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예민하게 마추면 약한 유속과 바람에도 원줄이 밀리면서 채비 전체가 밀려갑니다.
그럴때는 쇠링을 추가해서 무게를 증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원줄 자체가 가라앉지 않는 플로트 타입이거나, 세미일 경우, 수면위의 이물질과 수면 바로 아래로 흐러는 이물질에 원줄이 같이 따라 흐러는 현상이 많습니다.
그럴때는 카본줄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아니면 초릿대를 3번대까기 깊이 담구면됩니다.
그리고 채비가 너무 가벼울 경우, 바닥을 정확하게 못 찍는 경우도 있습니다. 몇번을 던져도 수심이 비슷하게 체크되긴하지만 실제 봉돌이 가벼워 바닥의 장애물에 계속 걸려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도 채비가 상황에 따라 떠서 흐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수심 체크 잘 하시고 찌맞춤도 다시 하세요.
저 같은 경우도 작년에 예민한 채비에 님께서 말씀하신 현상이 발생하여 찌맞춤을 새로 다시 했습니다.
그럴때는 쇠링을 추가해서 무게를 증가시면 됩니다.
그리고 원줄 자체가 가라앉지 않는 플로트 타입이거나, 세미일 경우, 수면위의 이물질과 수면 바로 아래로 흐러는 이물질에 원줄이 같이 따라 흐러는 현상이 많습니다.
그럴때는 카본줄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아니면 초릿대를 3번대까기 깊이 담구면됩니다.
그리고 채비가 너무 가벼울 경우, 바닥을 정확하게 못 찍는 경우도 있습니다. 몇번을 던져도 수심이 비슷하게 체크되긴하지만 실제 봉돌이 가벼워 바닥의 장애물에 계속 걸려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도 채비가 상황에 따라 떠서 흐르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가벼운 찌맞춤은 불편함이 많습니다.
문제는 채비를 너무 예민하게 맞춘것 때문에
찌가 흘러가기에 O링추가해서 조금 무겁게 맞추엇더니
떠내려가는게 없더군요.
웃긴건 찌맞춤을 무겁게 해도 올릴붕어는 올리더라구요.
기타등등 원인이야 많겠지만
귀찮으시면 좁쌀로 처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