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봉수로채비 "어렵지~~~않아요" 중통이라함은 원줄이 유동홀더를 관통하여 붕어가 먹이를 흡입할 때 찌가 내려가는 현상이 나타나는 채비입니다. 백봉채비는 유속이 있는 곳에서 낚시채비로 개발한것이구요. 이미 보편화 되어있는 채비입니다.
또 얼래벌레는 붕어가 먹이를 흡입하고 이물감 없이 유유히 유영하다 어느정도 길이가 확보된 목줄이 팽팽해지면 찌가 내려가던지
올라오던지 두가지 반응이 나타납니다.
또한가지는 편대채비가 있는데요 일반적인 편대는 가운데 납봉이 있는데 백봉에서 사용하는 편대는 가운데는 없고 양쪽끝에 좁쌀을
달게되면 예빈한 입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백봉은 유속이 있고 바닥지형이 갈매기 현상같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백봉에서 낚시할때 반드시 여러번 투척후 빈바늘 상태로 바닥 지형을 잘 읽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느지점에 가서 찌가 올라온다 던지 아니면 내려가는 현상들이 있습니다.
바닥 지형을 알았다면 바늘과 미끼를 달고 실전으로 찌를 보시면서 입질 파악을 하셔야 합니다.
긴목줄에 유동 황동추를 장착하는 겁니다.
방랑자채비에서 좁살봉돌은 고정이죠?
백봉채비에서는 좁살봉돌을 유동을 주는 형태에요.
이것도 저것도 아닌 그냥 얼레벌레채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도 이해가 안가시면 쪽지주세요.
귀찮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ㅠㅡ한번더 수고 부탁드려요
내공높은 가르침 한수 부탁드립니다. 꾸벅 ^ㅣ^...
또 얼래벌레는 붕어가 먹이를 흡입하고 이물감 없이 유유히 유영하다 어느정도 길이가 확보된 목줄이 팽팽해지면 찌가 내려가던지
올라오던지 두가지 반응이 나타납니다.
또한가지는 편대채비가 있는데요 일반적인 편대는 가운데 납봉이 있는데 백봉에서 사용하는 편대는 가운데는 없고 양쪽끝에 좁쌀을
달게되면 예빈한 입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백봉은 유속이 있고 바닥지형이 갈매기 현상같이 생겼다는 것입니다.
백봉에서 낚시할때 반드시 여러번 투척후 빈바늘 상태로 바닥 지형을 잘 읽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어느지점에 가서 찌가 올라온다 던지 아니면 내려가는 현상들이 있습니다.
바닥 지형을 알았다면 바늘과 미끼를 달고 실전으로 찌를 보시면서 입질 파악을 하셔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