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배님들 무더운 날씨에
건강 관리 잘하시어 즐낚들 하고 계신지요
궁금 한것이 있어서 질문좀 드립니다
제가 알기로는 수심이 3미터가 넘어가면 붕어들이
바닥이 아닌 중층으로 떠서 적정 수심까지 이동 한다고 알고잇습니다
붕어들이 바닥으로 다니는 가장 깊은 수심층이 얼마나 되는지요
3미터 정도가 맞는지요?
가장 깊은수심 몇 미터까지 입질을 받을수 있는지궁금합니다
선배님들에 조언을 구합니다^^
항상 행복 하세요
자연을 후손에게 물려줄 가장 큰 유산입니다!
5분만 청소 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붕어란 놈이 안다니는곳 없이 잘 다닙니다...역마살이 꼈나 ㅋㅋ
소류지가 전체적으로 수심이 깊다면 깊은 수심에서도 나오고요
평지형이면은 대체로 1m내외에서 입질을 합니다
물론 갓낚시로는 43~40에서도 나오고요
소류지의 형태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붕어들은 먹이 활동을 할때는 수심층에 관계없이 물가로 나온답니다
&& 환경을 파괴하지 맙시다
5m ㅡ 6m권 입질을 받을수 있습니다.
흠........
답이 나오지 않을까 합니다.
5m 이하라고 생각됩니다
낮낚시는 3m 전후권 밤낚시는 1m 권이 조과가 좋습니다
월척캠페인: 오분만 청소합시다
저두 수심10m가 넘는 곳에서도 붕어잡은 경험이 많습니다.
수심은 4m40-50 정도구요 29-32대로 4대 폈습니다
조과는 한마리 32cm 급이었습니다 붕어의 먹이 회유 수심층은 여건만 된다면 10m도 가능 하리라 생각 합니다
먹이활동을 꼭 상류 연안에서 한다? 누가 정답이라고 딱 말할 위인이 있던가욧.
참고로 올해 저는 무조건 중류이하, 즉 중하류나 뚝방에서만 낚시했는데요.
올해 조과는 현제 30호로... 1회출조에 1.5마리 잡았습니다. 이정도로 월등했습니다만! 상류요? 글세요^^*
20일전에 수심 4.5미터에서 3치도 낚았고 턱걸이 월척도 낚았음다~
삼촌의 보트낚시에선 작년에 7미터에서 35이상 월척도 몇수 했습니다.
한치 거짓없는 사실이니 참고 하세요~
아닐까 생각합니다.
오분만 청소합시다.
3.2대보다는 4.0대 6미터 가까이 되는 수심에서는 입질이 더더욱 활발합니다.
사천 두량지는 빠르면 1월중순 늦어도 2월초부터 붕어가 잘 나오는 곳입니다.
릴낚시로 수심 20미터 이상에서도 붕어가 나옵니다. 붕어가 있는 그곳에 미끼가 있으면 분명 입질은 옵니다.
수심이 깊은 저수지에는 그나름대로 붕어는 수심에 적응을 합니다.
20여년전 합천댐에 붕어를 방류했을 때 손바닥만한 붕어가 수심이 얕은 곳에서 주로 잡혔습니다만 이제는 깊은 수심에서도 적응하여 20미터 이상 릴에서도 붕어가 올라옵니다.
여러 선배님들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하지만 원하는 새우낚시의 대물은 잘 안나옵니다
특히 토종붕어는 깊은수심에서 먹이 할동 잘안하는것 같습니다
떡붕어;;; 10미터에서 낚이고 먹이 활동 합니다
정확한 데이타 읍습니다,,,
개인의생각입니다,경험입니다
5m권에서 붕어 나옵니다.
1.5~2.5m 마릿수에서는 처지고
사이즈면에서는 월등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