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천나무님은 붕어가 항상 같은 자리에서 입질을 한다고 생각하남유
360도 어느 각도에서 입질이 될지 모르는것 이에유
바로 찌와 본봉돌과 스위벨과 반대방향에서 입질을 하였을때만이
조금은 들리는 입질이 오겠네유
간과하기 쉬운게 붕어가 먹이활동을 한다고 바로 찌에 반응이 오지않는다는거에유
물속 사정을 어떻게 잘아남유
비숫한 상황을 연출하고 추정할 뿐이죠 잉~~~
안착이 저렇게 되는 이유는
[스위벨의 수중무게] 보다 [찌에 걸리는 원줄의 무게]+[찌맞춤값(0점위치)보다 수면위로 더 내놓은 찌톱의 무게 변화량]이 더 놓으면
본봉돌이 바닥으로 내려 앉게 됩니다.
찌톱은 평소에 많이 내놓고 낚시하지 않으실 것이고요. 문제는 원줄의 무게인데요. 원줄은 종류와 호수에 따라 무겁다는 것은 아실 것이고요.
카본 같은 무거운 원줄을 사용하고 계시더라도,
[찌에 걸리는 원줄의 무게]+[찌맞춤값(0점위치)보다 수면위로 더 내놓은 찌톱의 무게 변화량]값보다 [스위벨의 수중무게]가 충분히 크다면 낚시중에
저런 안착이 나타날 일이 크게 없습니다.
이것을 적당히 계산해보면
세미플로팅 원줄을 쓰시면 황동스위벨 0.75g정도가 안정적이구요.
카본 3호정도의 원줄에 30~40칸 전후의 낚시대를 쓰시면 황동스위벨 1g정도가 안정적이구요.
50칸 이상을 쓰시면 원줄길이도 그만큼 대폭 길어지므로 1.25~1.5g정도는 쓰셔야 합니다.
* 비록 채비 밸런싱이 잘못되어, 윗 그림의 안착이 되었더라도
[본봉돌에서 분납까지의 길이]+[분납에서 바늘까지의 길이]의 합이 적당히 짧으면, 긴목줄(20cm이상의 목줄) 바닥채비처럼 찌올림이 묘사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분할봉돌 채비가 아니라
"1봉돌 바닥채비의 목줄에 조개봉돌 하나 물린 것"과 전혀 다를바 없는 채비죠.
이렇기 때문에 채비안착상태가 어쨌든간에 단순히 억지스런 찌올림을 보기 위해서 라면 "목줄길이를 짧게 주면 찌올림이 묘사됩니다"도 답이 됩니다만.
이것은, 제대로 된 스위벨 채비의 구사가 아니며,
제대로된 분할채비를 구사하면서 정확한 찌올림을 보려면
"원줄을 좀 더 가벼운 것을 쓰던지", "스위벨 무게를 더 무거운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 되겠습니다.
제 아무리 좋은 의도로 고안한 채비라도,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채비밸런싱이 되지 않으면 채비의 원래 의도와 상관없는 의미없는 '난잡한 채비'가 되어버리고 맙니다.
스위벨이 떠 있을 때 미끼 흡입으로 인한 예신만 들어오고 본신으로 이어지지 않는 현상입니다.
찌맞춤을 무겁게 하시거나 윗분들 말씀처럼 그 채비에서 스위벨만 한 홋수 올려보시기 바랍니다.
스위벨 채비라고 무조건 예민하게 맞출 필요 없습니다.
입질은 크게 미끼흡입의 예신과 입에 물고 들어올리는 본신으로 나뉘는데요.
스위벨(좁쌀) 채비는 흡입으로 인한 바늘채비의 횡운동시 가벼운 스위벨로 이물감을 줄여주는게 주된 효과이며 예민한(가볍게 맞춘) 찌맞춤은 미끼 물고 들어올리는 본신 때의 문제입니다.
고기 입장에서는 흡입시 1차적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데 스위벨이 떠 있을 때 채비가 원래의 위치(윗방향)로 돌아가려는 힘 때문에 이물감이 발생하여 본신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바늘부터 스위벨까지(바늘목줄)의 길이가 길면 이물감을 그나마 덜 느낄 테지만 일반 스위벨 채비의 바늘목줄 길이는 5~7cm로 짧은 편이라 반드시 스위벨을 바닥에 닿게 하셔야 합니다.
