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저수지 상류의 기준은???

IP : 0e05e4fa3534f5e 날짜 : 조회 : 6115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매일같이 이어지는 한파에 출조를 포기하고, 봄 산란기 낚시를 위해 포인트 검색을 하다가 문득 든 생각입니다. 저수지 의 상류 기준은 무엇인가요?? 제방에서 가장 멀리 있는곳???아니면 새물이 유입되는 곳??? 지금까지는 그냥 느낌상...본능적으로?? 아!! 저기가 상류구나..했는데 뭔가 기준이 되는게 있을까요??

3등! IP : 46e42f8982e56f6
저수지 윗쪽 골짜기에서 물이 유입되는 곳(골짜기가 1개 이상일 수도 있음)에서 부터
토사 등의 유입이나,원래부터 지대가 높은 곳으로(수심이 낮은)
저수지 지형에 따라 다소 차이(완경사,급경사)가 있지만,
보통 수심이 1.5m 이내인 저수지 전체 면적의 1/5의 상류부라 생각합니다.
추천 0

IP : 7fdad37d1f9d4e9
소쩍님이 말씀하신 저수지 전체 지대에서 비교적 수심이 얕은 지역..

제방 즉 하류에서 가장 먼곳이 상류가 되겠죠.

만약 동그랗게 생긴 저수지라면 제방을 제외한 둘레에서 제일 얕은 수심대가 상류가 되는 거고요.
추천 0

IP : e44fb7bac01b2fb
상류가 한곳인 저수지도 있고 두곳인 저수지도 있습니다.
새물이 유입되는 폭이 넓고 제방으로부터 가장 멀리 있는 곳이 대부분 상류가 아닐까요?
원래 물이 시작되는 곳이 상류, 물이 끝나는 곳이 하류라고 말을 붙이고 있으니..
새물이 최고 많이 들어오는 곳이 상류가 맞습니다.
추천 0

IP : f1312a12f126304
저의 판단은 새물이 유입되는곳 아닌가 싶네요 거기서 저수지의 형태에 따라 상,중,하류로 나누면 될것같네요.
추천 0

IP : e6f375a88c30c76
지형을 산과 계곡으로 나눴을때 산쪽으로 거의

물이 유입됩니다 산쪽 방면이 고도가 높으므로 상류라고 봅니다

계곡쪽을 하류라고 보고요 이상 허접한 의견 이었습니다...
추천 0

IP : 6b1cb797065cab3
저수지 구분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류.중상류,중하류,중류,하류,제방권으로 많이들 구분 하시고

면적이 아주 크다면
최~자를 붙여 최상류,최하류 로도 불림니다

저수지 좌우측 구분에 있어서도
제방에서 상류를 보고 좌완,우완으로 구분 됩니다

예를 들면
좌완 중상류~라 한다면
그 누가 들어도 대략 위치 짐작이 된다고 봅니다

평지형인 경우

상류구분이 애매모호한곳도 많고
물이 샘솓는 소류지도 있고
펌핑하는곳도 있는데.펌핑장 부근을 상류로 보기도 합니다

상류가 2개 이상인곳은
좌완,우완을 붙여.좌측인경우,
좌완상류 또는 좌안골 상류라고도 불리 우지요..

아묺튼,제가 보기엔, 상중하류 구분 보다는
좌측,우측 구분이 많이들 햇깔리 시데요...

어찌됬든
조금더 세분화 시켜 부르고
덧부쳐,지형지물을 추가 한다면 보다 정확한 포인트 설명이 되겠죠..
추천 1

IP : 5e7d81723f00d2b
물빠지는 정 반대쪽을 상류라 하지 않을까요
ㅋㅋ 잘 모르겠네요 고수님께 페스
추천 0

IP : 6012459e2ad343c
물유입구가 상류입니다.

동그란모양에 물유입구나 제방이없다면 저수지가 아니고 둠벙이겠지요.....
추천 0

IP : afadc0c3c2c1f95
저만 궁금해 하는게 아니였군요.
제가 자주 출조하는 평지형 저수지가 있는데 제방 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서
새물이 유입되고 있어서요. 상류라고 하기에는 좀 애매모호해서..
많은 분들 덕분에 어느정도 궁금한게 해결되었내요...감사합니다.
추천 0

IP : d857292580c7913
아무래도...새물이 유입되는곳이.ㅠ상류가 되리라 생각됩니다..ㅠ
저의경우..자주가는 낚시터가..ㅠ제방하고도 제일멀고..그곳이!새물도 유입되기때문에
추천 0

IP : 0360b2b674b46c0
상류 [上流] [명사] .. 강이나 내의 발원지에 가까운 부분
국어 사전에 이렇게 나와 있네요....참고 하세요 ??
추천 0

IP : c5bb43915254dfd
새물 유입구가 있으며 발원지에 가까우면 > 상류

제방에 가까우며 배수로 가있음 > 하류

위 중간 부분이 > 중류

로 알고 있습니다 ㅋ
추천 0

IP : e5bf81cd32f3f13
대물꾼들이. 많이자리하는곳이상류.

제방이. 있다가.확실이알수있습니다. 뚝넓은제방이. 있다면. 완전끝쪽이. 상류.
추천 0

IP : 9b76b15b66f2bf3
上流...글자 그대로 흐름의 윗쪽이라는 뜻.
저수지도 하나의 물줄기죠.
둑을 쌓기 전에 원래 그자리에 계곡이나 개천이 있었습니다.
상류와(물 유입구...수원) 제방의 거리가 가장 먼 경우가 일반적이만
지형에 따라 꼭 그렇지도 않습니다.

연못이나 방죽 중에 물이 흘러드는 곳은 없이
지하수가 수중에서 솟아나거나 단순히 빗물만으로
채워지는 곳은 상류/하류의 개념이 없는거죠
추천 0

IP : 38e159744713cfe
물을빼고저주지 바닥을보면 보통뚝방쪽으로지형이 조금낮고 뚝방반대쪽으로갈수록점점높아진
다고볼수있습니다. 뚝방을기준으로 저수지를3등분해서물유입구와는상관없이 지형이높은쪽부터낮은쪽으로말그대로 상 중 하로 구분한다고저는알고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