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대물낚시를 시작한지 한 1년이 좀 넘었습니다
아직 한수도 못하였지만.. 열심히 조금씩 노력해 가면서 알아가면서 해 나가고 있습니다
요즘 워낙 잡지를 못해
채비에 대한 궁금중도 많이 생기고 의심도 하게 되네요
여쭈고자 하는것은.
저는 찌를 구입시 수조통에서 맞추지 않고 현장에 나가
찌와 봉돌만 달고 좀 앞쪽에 던져 찌톱이 약간 안나오게 해서 맟추고 있습니다
그다음에 핀도래와 바늘을 달아서 쓰고 있구요
이 저의 맟춤에 문제가 있는지 문의드립니다
그리고 수조에서 항상 꼭 맟추어야 하는지도 문의드립니다 .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퐁당 내려앉거나 거의 둘중 하나 입니다.
찌에 따라서 조금씩 마추는게 틀립디다...
월척 어디게시판인진 모르겠지만..
동영상으로 나와잇더군요..찾아보시면 도움이 되실듯하네요..^^
저두 찾느라 헤메었네요 제길 ㅋㅋㅋ
대물낚시 는 궂이 찌맞춤이 필요없다 말씀들 하시지만 전 되도록 수평찌맞춤으로 할려고 합니다..수평찌맞춤상태로 맞춰놓으면 아주 환상적인 찌올림을 보실수 있습니다..
많이 무겁게도 써보고, 예민하게 써보았는데요
지금은 아주 자연스럽게 물속으로 찌가 입수되게 쓰고 있습니다.
보통 찌맞추는것보다...
많이무겁게 사용하고있읍니다
한데 아직 대물을 잡지못해서 패스...ㅎㅎㅎ
대구월드컵경기장옆에 대진지는 아주 예민하게 하거나 아예 내림으로해야 입질을 받는다하고
영천에 도유지도 예민한 찌 맞춤에 바늘도 작은걸 써야하고 목줄도 2호정도로 길게 써야 입질을 잘 받더군요(불암지도 동일)
저수지 바닥이 많이 찌들거나 청태가 많은저수지는 경험상 목줄을 길게하고 찌를 예민하게 사용하니 잘되더군요^^
개인적으론 외래종이 많이잇는저수지는 무조건 이방법을 선호합니다...
현장도착후 상황에따라 방법을 달리해보시는것도 좋은 방법일수 있습니다...
초창기 시절에 애 많이 먹었죠.지금은 2b에서 3b봉돌 사이 정도 무겁게 씁니다
무겁게 쓰지 않으면 잔챙이,대물 찌올림 구분하기 힘들걸요...
찌맞춤한다고 퐁당거려서는 오히려 마이너스요인이 될것입니다.
수조에서 내려갔다 서서히 올라오는 찌맞춤이면
대물채비 다달면 웬만한 찌맞춤이 될겁니다..
새우나 참붕어 달때는 좁쌀을 하나 더 물려주면
좋을것 같네요..
미끼빼고 다 달아서 케미끝이 수면과 일치하거나(수초가 별로없는 저수지에서 찌맛을 보고자 할경우)
서서히 가라않히는( 수초가 많을경우) 찌맞춤하면 안되나요..?
찌를 무겁게 맞추는 것은,
잔챙이 입질에 반응이 없도록 하는 것이고 주로 수초를 많이 끼고 낚시를 하다보니까 무겁게 맞추는 것이 아닌가요..?
대물낚시 찌 맞춤 쉽게 생각하세요...봉돌만 바닦에 닫도록만 하면됩니다.. 찌가 갑자기 팍 들어가게
무겁게 맞춰도 큰넘들은 다 흡입하며 점잖게 찌를 올려 줍니다..ㅎㅎㅎ
던져서 풍덩~~ 대물낚시에는 정확한 채비안착이 제일입니다.
더 편합니다
대물찌맞춤은 무겁게 맞추는게 보통인대
현장에서 맞추시려고 하면 감잡기 힘듬니다
수심깁은곳에서 맞출려면 빠지면서 할수도 업고
대물찌맞추시려면 편한한 집이나 낚시방에서 맞추시고 셋팅해서 월님 만나러 가시느게 낳읍니다
도래와 바늘을달고 현장에서 맟추는것이 원칙입니다
현장에서든 수조통에서든...
대물낚시 찌맞춤법입니다 ㅡ,ㅡ
전반적인 무거운 찌맞춤이 좋다 생각하며 현장 맞춤시 위에 말씀하신
까망붕어님 처럼 봉돌만 달고 수평맞춤후 비 봉돌 물어 주시면
약간 무거운 찌맞춤이 되겠네요...^^*
엄청무거운 채비인데도 4치부터 월척 잉어 60등등 찌를 재미있게 잘올려주더군요^^
제경우에는 수조맞춤은 바닥에서 통통튀길정도로 사용합니다..
개인적 소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