스위벨 채비는 어신봉돌(스위벨)을 가볍게 하여 이물감을 줄인 채비이지 무조건 예민한(빠른 반응) 채비는 아닙니다. 찌맞춤에 따라 예민해 질 수도 둔해 질 수도 있는 채비입니다. 입질 반응이 큰 자연지 붕어는 예민하게 맞춘 것보다 다소 둔하게 맞추는 것이 여러모로 득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긴 목줄에서 발생하는 빨려들어가는 입질은 1차 미끼 흡입시 깜빡하고 빨리는 경우와 또 다릅니다. 긴 목줄로 인하여 들어올리는 본신이 사각으로 인하여 생략되고 붕어 다 들어올린 후 자리를 이동할 때 발생하는 본신입니다. 수심이 얕을 경우 옆으로 끄는 입질, 수심이 깊을 때는 중통채비 마냥 훅 들어가는 입질이죠. 이때는 챔질해도 후킹 확률이 높고 바늘이 목 깊숙히 박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채비변천사
스위벨 채비를 정확히 이해하고 채비세팅을 하는 것이 중요할것 같습니다.
스위벨 채비를 쓰는 이유와 장점 그리고 단점을 먼저 알아본다면
원봉돌 채비와 비교해서 말씀드리죠
낚시 기술이 발달함에따라 처음에는 누구나 다 원봉돌에 풍덩낚시 찌마춤으로 낚시를 했었죠
풍덩낚시라는 말에서 느껴지듯 상당히 무거운 채비를 말합니다
(주간케미 뺀 상태로 찌톱 끝이 수면과 일치하게 마춤 - 주간케미를 꽂으면 봉돌에 찌가 끌려들어갈 정도로 무거운 마춤)
그러다가 주간케미 꽂은 상태로 찌톱과 수면일치하도록 마춰서 하게 되었고
조금더 예민하게 해보자 해서 원봉돌을 다분할로 나눠서 달아서 썼었죠
이것이 다분할채비 입니다
여기서 좀더 발전해서 원봉돌은 그대로 놔둔채 바늘쪽에 좁쌀봉돌을 물려서 쓰게 되었으며
이것이 개량된 스위벨로 변하게 되어 현재의 스위벨 채비가 만들어지게 된거죠
즉, 정리한다면
풍덩채비-->일반바닥채비-->다분할봉돌채비-->2중분할채비-->스위벨채비
이정도로 정리가 되겠죠
*스위벨의 장점
미끼를 흡입할때 이물감을 줄여줄수 있다
저수온기나 입질이 까다로운 곳에서도 스위벨 채비 본래의 예민함때문에 입질이 그대로 찌로 전달된다
(하지만, 스위벨의 이동거리 만큼만 찌가 올라오므로 원봉돌과 다를바 없다)
초보자에겐 찌마춤이 복잡하고 다소 어렵다(현장에 따라 2차목줄의 길이나 찌마춤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
*스위벨의 단점
채비가 복잡하여 입질 전달력이 떨어진다
채비를 추가적으로 더 달아주기 때문에 추가지출이 필요하다
채비가 비교적 복잡하여 줄꼬임이 심해진다
수심이 낮은 곳에서는 사실상 스위벨 채비의 사용이 불가하다(2차목줄의 길이가 10센치 이하라면 스위벨이 무의미해진다)
*스위벨 채비의 이해
스위벨의 무게는 사용하는 찌의 찌톱길이 만큼만을 아래로 내릴 수 있는 정도의 무게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스위벨 홋수를 결정할때에는 이러한 것에 기준을 두고 선택해야만 합니다.
스위벨이 원봉돌의 무게와 비슷하다거나(50:50) 지나치게 가볍다거나(90:10) 한다면
이 또한 스위벨 채비를 사용하는 것이 아무런 효과도 의미도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스위벨 채비의 찌마춤
현장에 따라 찌마춤은 달라져야 합니다만 일반적인 수조찌마춤시
사용하는 찌와 봉돌의 무게를 고려하여 찌톱만을 아래로 내릴수 있을 정도의 무게를 선택하여 채비해 줍니다
또한 사용하는 원줄의 종류와 굵기에 따라 봉돌의 무게를 가감해서 조절해 주어야만 합니다.
