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수초에 가까이 붙이는 방법좀 알려주세요

IP : 029ed9de51e3ae7 날짜 : 조회 : 11921 본문+댓글추천 : 0

큰 일교차에 감기 조심들 하세요 제목처럼 수초에 가까이 붙일수 있는 방법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0칸대를 예 를 들어 분명 수초 가까이 붙인다고 던졌는데 수심때문인지 바늘과 봉돌은 수초 가까이 분명 떨어졌는데 찌 가 자리 잡으면서 제가 생각한데로 수초와 가깝게 붙여지진 않고 거의 미터 정도 되네요 긴대를 펴자니 수초를 넘겨버리고 ㅠㅠ 어떻게 붙일까요?

1등! IP : 9ff94fedb2b5eae
시차를 두고 바늘과 찌를 같은자리에 떨어뜨려보세요
물론 약간의 연습이 필요합니다만
추천 0

2등! IP : 777a527b7e38cc0
긴찌를 사용하시면 아무래도 수초쪽으로 가까이 떨어지겠지요.
대신 수초낚시에서는 파손위험이 많습니다.
긴대로 반스윙을하여 투척하는 방법도 있구요.
추천 0

IP : 209370c05545a6f
말로서는 표현이 접어치기식으로 현장에서 연습을많이 하셔야 할듯합니다~
추천 0

IP : ef24d7cc4278ab8
좀더 긴대로 풀스윙말구 하프스윙으로 하세요. 연습을 좀해야되요..
추천 0

IP : cda2c39dd752874
투척훈련이 안되셨으면 그래도 투척해야 합니다~
결국엔 낚시 게속 할꺼잔아요~~
지금 캐스팅이 안되시면 방법은 있습니다.

3칸대로 던지는데 수초 넘어 간다구요~
글면 그 넘어가는 만큼 월줄을 줄이세요~
그게 캐스팅 안되시면 그방법이 젤 빠릅니다~

원래 수초 직공 낚시도 원줄을 짧게 쓰거든요~
근데 3칸대로 수초 바로 앞에다 붙이는 캐스팅이 안되시면
원줄을 줄이시면서 맞추는게 지금 당자으로서는 젤 빠른 해결책입니다
원줄 줄이는건 일도 아니잔아요~
봉돌에서 원줄 끊고 ~
수초 넘어가는 길이 많큼 줄이세요~
이걸 한번에 하지 마시고 두어세번 나누어서 맞춰가심 될꺼 같아요~
추천 0

IP : cda2c39dd752874
그리고 수심이 깊어 끌림 현상으로~
바로 수초 앞에 붙이기는 힘들꺼에요~
그렇다고 추를 너무 무겁게 쓰기도 그렇고
적당히 붙힌다 생각 하시구요~
추천 0

IP : 03994827610f863
낚시대에 여유가 있다면, 3.2칸 낚시대에 원줄길이를 2.9칸이나 3.0칸 정도만 감아두면 말씀하신 그런 포인트에 요긴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추천 0

IP : 5fe306c6e7ad108
반스윙하셔야지요 긴대로 반스윙해서 봉돌과 찌를 수초 근처에 붇치면 원줄이 여유가 남아 그자리에서 찌가 섭니다..


긴대에 줄을짭게 맨다고 찌가 수초 옆에 바짝새울수는 없지요..

무저건 원하는 포인트보다 길이가 더멀리갈수 있는 칸수가 있어야지요.. 즉 내 찌와 봉들이 반스윙으로 포인트에 떨어진후 수심 깊이만큼 원줄이 여유가 있어야 그자리에 선다는 것입니다.

아무리 풀스윙으로 가까이붇친들 수심에 따라 수심만크 찌가 낚시대 쪽으로 끌려오는건 당연한거니까요..

이런 낚시에 팁을 말씀드리면 튜동찌를 쓰고 찌와 봉돌의 거리는 최대한 가깝게 하고 반관통 찌같은거를 쓰면 좀 더 편하겟죠

또한 낮에 스윙감을 익혀두는거도 중요하지만 야간에는 짧은 대들이야 얼마든지 장애물이 식별이 되니 쉽지만.. 40칸 대 이상으 수초에 붇이신다하면 불안키고는 누구나 어렵습니다.. 불안키고 한답시고 나무에 한번 걸려서 푼다고 잡아땡기고 한다면 고기 다빠지고 손실이 더큽니다.. 땅에 삼발이 같은거 놓을수 있는 밝은 후라쉬 하나 준비하시고 투척시에 수초 쪽으로 불 비ㅜ시고 장애물 확인하면서 던지면 안전하고 쉽게 갈수 있습니다..

