞치기는 하는가요......;;;;
돌려치기를 할수도없고요.......
앞치기를 해서 정확히 투척을해야될것같은데요......
연습많이 살길일까요???
아니면......받침틀의 방향을 쫌 넓게 벌리는게좋을까요????
선배님들 좋은 하루되세요~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무엇보다도 제일중요한것은 원줄을 짧게맨다는것이지요 그리하면 정면에서 정확하게
바라는 포인트에 찌가입수된답니다 다른방법보다는 이방법이 좋은거같아서 올렸습니다
언제나 안출하시고 건강하십시요
근데 희안하게..... 앞치기를 하다가....옆에 낚시대에 부딪히고요;;;;ㅋㅋ
간격을 벌리게 되네요...;;
떡밥낚시만 하다가...대물할려니......적응이 안되요....ㅋㅋ
떡밥낚시할때 앞치기는 정말잘했거든요....근데 낚시대가 많아서 그런지... 앞치기가 힘들어요 ㅠ
뒤꽂이의 높이를 앉았을 때 무릎 높이나...그 이하로 낮춰 보세요....
그러면 조금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즐거운 낚시 하세요....
항상 최고로 올려놓고하거든요....;;;ㅋ 음.....
괜찮은 방법이네요~~감사합니다 ㅋ
봉돌이 무겁다면 이방법도 좋아요
대끝을 휘어서 탄성으로 안날려도되고요
너무 각이 없으면 저도 걸리적 그리더라고요
앞치기 편하고 어차피 많은 챔질이 필요하지 않는 낚시니까
챔질시 불편함도 없고 오히려 순간의 강한 챔질이 필요한 대물낚시 챔질에는 더 적합합니다.
물론 줄은 짧게 매셔야 하고요. 줄 길게 매서 좋을 것 하나도 없습니다.
짧은 대는 한자 정도 긴 대는 거의 손잡이 대 근처까지 짧게 매야 합니다.
통상 떡밥낚시 원줄을 낚싯대 길이와 비슷하게 매는데 그런 줄 길이는
특히 대물 상면했을 때 제어가 안돼 주위 낚시대 다 감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투척입니다.
우선 짧은 대는 떡밥낚시 할때 앞치기 할 때보다 손목의 각도를 좀 들어주십시요.
다시 말하면 떡밥낚시 할때 앞치기에서 채비를 쥔 손을 놓기 전의 낚시대 각도가 거의 수평에 가까울텐데
이를 45도에 가깝도록 들어주는 것입니다.
그리고 긴대는 좀 귀찮더라도 반쯤 일어서서 투척하십시고. 여의치 않으면 완전히 일어서서 투척하셔요.
기본적으로 수초 등 장애물을 끼고 하는 대물낚시는 정확한 투척이 생명입니다.
특히 바람이 좀 부는 날은 더더욱 그렇습니다.
좀 편하게 하겠다고 앉아서 던지다 포인트 주변 수초를 걸기라도 하여
채비 꺼낸다고 부산떨면 그날밤 대물은 저~ 어 ~ 멀 ~ 리 갑니다.
36대 앉아서 앞치기 한다고 하시는 분들 있는데 맹탕에서라면 모르되 수초지대에서
바람부는 날 앉아서 36대를 포인트에 정확히 넣으실 수 있는 고수과 과연 몇이나 될런지.....
물론 앉은 자리가 상대적으로 많이 높다면 불가능하지도 않지만.....
또한 떡밥 채비는 통상 2대 정도 편성하기 때문에 다른 대의 캐미를 보고 위치를 가늠하지만
대물낚시는 깜깜한 밤에 받침대 끝을 보고 투척해야 하기 때문에
앉아서는 받침대 끝이 잘 보이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어쨌든 채비투척 횟수가 적은 대물낚시는
귀차니즘나 채력적 부담 보다는 정확성에 우선을 두어야 할 것입니다.
너무 설명이 머찌십니다~^^
대물 초보에게 이렇게 친절하게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한주가 시작되었네요~~모두들 일상으로 돌아오셔서~~ 열심히 일하시고~~
이번주 한번 또 달려봅시다~^^
화이팅입니다~
그렇게 해 놓으면 좌측대에서 입질이 왔을시 정 가운데 의자를 배치 해놓는것 보다 챔질할때 팔 이동이 빠르기도 한편
우측에 편성되어 있는 낚시대 앞치기 할때에 좌측대 맨 끝부분에 앞치기를 합니다!! 몸은 좌측대 끝에 있더라도 앞치기 할때
낚시대 방향은 던지고자 하는 방향으로 향해 있어야 겠지요..저도 첨엔 앞치기할때 걸려서 무진장 애를 먹었는데 이렇게 하다
보니 앞치기 할때 수월 하더군요
받침틀은 놓을 수 있는 한 최대한 낯추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저격수님 다 적어 놓어셨네요. 저도 한수 배우고 갑니다.
안출하세요~
명심하겠습니다~~ㅋㅋ
그게 정확일것같네요 ㅋㅋㅋㅋㅋㅋㅋ
특히나 기상에 따라 낚시대의 칸대에 따라
장대일수록 정말 힘이들지요
운동을 예를 들자면 아주 간단하지요
많이 연습하고 많이 해보고
암튼 필드에 나가서 한번이라도 더 던져보다보면 경험상 나도 모르게 낚시대를 잘 투척하는
프로가 되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는 5.2칸대까지 앞치기를 하지만 아직도 힘듭니다
아마도 많은 경험이 정확한 투척의 정답이 아닐런지요~~~~^*^
낮낚시에는 앞받침대앞에 보이는 사물(전봇대.나무.능선등등) 에 맞춰 그곳을 보며 앞치기를 합니다...~!
..밤낚시시 앞받침대의 주걱캐미를 보고 정확히 던지려고 한다면..정확한 앞치기가 됩니다..
제일중요한건..~!!
종이컵을 세워놓고 눈을감고 맞출수 있을정도가 된다면 가장 좋습니다..
개인적으로 옥상에서 예전에 연습을 많이한 기억이 있습니다.
저두 종이컵놓고 연습해야겠네요..
무엇보다도 욕심을 없애고 원줄길이부터 줄여야겠죠!!
4.0대,44대도 덜 힘들어요..
저두 감사 합니다..
원줄 조금 짧게매고
받침틀 뒤로 넓직한 돌 놓고 없으면 우유박스 엎어놓고 위에 올라가
투척하면 잘들어갑니다(포인트가 평지인 경우. 경사가 잇으면 구지 그렇 필요없어도
높은 위치이니 다른 낚시대에 부딫치지 않습니다)
받침틀을 최대한 낮게 하시는게 투척에 용히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