카본줄 사용시 모노줄보다 봉돌의 무게를 무겁게 조정해주고
현장이 유속과 대류가 있느냐 저수지냐 손맛터나 양어장이냐 댐이냐 저수온기냐 아니냐 수심이 얕은 곳이냐 깊은 곳이냐에 따라
2차 목줄의 길이를 알맞게 결정해 주어야만 합니다.
찌마춤시 바늘은 달지 않고 합니다.
일반적인 수조찌마춤시
케미꽂이 딸깍(검은색 케미꽂이의 중앙 부분과 수면이 일치)에 마춥니다
여기에 바늘을 달아주면 바닥에 바늘과 스위벨이 닿게 됩니다.
이런 상태로 1목 노출후 낚시 하시면 됩니다.
그외 추가적으로
카본줄 사용시 주간케미 중앙과 수면일치 시킵니다
유속이나 대류가 있을 시 쇠링을 추가하여 케미꽂이 끝과 수면일치 시킵니다
빠는 입질이 생기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지나치게 가볍게 찌마춤 하여 스위벨이 바닥에서 떠있어서 목줄이 사선으로 늘어진 형태로 안착되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약간 무겁게 마춰준 후 스위벨이 바닥에 닿게 하고 낚시 한다면 최소한 빠는 입질이 나타나는 것은
막을 수 있게 됩니다.
토종붕어의 습성상 주둥이 자바라의 각도가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바닥에 있는 미끼를 줏어먹기에 용이합니다
따라서, 80~90% 이상은 미끼를 물고 45도 후퇴하면서 들어올리게 됩니다만 간혹 미끼를 물고 앞쪽으로 이동하여
찌가 아래로 곤두박질 치는 녀석도 있게 마련입니다.
이러한 입질은 대표적인 토종붕어의 입질형태이므로 아래로 빠는 입질은 없앨 수 없습니다만
예신에 의한 입질에도 지나치게 가벼운 찌마춤을 한 상태라면 아래로 빨리는 입질이 자주 나타나게 됩니다
빠는 입질은 대부분
목줄길이에서 판가름 나더군요
목줄이 15센티 이상일경우
빠는입질을 자주목격하고
15이하로 하심 올림이 나옵니다
2.다른 한가지는 찌 맞춤시
3목정도에 맞춤 상태에서
목줄이 짤을때에도 3목을
수면에 내놓고 낚시을 하시면
이때에도 빠는 입질이 들어 옵니다
제가 경험한 내용이고 또다른 경우가
잇을수 잇겠지요 참고하시고 답을
차자보세요
수면 찌맞춤후 현장투척시 정확하게 찌한목,두목을 내놓고 해야 되는데
바닥상황이 불안정하니 정확한 찌맞춤이 안되는것 같아 그런것 같은데요
귀찮아도 여러차례 투척후 한목이냐 두목이냐 정확하게 하심이....
PS 스위벨채비는 아주 예민한 채비입니다
그만큼 찌맞춤도 예민하겠죠
스위벨이 정확히 바닥에 안착해야 극효과를 보는것이지
아주 무겁게 바닥에 안착한다면 굳이 스위벨을 하실 필요가 없지 않을까요?
그냥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즐낚하세요~~~
내림낚시에서 왜 빠는입질이 나옵니까? 답은 봉돌이 떠 있기 때문이지요
목줄이 길면 끄는 입질이 나오고 스위벨이 가벼우면 실지 물속에서는 스위벨이 뜨고
바늘의 목줄이 사선이 져서 스위벨이 약간 떠서 있게 됩니다.
그래서 수조 찌맞춤은 현장 찌맞춤과 달리 오차가 생깁니다.
스위벨은 뜨고 바늘은 바닥에 닿지만 목줄은 사선 지게 되어서
빠는 입질이 나오게 됩니다.
이때는 스위벨 홋수를 올려주시면 됩니다.
한홋수는 약해요 두홋수로!!