낚시를 하면서 100% 모든것을 만족하기 어렵다면 손해가 크지 않다고 하면 일부 확률은 포기하는 것도 대어를 만날수 있는 확률을 높혀가는 한방법이 되겠습니다.
추천 2

IP : 029ed9de51e3ae7
답변주신 모든 조사님들 감사드립니다
븅어낚시님 말씀처럼 수초 가까이 붙여서 던졌는데도 찌가 자리잡을때 낚싯대 쪽으로 끌려오는 현상땜에
수초와 떨어져 도움을 청하였습니다 가장 가려운데를 긁어주신 븅어님께 채택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IP : b9e27769227ecd8
유동채비 하시고 찌에 줄잡이 걸어서
찌를 최대한 봉돌근처까지 내린후
투척하시면 조금더 가까이 붙일수 있을겁니다.
위에 실전님 말씀처럼 반스윙하면서 원줄의 여유를 주는건 기본입니다. ^^
추천 0

IP : 9ea4f9dd24646b3
3칸대로 풀스윙하면 수초옆에 떨어지는거 잖아요~봉돌닿으면 1미터정도 수초에서 떨어지는거고요?
1칸이 1.8미터 정도니까 3.4칸정도로 반스위하셔서 수초옆에 봉돌이 떨어지게 하면 좋겠네요^^;
추천 0

IP : cda2c39dd752874
혹시 수초낫 있어요~
수초직공낚시할때 먼곳에 수초사이에 넣을때
수초낫에 채비 올리고 넣기도 하거든요~~
캐스팅 안되시니~ 내가 꼭 그자리에 찌를 세우고 싶다 할때 간혹 쓰기도 해여~
추천 0

IP : ba73606788a7319
정상적인 스윙으로는 원줄을 줄인다고 절대로 수초에 바짝 붙진 않습니다..
(바늘과 봉돌,,,봉돌과 찌,,,사이의 거리가 있기때문에..)

스윙방법을 달리하셔야 합니다..

통상적으로 스윙 후 봉돌의 궤적에 의한 투척이 아닌...

반스윙으로 던지면서 낚시대를 밀어주시면 수초 가까이 붙일 수 있습니다..

글로는 설명이 힘든데...

- 반스윙을 한다.
- 봉돌이 안착지점과 사선으로 일치되는 시점에 오면(봉돌의 위치가 수면과 약 30도 정도유지)
- 봉돌과 찌가 같은 방향성을 갖도록 낚시대를 앞으로 쭈욱 민다..
(스윙시 봉돌의 위치가 수면과 45" 이하로 예각이 되어야 원하는 포인트에 붙일 수 있습니다)..

글로 표현 하려고 하니 설명이 안되네요..쩝^

낮에는 가능 하겠지만..어두워지면 붙이기 쉽지 않을겁니다.

훤할때 방해요소를 충분히 제거해두시면 투척에 도움이 되실듯...

접어치기" 반스윙...이런 표현으로 댓글 다신 월님들과 같은 방법일 겝니다..
추천 0

IP : a3c3e43faf917e0
한칸긴대로 투천후낚시대 잡은손을 앞으로 쭉밀어줍니다 그럼 당겨질일이없습니다.
단 주의사하믄 투척자리가 풀스윙이되면안됩니딘.정 모르시겠으면 행낚에 수나무밑에투척하는 방법있습니다 그거보고 하시면 아주쉽습니다
추천 0

IP : e662ffff22ca5b5
30대가 끌려와서 수초에서 멀어지면
재원아빠님 말씀처럼 끊어치기를 해야 합니다.
30대의 경우 찌 쪽으로 봉돌이 따라오는 거리만큼
수초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약간 더 긴 칸수로 즉 32대를 이용하여 봉돌과 찌가 같은자리에 떨어지게
끊어치기를 하면됩니다.
찌가 정위치에 떨어지면 낚시대를 받침대에 올려 놓으면
또 당겨져 오는 현상이 발생하니
찌가 자리잡을때까지 들고 있다가 자리를 잡으면 받침대에 올려 놓으면
찌가 당겨져 오는 현상이 없습니다^^
추천 0

IP : 06dde0c1cd3b065
수초바로앞에 진정한 고수분들이 던져서봉돌이 붙여졌다하더라도 수심이깊다면 수초바로앞에 바늘이 닿는건 무리가아닐가 싶네요..
던지고나서 찌가서면서 봉돌이 하강하는 시간을 줄인다거나 하는방법이 있을까요?
원줄길이를 조금더길게 쓰면 어떨까요?아니면 봉돌무게를 조금이나마 무겁게 사용은요..?
추천 0

IP : 7db04905d229f33
정답은 하나! 많이 해본다는거... 그것밖에 없어요...^^
팁하나 드리면, 찌를 최대한 봉돌쪽으로 내리고 던지시면 수초에 붙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답니다...ㅎㅎ
추천 0

