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물낚시를 하시는 분은 주로 원줄이 4호5호
이상이기에 크게 매듭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
듭니다.
저두 처음에는 꽈배기 매듭,무 매듭을 많이 사용
해보았는데 좀불편하고,또한 인장강도로 보았을때
큰 문제는 없는듯하여 지금은 팔자 매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바늘,봉돌교체도 손싶고요
저는 개인적으로 목줄5호합사,원줄은 대물4호 사용합니다.
나름대로 각자 사용법이 다르겟지만 사용자가 편리한 방법대로 하시면 될듯하며
제경우 8자매듭 잉어84 /월38 등 터져 본적이 없습니다 단,한 번 더 매는방식을 사용하는데 줄은 매듭을 할수록 약해집니다 원줄과 목줄강도를 높이면서 매듭을 한번 더하면 웬만한건 다 나오고 수초나 고사목에걸렸을때 매듭부분이 털려?낚시대도 보호 될듯합니다
참고로 원줄 카본 5호 콕줄 카본 4호 감성돔4-6호(장대42대이상은 6호)
제경험으로도 고기를 걸어 수초에 감았을때 (고기많이 떨굼 실력부족ㅎㅎ)와
바늘이 수초에 걸였을때 채비손실은 거의가 고기를 걸었을때 보단 수초에 바늘이 걸였을 때였습니다.
그래서 전 수년전 부터 원줄5호 초리실 8자 봉돌에은 그냥한번감아 침발라서 매듭합니다.
수초에 바늘이 걸였을때 조심스레 시도해보다 안되면 과감히 땡기면 매듭이 약한 봉돌 내지는 원줄 이나 바늘
이 터지기 때문에 채비손상을 최소화 할수 있었습니다.
실력이부족하여 아직까진 4짜한번 잡아보지 못하였고 (37이최고) 아직도 고기를 수초에 감아 자주 떨구지만
내채비의 강한 믿음으로 4짜의 그날까지 ....
일요낚시에 원줄과 봉돌묶음법
동영상 있으니 참조하세요...!!
누가 좀 알려주세요.....
일단 팔자매듭하는방식으로 잡으시고 합사줄을 일자로 그위에다가 덧데서 묶으시면 간단합니다
안계장터님이 사진과함께 자세한 무매듭의 방법이 나와 있습니다
참고하시면 좋을듯 싶습니다
이상이기에 크게 매듭에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
듭니다.
저두 처음에는 꽈배기 매듭,무 매듭을 많이 사용
해보았는데 좀불편하고,또한 인장강도로 보았을때
큰 문제는 없는듯하여 지금은 팔자 매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바늘,봉돌교체도 손싶고요
저는 개인적으로 목줄5호합사,원줄은 대물4호 사용합니다.
아직 약하다고 느낀적은 없었습니다.
이외에 무매듭도 있지만...... 찌를 바꾸어줄때에는 팔자매듭이 편합니다.
아직까지 팔자매듭이 가장 좋지 않나 생각합니다.....
원줄 1~2호 정도의 떡밥 할때는 약할수도 있겟지만요 원줄 4호 이상에 충격이 있을까요?
8자매듭에 끊어질만큼 큰 붕어가 과연 있을까요...
그리고 약간의 불편함도 따르구요...
8자매듭해서 제발 부탁인데..
한번만이라도 좀 터져봤으면...ㅜㅜ
잉어 덩치급 걸어도 왠만하면 안 터지는거 같던데..
8자매듭만 고수 하고 있습니다만..ㅎㅎ
매듭 대충하셔도 왠만해선 터지지 않습니다
너무 어렵게 생각하지 않으셔도 될것입니다
행복하고 건강한 출조 되십시요
원줄은 시가 에이스 4호줄을 사용합니다.
강합니다..
제가 댐에서 떡밥 대물낚시하면서 일만원대 2.5호 카본줄을
사용해 왔지만 터진적은 한번도 없었습니다.
오늘 붕*하*에 주문한 대물 4호 카본줄 받아서 몇대 셋팅했습니다.
가는줄 쓰다가 4호줄 셋팅해보니 신*향 낚시대가 버텨줄지......
팔자매듭 여러가지로 편리하고 든든합니다.
좋은꿈 꾸십시오~~~~~~~~~~~~
사용하고 있는데 아직매듭이 나간적은 없습니다..
개인적으로 8자 매듭으로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고 보며, 실제 원줄이 터질때 매듭부위가 터지기 전 원줄 손상부위가 먼저 터지는 것을 주로 경험했습니다. ^^
다만 좀더 견고하게 하자면 팔자매듭하면서 릴리안사나 케브라줄 등을
원줄과 같이 덧대어서 팔자매듭을 하면 더 튼튼한 채비가 됩니다.
한번만 터질고기 걸어봤으면...
4짜 한바리 해봤으면....
우예 어쩌다가 올라오면 턱걸이여.....
나두 매듭 걱정 함 해봤으면....
그냥 8자 매듭하던, 무매듭 하든 나오던데요..
바늘만 펴지거나, 목줄이 터지는 일 없으면 그냥 써도 .......