본봉돌과 스위벨괴의 목줄길이 운운 하는분들이 계신데
붕어 흡입의 메카니즘을 모르고 하는 소리입니다. ~~이상~~
끄는입질: 찌가 위아래로 이동하지 않고 옆으로 이동하는 현상
고로 목줄이 길면 옆으로 이동가능성이 크다는 말씀
붕어가 숙여서 먹이를 흡입하고 고개를 쳐들고 이동해야 찌가 솟꾸친다는 말씀.
그래도 모르겠나요?
붕어가 옆으로 이동하면 찌가 물속으로 끌려가지 않남유??
둥둥 띄우면서 옆으로 가는거는 올리든 내리든 그다음에 나오는 현상 아닌감유???
360도 어느 각도에서 입질이 될지 모르는것 이에유
바로 찌와 본봉돌과 스위벨과 반대방향에서 입질을 하였을때만이
조금은 들리는 입질이 오겠네유
간과하기 쉬운게 붕어가 먹이활동을 한다고 바로 찌에 반응이 오지않는다는거에유
물속 사정을 어떻게 잘아남유
비숫한 상황을 연출하고 추정할 뿐이죠 잉~~~
누가 스위벨 홋수를 올리면 둔해진다고 하던가요
바보 멍청이 같은 논리입니다.
스위벨 맞춤을 했다고 예민한 것이 아니라
찌맞춤을 케미꼿이 밑에 해서리 예민한 것이에요
어자피 스위벨 채비라는것은 분할한 봉돌채비 인것뿐
저부력찌는 (2~3호봉돌이하)는 대려 분할하면 손해라는 것이죠 잉~~
끌고 빨고 솟꾸쳐서 채면 하그닥이고~~~
바닥에 지지하는 봉돌(스위벨 채비 포함)은 안정감이 있어야 깔끔한 입질이 됩니다요...
그래도 궁금하거나 못믿더우면 성재현씨 찾야가서 물어 보시던가~~~
집어가 되어야 올리던가 끌던가 솟꾸치던가 하지요
채비도 중요하지만 집어도 무진장 중요하다는거...
잘나온다고 촬영섭외 하고도 꽝 비스무리하게 된날도 있다는거 아시나요?
번화무쌍한 물속 상황을 채비 만으로 설명하기에는 무리죠 잉~~
목줄이 길거나
제 지식으론
이정도 입니다
참고하셔서 낚시들 하세요~~^^
원봉돌이나 스위벨이나 기본적 지식에 의한 찌맞춤이라면
대부분 들어올립니다
본봉돌과 스위벨의 무게비율은 100(본봉돌)/20(스위벨)
정도 주시고 스위벨 간격은15센티 미만 간격이면 적당한것 같습니다. 단 바닥이 깨끗하다는 조건에서 말입니다
아무리 채비가 잘되있고 낚시대가 좋아도 바닥이 지저분하면 안올립니다. 잘나오는 포인트,쭉쭉 올려주는 포인트
물빠지면 바닥 깨끗합니다
양어장이나 손맛터가 아닌이상 굳이 예민하게 맞출필요가 없습니다.
대신 찌맞춤을 원봉돌 채비와는 다르게 저수지나 낚시터 가실때마다 확인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찌맞춤을 케미끝 수면일치나 3/1정도만 나오게 맞춰보세요.
그냥 찌 한목:두목정도
올려 쓰세요 ^^어렵게 생각마시구요^^
저도 낚시는 당일,현장에서 붕어입질에 맞게 채비하는 수준으로 합니다.
외대 낚시하고, 찌맞춤은 최대 6목(- 2에서 +4까지)정도 현장에서 변화를 줍니다.
목줄 길이는 3에서 30 까지, 바늘은 붕어바늘 4호에서 8호 까지 맞춰씁니다.
모든것은 당일 현장조건에 어울어진 붕어에 맞추는거죠...
통상은 한목정도 무거운 맞춤으로 합사목줄 4호 붕어바늘 2b스위벨에,본봉돌유동 낚시합니다.
노지시 수초엔 좀더 무겁게하고 맹탕지는 꿀리는대로 하면 됩니다...목줄이 길면 원봉돌및 분추 합계 가벼울때 3호 자동빵이 많죠...^^ 경험들 있을겁니다..
