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가는 손맛터가 있거든요. 몇 년 전에는 그래도 손맛도 보고 그랬는데요.
채비는 아주 예민하게 쓴건 아닌데요..
그래도 채비 때문에 잡어나 애기 붕어들이 성화를 부리진 않을 듯해서요.
심해도 너무 심하더라구요.
혹시 미끼에 문제가 있었는지도 모르겠구요.
어분에 신장, 보리 좀 섞어서 콩알 낚시 했거든요.
정말 애기 붕어 4-5치 정도 녀석들이 정말 줄기차게 덤벼 드는 듯했구요.
심지어는 그 녀석들이 걸려서 나오기도 하더라구요.
손맛터마다 특성이 다르기도 하겠지만요.
고수님들의 노하우 좀 알고 싶습니다.
채비야.. 예민하고 가볍게 쓰는게 기본이겠는데요.
미끼 운용은 어찌들 하시는지요?
잡어와 애기붕어 성화에는 어찌 대처하시는지요?
간만에 가서 ㅎㅎㅎ
품질과 헛챗질만 겁내 마이 하고 왔습니다. ㅎㅎㅎㅎ
- © 1998 ~ 2025 Wolchuck all right reserved. ▲TOP
원줄끝 봉돌에서부터 한 10cm정도에 찌스토퍼를 끼워넣고 찌스토퍼와 봉돌 사이에 스위벨을 넣어서 찌맞춤을 하고
그 스위벨에 목줄을 달아서 하면 잔챙이를 거를 수 있다고 합니다.
잔챙이나 잡어가 입질했을때 스위벨이 10cm정도는 올라가도 봉돌이 안움직이니 찌에는 표현이 안되고 정상적인 입질이 왔을때만
10cm구간을 통과해서 입질로 표현된다고 하네요...
저는 양어장을 잘 안가서 써보진 않았습니다 ㅋ
그것마저도 꽝치는 1인이라....
부럽습니다...
ㅠㅠ
쥔장한테 뭐라고 좀 하세요 ㅎ
큰 녀석도 좀 풀어달라고요...
^^ 그 또한 잡히지 않을 때는 손맛 맞습니다. ㅎㅎㅎ
감사합니다.
자주 가는 편은 아니나
손맛터용 채비를 한 대 정도 시험해 보는 것도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거주지가 의왕 안양 쪽인데요.
괜찮은 손맛터 아시는 곳 있으면 추천도 해 주세요. ^^
잔챙이 적은 곳으로요...
감사합니다.
관리가 좀 부족한듯합니다.
그리고 잔챙이 많은곳에 집어는 독이죠
마찬가지로 잔챙이들이. 댐비죠 무작정 챔질하는게 아니고 그중에 정상적으로 무는 큰놈은 찌올림이 주후하고 올림이 큽니다 몇번 보면 잔바리다 아니다 보입니다 그럴때 마다 챔질해내면. 마리수 손맛보장입니다
혼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