IP : 5d159a2966d4a0a
ㅎㅎ 그렇네요 연습... 연습하다보면 왜 그런지 알게되더라구요 봉돌이 뽕~~ 하고 떨어지고 그 위로 바로 찌가 뽕~~ 하고 떨어지게 던져야 하구요 ㅎ 그렇게 하려면 연습도 필요하고 원줄도 좀 짧게 해야 하고 ㅎㅎ 그런것 같더라구요 전 수초낚시 그 맛에 합니다. 참 기분좋더라구요 뿅~~~ 하고 날아가서 제가 원하는 자리에 딱 서면 기분이 ㅎㅎㅎ
추천 0

IP : 006ecbccdfdd8d7
32칸대 정도로 곡사포로 투척하시고
찌가 설때까지 원줄을 들어서 찌가 안착되면
낚시대를 받침대에 올려 놓는 방법이 있는데
밤낚수에는 많이 피곤할 것입니다.
추천 0

IP : e6bc2d6e8e25b5a
2단 채비를 사용하시면 될 것 같네요^^.


아래 사진과 같이 2단 채비를 만들어서 사용하시면,

부들이나 연밭, 수몰나무 등 장애물이 있는 포인트에서

상당한 효과를 발휘합니다.


특히, 아무리 힘차게 캐스팅을 하여도 원줄 이상

안 날아가기 때문에, 부들이나 수초 위에 얹힐 염려가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칠흑 같은 야간이나 심한 바람이 불 때에도

마음 놓고 던져도 포인트에 정확하게 안착됩니다.


또한 수심에 의한 원줄의 사각지대가 없어서

고기가 낚싯대를 차고 나가지 않는 이상,

부들이나 수초에 감기는 현상이 절대 없습니다.


이 때 가능한 한 고부력의 짧은 찌를 사용하시면

원줄과의 엉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제 경험상 1m 내외의 수심에서 가장 편리하더군요.
(사진설명 참조)

기존 사용하시던 낚싯대에 장착된 찌를 빼서

그대로 사용하시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찌를 준비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사진에서처럼, 찌줄만 여러 개 미리 만들어 놓았다가

연밭이나 부들, 수초지역 등지에서 연결한 후

찌만 꽂아서 하시면 됩니다.


저는 이 방법을 고안해서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있는데,

나름 괜찮은 방법 같아서, 참고 한번 해보시라고

올려 봅니다^^.
추천 4

IP : ad83ed1dd0ee174
동막골형남...
항상 기발한것을 올려주시네요~~
효과가 있는지는 써봐야알겠지만, 발상의전환이네요`~
봉돌~찌까지 별도의 원줄을 쓰는거네요~~
봉돌~바늘까지 길이가 짧으니 사선입수는 없을테고,
수초가까이 봉돌먼 떨어뜨릴수 있다면 봉돌밑바늘길이 안에서 걸리지않으면
걸릴일없으니 요긴해보입니다`~
미리 여러개를 만들어다닌다면 사용하기 좋아보입니다`~
수심에따라 찌와봉돌쪽에 쓰인원줄길이를 여러길이로 해야겠네요~~
저 채비를쓰면 찌밑수심에 의해 손해를보던 낚싯대칸수도 손해볼일이 없을듯합니다`~
다만 기존의 원줄과 찌밑원줄의 엉킴이 걱정이되긴합니다`~
일단 몇개만들어 사용해봐야겠네요~~
추천 0

IP : 97ce757f102647c
'케미의 꿈'님^^.

찌줄을 4~5호 정도 굵기의 다소 뻣뻣한 카본줄에 고부력 단찌 사용하시면,

앞치기는 물론 스윙을 하셔도 생각만큼 엉키지는 않습니다.


이때, 낚싯대 원줄에 끼워져 있는 유동/고정용 찌 스톱퍼를

최대한 초릿대 끝 쪽이나 봉돌 아랫 쪽으로 미리 이동시켜 놓으면

원줄과 찌줄과의 꼬임이 확연하게 줄어듭니다.


이 채비법은 특히, 부들이나 갈대, 연밭 등에서
원줄이 찌에 의해 수심만큼 발생하는 곡선(사각지대)이 없으므로
고기가 장애물을 감는다거나 수초 위에 얹히는 일이 없습니다.

채비는 낚싯대 한 대에 하나씩만 만들어 놓으시면 되고,
위에서 언급했듯이 1m 내외의 수심에서 사용하시면 가장 편리하더군요.

찌줄채비 만드는 법은 상세하게 정리해서 시간되는데로 대물방에 한번 더 올려볼 생각입니다^^.
추천 0

IP : d231a171f88b60b
반스윙 밖에 답이 없을 듯 합니다.
긴대의 원줄을 짧게 매라는건 말도 안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