결국은 원봉돌인데 본봉은 뛰우고 분봉으로 무게감 못느끼개하며 이물감 없애는겁니다...결국은 원봉돌의 변형이죠..결론은 원봉돌입니다
채비는 뭔 사슬채비니 ..다 필요없고요 올림및 옥내림은 원봉돌의 파생이니 원봉돌만 제대로 하시면 고수입니다...^^낚시 피곤하게 할 필요 없습니다...^^
그러면서도 4종이..요즘쓰는 낚시대요 ..다대 7-8대 정도 편성할대들이 다 채비가 틀리네요...^^ 그래도 원봉돌이 답입니다...^^그 4종중 한두대라도 원봉돌은 꼭있지요..^^
채비자체의 문제보다 바닥지형 때문일수도 있어요.
급격히 깊어지는 바닥에서 자연적으로 생기는 현상이니까요.
아랫봉0.5g - 중간봉1.0g(유동) - 본봉 나머지g(고정), 중간줄 30cm, 목줄 7 ~ 10cm) 캐미노출. 1목노출
아랫봉이 가볍다 싶으면 중간봉을 살살내리거나 올려서 입질에 대응합니다(빨때는 중간봉을 완전히 내립니다)
(3단은 그만큼 정성과 시간이,,,,,)
근데, 고부력이 아니면 원봉이 좋겠죠
이상은 저만의 경험이고, 뭐가 좋더라 히는 것은 그날 그날 붕어한테 물어야 될듯합니다
안착이 저렇게 되는 이유는
[스위벨의 수중무게] 보다 [찌에 걸리는 원줄의 무게]+[찌맞춤값(0점위치)보다 수면위로 더 내놓은 찌톱의 무게 변화량]이 더 놓으면
본봉돌이 바닥으로 내려 앉게 됩니다.
찌톱은 평소에 많이 내놓고 낚시하지 않으실 것이고요. 문제는 원줄의 무게인데요. 원줄은 종류와 호수에 따라 무겁다는 것은 아실 것이고요.
카본 같은 무거운 원줄을 사용하고 계시더라도,
[찌에 걸리는 원줄의 무게]+[찌맞춤값(0점위치)보다 수면위로 더 내놓은 찌톱의 무게 변화량]값보다 [스위벨의 수중무게]가 충분히 크다면 낚시중에
저런 안착이 나타날 일이 크게 없습니다.
이것을 적당히 계산해보면
세미플로팅 원줄을 쓰시면 황동스위벨 0.75g정도가 안정적이구요.
카본 3호정도의 원줄에 30~40칸 전후의 낚시대를 쓰시면 황동스위벨 1g정도가 안정적이구요.
50칸 이상을 쓰시면 원줄길이도 그만큼 대폭 길어지므로 1.25~1.5g정도는 쓰셔야 합니다.
* 비록 채비 밸런싱이 잘못되어, 윗 그림의 안착이 되었더라도
[본봉돌에서 분납까지의 길이]+[분납에서 바늘까지의 길이]의 합이 적당히 짧으면, 긴목줄(20cm이상의 목줄) 바닥채비처럼 찌올림이 묘사되기도 합니다.
이것은 분할봉돌 채비가 아니라
"1봉돌 바닥채비의 목줄에 조개봉돌 하나 물린 것"과 전혀 다를바 없는 채비죠.
이렇기 때문에 채비안착상태가 어쨌든간에 단순히 억지스런 찌올림을 보기 위해서 라면 "목줄길이를 짧게 주면 찌올림이 묘사됩니다"도 답이 됩니다만.
이것은, 제대로 된 스위벨 채비의 구사가 아니며,
제대로된 분할채비를 구사하면서 정확한 찌올림을 보려면
"원줄을 좀 더 가벼운 것을 쓰던지", "스위벨 무게를 더 무거운 것"으로 교체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 되겠습니다.
제 아무리 좋은 의도로 고안한 채비라도,
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채비밸런싱이 되지 않으면 채비의 원래 의도와 상관없는 의미없는 '난잡한 채비'가 되어버리고 맙니다.
