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체리쥬빌레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찌돋보기를 처음 구입해서 사용해 보았습니다.
전에 잠깐 봤을 때에는 플라스틱으로 된 제품이었는데, 이번에 나루*제품은 고무로 되어 있더라구요.
찌돋보기를 캐미꽂이 바로 아래 끼고, 집에서 찌맞춤을 아무 생각 없이 하는데..
두 마디 정도 뜬 상태에서, 쇠링 1~2개 달면 캐미꽂이까지 딸깍하고 잘 맞겠구나 했습니다.
근데 쇠링 대자를 5개를 달아도 찌돋보기 중간에서 내리지 못하고 살짝 떠 있는 겁니다..ㅡㅡ;;
그래서 찌돋보기를 제거한 후 수조통에 넣어보니.. 당연히 가라앉는 현상...
그때 생각해 보니.. 찌돋보기가 고무니까.. 그 부력만큼 뜨겠구나 생각을 했습니다.
그럼.. 고무로 된 찌돋보기를 낀 후, 찌맞춤을 어떻게 해야 하는건가요??
전 그냥 임시방편으로 한 방법은..
찌돋보기를 제거한 후 찌맞춤을 한 다음에, 찌돋보기를 끼고..
실제 낚시할 때는 찌돋보기가 물에 닿지 않도록 약 2마디 정도 띄워서 낚시를 했습니다.
(어차피 분할채비였기에.. 1마디 이상은 띄워 낚시를 해야 했거든요. 그래도 찌돋보기 무게를 감안하지 않은
조금은 덜 정확한 찌맞춤이긴 했지만, 다른 방법이 생각나지 않았습니다)
암튼.. 고무로 된 찌돋보기 사용 시 찌맞춤을 어찌해야 할까요??
찌돋보기 무게를 무시하고 해야 하는건지, 혹 다른 방법이 있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돋보기가 수면 올라와 있을땐 자중 때문에 누를 것이고
조금이라도 가라 앉기 시작하면 자체 부력이 장난이 아닐것이고......
저라면
예민한 체비라면 영점 맞추고 한 두목 내 놓고 낚시할거 같습니다.
카본사쓰신다면 두마디 정도 올려 맞추면 줄무게 감안한 맞춤이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라면 입니다.
절대 정답은 아닙니다.
제가 알고았는 방법을 한가지 알려 드릴께여~~
찌 돋보기를 끼우고 현장에서 찌맞춤을 할 경우
1/ 케미고무 빼시고여
2/ 찌 돋보기 끼우시고여~~
-1 찌탑 위에 돋보기를 두지 마시고 찌 목까지 내리 싶시요.
3/ 바늘 빼고 분납채비를 현장 찌 맞춤 하십시요.
4/ 찌 맞춤이 끝나면 수심조절을 하시고여( 실제 낚시할 찌 위치까지 )
5/ 이 모든것이 끝난 후 찌 돋보기를 위로 올립니다. ( 찌 맞춤 된곳보다 한마디 나 반마디 아래로 )
6/ 찌 돋보기가 부력도 있겠지만 예민한 찌맟춤시 표면장력 이 발생합니다.
그러니 4번까지 하신 후 찌 맞춤된곳 보다 위쪽이나 그아래에 놓고 하시면 그런 현상이 없어질 겁니다.
이상 허접하나마 제가 알고 있는 방법이었고여~~
오늘 하루 행복하시고 498 하십시요
찌맞춤은 원래대로 케미꽂이 잡히게 하시구요.
낚시 할 때는 2목 내어 놓고 낚시하시면 붕어가 한마디 올려오면 안보이던 찌 돋보기가 수면위로 등장하지 않을까요?
그럼 챔질하시면 될 것 같아요....흠.. 너무 단순한 생각인가요?
잘 모르겠네욤
일단 찌 돋보기를 원래 크기보다 훨씬 더 갸름하게 잘라냅니다. 그래도 잘 보입니다 ㅎ
방법은 두가지 입니다.
1. 찌 돋보기 위치를 케미 고무에 가깝게 위치 시키고 찌 맞춤은 돋보기 바로 아래 지점에 맞춘다.
2. 아니면, 케미 고무와 찌돋보기 위치를 넉넉히 벌리고 케미고무 바로 아래 0.5-1.0센티 지점에 찌맞춤을 한다.
1.의 경우는 찌돋보기를 넉넉히 내놓고 낚시한다.
2.의 경우는 찌 돋보기가 간신히 안 보일 만큼만 내놓고 낚시한다.
실제로 해 보면 둘다 잘 보이는데 저는 2.를 선호합니다.ㅋ
횐님들의 답변을 보면서.. 어떻게 하는 방법이 맞는지 계속 고민중입니다.
일단 남평님의 의견을 보면.. 제가 잘 이해를 못한건지 모르겠지만,
찌돋보기의 무게는 감안하였으나, 찌돋보기의 부력을 포함하여 찌맞춤을 한 뒤 향후 실제 낚시 할때는
물 밖으로 빼놓고 낚시를 하라는 말씀이신가요?? 그럼.. 찌돋보기의 부력을 무시하게 되는건데..
(제가 잘 이해를 못한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님.. 그냥 찌돋보기를 조금 자른 후, 찌돋보기의 부력을 포함하여 찌맞춤을 하는 것도
활성도 좋을 땐 괜찮을 것 같기도 하구요..
찌돋보기가.. 플라스틱이었음 더 좋았겠다하는 생각도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