8자 사용 합니다 좋습니다
채비에 대한 믿음 보다는 의심으로,
의심이 즐거움보다는 낚시에 구속되게 합니다.
제경우 8자매듭 잉어84 /월38 등 터져 본적이 없습니다 단,한 번 더 매는방식을 사용하는데 줄은 매듭을 할수록 약해집니다 원줄과 목줄강도를 높이면서 매듭을 한번 더하면 웬만한건 다 나오고 수초나 고사목에걸렸을때 매듭부분이 털려?낚시대도 보호 될듯합니다
참고로 원줄 카본 5호 콕줄 카본 4호 감성돔4-6호(장대42대이상은 6호)
일반낚시 원줄3호이하정도면 무매듭법 하시면 될듯합니다,
이유는 윗분들 말씀대로........
★제일 중요한 것은 자기자신에 대한 믿음인가 생각합니다.
본인의 채비에 대한 자신감 아니겠는지요!!!!
8자 매듭이라고 해서 매듭부분이 쉽게 터지진 않는것 같습니다.
당연히 무매듭이 강하겠지만요.
모노든 카본이든 아직 터트려 본적이 없는디...
4호 이상이면 어떤매듭이든 상관없으리라 봅니다.
그리고 원래 매듭법이 바다낚시 쪽에서 유래된거 아닌가요.
민낚시 쪽에는 전층낚시 도입이후 매듭법이 중요하게 여겨졌지,
바닥에서는 별 효용이 없는걸로 아는데요?
바늘은 묶어서도 쓰는데 주로 묶인바늘 사용함니다
수초에걸려도 낚시대하고 원줄하고 일직선이되게해서 원줄이 받을수있는한계점가까이서
더힘을주지않고 그상태에서 지긋이 잡아당긴다는 식으로 끌면 바늘만 부러져서 나옴니다
아직까지 한번도 원줄터먹은적없습니다
8자로묶어서터진다면 무매듭도터질거라생각되는데요
저번tv보니까 8자나 무매듭이나 버디는 강도는 비슷하게 나왔다는 실험후기를 본적이
있네요 8자라고해서 불안감같은건 버리고 즐낚하시길.....
너무나도 튼튼한 매듭에는 득과 실이 공존합니다.
줄은 끊어질 부분에서 끊어져야 되며 그래야 낚시대나 찌의 손실을 방지 할수 있습니다.
목줄 끊어지고 만약 안끈어지면 봉돌에서 끈어지는게 가장 이상적인 매듭법 같은데요....
월척님 모두의 생각은 어떠하신지요?
그냥하던데로 쭉 8자로....
붕어 터지면 팔자지요.....^*^
안출하세요..^*^
제경험으로도 고기를 걸어 수초에 감았을때 (고기많이 떨굼 실력부족ㅎㅎ)와
바늘이 수초에 걸였을때 채비손실은 거의가 고기를 걸었을때 보단 수초에 바늘이 걸였을 때였습니다.
그래서 전 수년전 부터 원줄5호 초리실 8자 봉돌에은 그냥한번감아 침발라서 매듭합니다.
수초에 바늘이 걸였을때 조심스레 시도해보다 안되면 과감히 땡기면 매듭이 약한 봉돌 내지는 원줄 이나 바늘
이 터지기 때문에 채비손상을 최소화 할수 있었습니다.
실력이부족하여 아직까진 4짜한번 잡아보지 못하였고 (37이최고) 아직도 고기를 수초에 감아 자주 떨구지만
내채비의 강한 믿음으로 4짜의 그날까지 ....
저희 조우회 회원님도 이 채비로 바꾼분이 몇분계십니다
뭐가 잡히야지 매듭걱정이라두 하지 원.~~ㅎㅎ
봉돌은 팔자매듭으로 합니다~
그래야 최악의경우 찌는 건질수 있더라구요...ㅎㅎ
그리고 무매듭은 봉돌교체하면 원줄이 자꾸만 짧아져서리... ^^
전 팔자매듭으로 잉어 98센티짜리도 걸어내도 괜찬습디다...
강도에 믿음이 안가시면
팔자매듭을 두번 중복으로 해서 묶으시거나. 가는 합사즐 덧데어 묶어서 사용하면
절대 강도에서 뒤떨어지질 않습니다.
팔자매듭후 끝자락 줄을 조금 남겨두는게 좋은것 같습니다.
저같이 대물낚시 흉내내는 넘은 팔자매듭이라야 찌도 바꾸고 봉돌도 바꾸기 쉽구요,
일요낚시나 전문 프로낚시인들은 월척보다 사짜 오짜에 찌들은 수초대 공략을 하니
무매듭법을 말씀하시는 것 같습니다.
어디서 읽었는지 잘 기억이 안나는데요,
팔자매듭이 약해지는 것은 처음 묶을 때 조여지면서 생기는 열에의한 것이라고,
그래서 반드시 처음 묶을 때는 조일 때 침한번 바르고 (입에 잠깐 무는게 낫겠지요?) 당기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저도 침바르고 있습니다.
봉돌에는 어부매듭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