찌맞춤정상적으로하셧다면 고기한테물어보세요.....그게정답...^^
목줄살짝누워도 사선그려도 올리는애들은올리니깐요..
찌맞춤을 무겁게 하시거나 윗분들 말씀처럼 그 채비에서 스위벨만 한 홋수 올려보시기 바랍니다.
스위벨 채비라고 무조건 예민하게 맞출 필요 없습니다.
입질은 크게 미끼흡입의 예신과 입에 물고 들어올리는 본신으로 나뉘는데요.
스위벨(좁쌀) 채비는 흡입으로 인한 바늘채비의 횡운동시 가벼운 스위벨로 이물감을 줄여주는게 주된 효과이며 예민한(가볍게 맞춘) 찌맞춤은 미끼 물고 들어올리는 본신 때의 문제입니다.
고기 입장에서는 흡입시 1차적으로 먹을 수 있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데 스위벨이 떠 있을 때 채비가 원래의 위치(윗방향)로 돌아가려는 힘 때문에 이물감이 발생하여 본신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입니다. 바늘부터 스위벨까지(바늘목줄)의 길이가 길면 이물감을 그나마 덜 느낄 테지만 일반 스위벨 채비의 바늘목줄 길이는 5~7cm로 짧은 편이라 반드시 스위벨을 바닥에 닿게 하셔야 합니다.
스위벨 채비는 어신봉돌(스위벨)을 가볍게 하여 이물감을 줄인 채비이지 무조건 예민한(빠른 반응) 채비는 아닙니다. 찌맞춤에 따라 예민해 질 수도 둔해 질 수도 있는 채비입니다. 입질 반응이 큰 자연지 붕어는 예민하게 맞춘 것보다 다소 둔하게 맞추는 것이 여러모로 득이 되지 않나 싶습니다.
그리고, 긴 목줄에서 발생하는 빨려들어가는 입질은 1차 미끼 흡입시 깜빡하고 빨리는 경우와 또 다릅니다. 긴 목줄로 인하여 들어올리는 본신이 사각으로 인하여 생략되고 붕어 다 들어올린 후 자리를 이동할 때 발생하는 본신입니다. 수심이 얕을 경우 옆으로 끄는 입질, 수심이 깊을 때는 중통채비 마냥 훅 들어가는 입질이죠. 이때는 챔질해도 후킹 확률이 높고 바늘이 목 깊숙히 박혀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스위벨 채비를 정확히 이해하고 채비세팅을 하는 것이 중요할것 같습니다.
스위벨 채비를 쓰는 이유와 장점 그리고 단점을 먼저 알아본다면
원봉돌 채비와 비교해서 말씀드리죠
낚시 기술이 발달함에따라 처음에는 누구나 다 원봉돌에 풍덩낚시 찌마춤으로 낚시를 했었죠
풍덩낚시라는 말에서 느껴지듯 상당히 무거운 채비를 말합니다
(주간케미 뺀 상태로 찌톱 끝이 수면과 일치하게 마춤 - 주간케미를 꽂으면 봉돌에 찌가 끌려들어갈 정도로 무거운 마춤)
그러다가 주간케미 꽂은 상태로 찌톱과 수면일치하도록 마춰서 하게 되었고
조금더 예민하게 해보자 해서 원봉돌을 다분할로 나눠서 달아서 썼었죠
이것이 다분할채비 입니다
여기서 좀더 발전해서 원봉돌은 그대로 놔둔채 바늘쪽에 좁쌀봉돌을 물려서 쓰게 되었으며
이것이 개량된 스위벨로 변하게 되어 현재의 스위벨 채비가 만들어지게 된거죠
즉, 정리한다면
풍덩채비-->일반바닥채비-->다분할봉돌채비-->2중분할채비-->스위벨채비
이정도로 정리가 되겠죠
*스위벨의 장점
미끼를 흡입할때 이물감을 줄여줄수 있다
저수온기나 입질이 까다로운 곳에서도 스위벨 채비 본래의 예민함때문에 입질이 그대로 찌로 전달된다
(하지만, 스위벨의 이동거리 만큼만 찌가 올라오므로 원봉돌과 다를바 없다)
초보자에겐 찌마춤이 복잡하고 다소 어렵다(현장에 따라 2차목줄의 길이나 찌마춤을 달리해야 하기 때문)
*스위벨의 단점
채비가 복잡하여 입질 전달력이 떨어진다
채비를 추가적으로 더 달아주기 때문에 추가지출이 필요하다
채비가 비교적 복잡하여 줄꼬임이 심해진다
수심이 낮은 곳에서는 사실상 스위벨 채비의 사용이 불가하다(2차목줄의 길이가 10센치 이하라면 스위벨이 무의미해진다)
*스위벨 채비의 이해
스위벨의 무게는 사용하는 찌의 찌톱길이 만큼만을 아래로 내릴 수 있는 정도의 무게가 적당합니다
따라서 스위벨 홋수를 결정할때에는 이러한 것에 기준을 두고 선택해야만 합니다.
