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초경질,초경량 3.0 대에 원줄 길이 조언 구합니다.

IP : d5a15858f5efb16 날짜 : 조회 : 4491 본문+댓글추천 : 0

갓 입문한 중년의 떡밥낚시꾼입니다. 각종 찌맞춤, 떡밥사용법등 여기서 많은 지식을 얻었습니다. 이제 막 처음으로 유료터 출조를 앞두고 기대와 설레임으로 보내고 있습니다. 여쭤보고 싶은 것은 이번에 초경질,초경량 (토블) 21, 25, 27, 30대를 장만했는데요. 2X 대들은 원줄을 손잡이 끝에서 잘라서 채비를 걸었습니다. 그런데 30대는 어느정도에서 컷을 해서 봉돌을 연결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유동채비에 봉돌은 찌부력은 4호봉돌정도 입니다. 감사합니다.

1등! IP : 04fe01cbfb1c9b3
안녕하세요^^ 저도 초보낚시꾼으로 한말씀 드리겠습니다.

보통 30대를 기준으로 많이들 하시구요 30이 딱 손잡이 끝에 바늘이 오도록 맞추시면 편하겠네요~

근데 낚시대가 초경질이시면 아무래도 더 앞치기 편하시겠네요~

팁:유동채비는 낮에는 이동폭을 적게 주시는게 좋습니다~ 찌보호^^
밤엔 역시 줄잡기 편하게 폭을 많이 주시는게 좋지면, 지형을 잘 보시고 찌가 걸리지 않도록 ~

추운날씨이니, 방한대책이 가장 중요한 계절입니다.
추천 0

2등! IP : 9ce1ffb4d2b8379
초경질 낚시대라면
21, 25,27과 동일하게
손잡이 끝에 맞추워도
별 무리가 없을거 같네요
추천 0

IP : 7bec01782dc85c1
토블은 초경질.초경량은 아닌 것 같구요(다른 장비를 접해보시면 느껴집니다)

원줄길이가 길수록 앞치기도 힘들고 고기 제압도 힘들지만 낚시대의 파손을 줄일 수 있구요,

원줄길이가 짧으면 위 경우의 반대로 생각하시면 되겠지요.

토블 3.0칸이시라만 원줄길이를 대끝과 마추시면 앞치기에 별 무리가 없을것으로 생각됩니다만

실제로 낚시하실때 혹시 앞치기가 불편하시다면 원줄길이를 조금씩 줄여서

앞치기가 잘되게 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챔질하실때 너무 강하게 하시면 고기가 걸림과 동시에 낚시대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이 있으니 살살 챔질하시구요! 손맛 많이 보세요!
추천 0

IP : 22212b321629348
토블이 초경질은 아닙니다 ㅎㅎ 경질대인것은 맞습니다

32대까지는 무조건 바통끝으로 1:1 원줄길이잡습니다

처음에만 조금 힘들지 앞치기가 익숙해지시면 일도아닙니다 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ㅎ

토블 2번대 수리만 3번받았습니다. 정내미 뚝뚝떨어지지만 장비병고칠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
추천 0

IP : 193f91c1edb39d6
토블 정도면 27까지는 정줄로 가셔도 무난 할듯하구요~

30대 혹은 32대 는 대략 손잡이대 정도 (20cm) 정도면 무난히 편하게 하실수 있을듯합니다..
추천 0

IP : addd9d97cb45b11
저는 다른 조사님들보다가 줄을 짧게 사용합니다.

27칸이하는 낚시대보다 5cm짧게.
32칸이하는 낚시대보다 30cm짧게사용합니다.
옥내림을 가끔하는데 짧은대는 상관없으나
32칸 같은경우엔 30cm짧게한다고해도 옥내림은 목줄이 길기에 바늘까지 고려한다고보면
긴바늘은 낚시대길이보다 길게 되네요.
떡밥낚시치고는 조금 짧은감이 있지만 편한낚시를 위해서 다른 조사님들보다 짧게 사용하는편입니다.
추천 0

IP : b3ef20569cb74a0
이제 입문하신분이라면...
21 25 27까지는 낚시대 길이에 맞추는게 좋을듯하고..
30부터는 한뼘정도 짧게맞추시는게 좋을듯합니다.
토블이 초경질은 아니여서..^^;;

입문자입장에서..
원줄을 길게 매는것이 어쩌면 좋을수도 있지만..
바람이 많이 부는날이나 저부력찌를 사용할경우 캐스팅하기가 힘들더군요.
또한 고기제압에서 있어서도 원줄이 길면 제압하기 쉽지 않고요.

원줄을 길게해서 캐스팅하기 힘들바에는...
줄을 좀 짧게매고 캐스팅하기 쉽도록 하는게 더 현명한듯합니다.
추천 0

IP : 09e0523320f2e80
지금 시기에 양어장 출조시라 음..

줄 길이가 문제 이신게 아닌듯 합니다..

급작 스런 추위로 지금은 고기들이 거의 입을 다물었다고 보시고 그냥 찌 마추는 재미 느끼러 간다고 생각하시고

출조 하심이 정신 건강에 이로울듯 합니다..

대구 시라면 어디로 출조 하시나요? 궁금 해서 문의 해봅니다.
추천 0

IP : a73b764d45275a8
각자가 기준이 다를 수 있습니다.
원줄길이의 기준은 앞치기 + 고기제압을 계산하시면 될 듯.
추천 0

IP : 967d7f9b75298e1
30대 까지는 채비 완비후 낚시대 수직으로 세워서
봉돌과 바늘이 낚시대 길이에 맞추어 사용함니다
추천 0

IP : a44f9f43f2dd039
마장동님의 의견에 한표 던집니다.
티비에서 송귀섭씨도 얘기했던부분이구요. 덧대자면 그 낚시대에 사용할 찌에 찌맞춤한 봉돌을
낚시대 길이만큼 잘라놓은 원줄 끝에 단다음 낚시대를 수직으로 세웁니다. 그상태에서 초릿대, 2번대 등이 휘어졌을때
낚시대 손잡이 끝부분에 줄을 잘라서 원래 봉돌을 다시 달면 좋습니다.
물론 32대까지야 낚시대 펴진 상태로 손잡이대끝에 봉돌을 위치시켜도 무리는 없습니다만
편하게 앉아서앞치기 하고 앉아서 고기제압하고 하는 모든 면에 있어서 위에 말씀드린 방법이 가장 괜찮은듯 합니다.
추천 0

IP : 3d9372854ce84de
그전에 어떤 낚시대를 사용하셨느냐에 따라 달라질듯 합니다.
제 입장에서는 토블도 상당히 경질입니다.. 수파골드와 기록 이두넘을 거의 사용해서 토블에는 줄길이가 상관없을듯 합니다..

기존에 사용하시던 낚시대에 비해 토블이 경질이라면 원줄의 길이는 끝에 맞추시면 될거라 사료되옵니다.
추천 0

IP : 16cac67bd1d6d0b
3.2 대 이하는 일단 낚시대랑 비슷한 길이로 원줄묶고 낚시하면서 투척힘들면 봉돌부분 원줄 끊어서 투척 편해질때까지 짧게 맵니다.
애초에 짧게 매면 좋겠지만 너무 짧아지면 왠지 손해보는 느낌이 들어서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