스위벨이 원봉돌의 무게와 비슷하다거나(50:50) 지나치게 가볍다거나(90:10) 한다면
이 또한 스위벨 채비를 사용하는 것이 아무런 효과도 의미도 없어지기 때문입니다
*스위벨 채비의 찌마춤
현장에 따라 찌마춤은 달라져야 합니다만 일반적인 수조찌마춤시
사용하는 찌와 봉돌의 무게를 고려하여 찌톱만을 아래로 내릴수 있을 정도의 무게를 선택하여 채비해 줍니다
또한 사용하는 원줄의 종류와 굵기에 따라 봉돌의 무게를 가감해서 조절해 주어야만 합니다.
카본줄 사용시 모노줄보다 봉돌의 무게를 무겁게 조정해주고
현장이 유속과 대류가 있느냐 저수지냐 손맛터나 양어장이냐 댐이냐 저수온기냐 아니냐 수심이 얕은 곳이냐 깊은 곳이냐에 따라
2차 목줄의 길이를 알맞게 결정해 주어야만 합니다.
찌마춤시 바늘은 달지 않고 합니다.
일반적인 수조찌마춤시
케미꽂이 딸깍(검은색 케미꽂이의 중앙 부분과 수면이 일치)에 마춥니다
여기에 바늘을 달아주면 바닥에 바늘과 스위벨이 닿게 됩니다.
이런 상태로 1목 노출후 낚시 하시면 됩니다.
그외 추가적으로
카본줄 사용시 주간케미 중앙과 수면일치 시킵니다
유속이나 대류가 있을 시 쇠링을 추가하여 케미꽂이 끝과 수면일치 시킵니다
빠는 입질이 생기는 경우는 거의 대부분
지나치게 가볍게 찌마춤 하여 스위벨이 바닥에서 떠있어서 목줄이 사선으로 늘어진 형태로 안착되기 때문입니다.
이럴 경우 약간 무겁게 마춰준 후 스위벨이 바닥에 닿게 하고 낚시 한다면 최소한 빠는 입질이 나타나는 것은
막을 수 있게 됩니다.
토종붕어의 습성상 주둥이 자바라의 각도가 아래로 향하기 때문에 바닥에 있는 미끼를 줏어먹기에 용이합니다
따라서, 80~90% 이상은 미끼를 물고 45도 후퇴하면서 들어올리게 됩니다만 간혹 미끼를 물고 앞쪽으로 이동하여
찌가 아래로 곤두박질 치는 녀석도 있게 마련입니다.
이러한 입질은 대표적인 토종붕어의 입질형태이므로 아래로 빠는 입질은 없앨 수 없습니다만
예신에 의한 입질에도 지나치게 가벼운 찌마춤을 한 상태라면 아래로 빨리는 입질이 자주 나타나게 됩니다
혹시 바늘달고 찌맞춤하시지 않는지?
군계일학 동영상 보시고 놓친부분 있나 확인해보심이 좋을듯합니다
본봉돌에 스위벨, 바늘빼고 원봉돌 채비와 똑같이 찌맞춤하면됩니다
스위벨 채비는 단지 봉돌을 분할해서 사용할 뿐 찌맞춤은 같습니다
현장수심에서 찌고무만 잠기게 하시면 아주 예민한 채비가됩니다
장대라면 조금 무겁게. . . .
붕어라면 십중팔구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