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찌톱이 가늘면 가늘수록 좋다고 하던데.. 주위 나름 고수께서,,, 정말 그런지요?? 가늘수록 왜 좋다는 건가요???
목록 이전글다음글 찌고수님들 질문요 댓글 5 인쇄 신고 g0g0fish IP : a54ac9ab01c10ad 날짜 : 2018-06-29 08:49 조회 : 1699 본문+댓글추천 : 0 민물찌톱이 가늘면 가늘수록 좋다고 하던데.. 주위 나름 고수께서,,, 정말 그런지요?? 가늘수록 왜 좋다는 건가요??? 추천 0 1등! 물가에선나무18-06-29 09:48 IP : e29bca17652d0c7 찌톱은 물 속에서 부력과 무게를 갖습니다. 물 밖으로 나오면 부력은 없어지고 무게만 남게 됩니다. 그래서 낚시 할 때 맞춤 마디 보다 찌를 더 내놓고 낚시를 하게 되면 무거운 맞춤이 되서 채비 안착이 안정적으로 됩니다. 부력은 부피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같은 무게라도 두꺼울 수록 즉, 부피가 클 수록 부력이 크게 됩니다. 가늘 수록 부력이 작아지구요. 결국 굵은 찌톱이 물 밖으로 나올 때 부력 변화가 크고 가는 찌톱이 물 밖으로 나올 때 부력 변화가 작습니다. 무게는 일정한데 부력 변화가 크다면 결국 채비 예민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예민성만 놓고 보자면 무게가 동일 하다는 가정하에 가는 찌톱이 유리합니다. 적은 대수로 작은 찌 놀림도 중요시 하는 떡밥낚시는 가는 카본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다른 변수도 있습니다. 예컨데 눈이 나빠 잘 보이지 않는다면? 역광인 상황에서는? 다대 편성을 해서 한 찌만 집중해서 볼 수 없다면? 가는 찌톱은 잘 보이지 않아 오히려 입질 파악이 안되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조우가 선친께서 80 넘어 까지 사용하다가 물려 받은 호박대 채비를 본 적 있습니다. 선친께서 사용하던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는데요. 튜브톱 찌에 반사 테이프를 감아서 찌톱을 아주 두툼하게 해 놓았더군요. 결국은 가는 찌톱이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만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겠습니다. 특성을 알고 잘 사용하면 될 일 안닌가 싶습니다. 쓰고 보니 짧은 질문에 답이 길군요. 한 마디 라도 도움되는 내용이 있기를 바랍니다. ^^;; 신고하기 추천 0 찌톱은 물 속에서 부력과 무게를 갖습니다. 물 밖으로 나오면 부력은 없어지고 무게만 남게 됩니다. 그래서 낚시 할 때 맞춤 마디 보다 찌를 더 내놓고 낚시를 하게 되면 무거운 맞춤이 되서 채비 안착이 안정적으로 됩니다. 부력은 부피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같은 무게라도 두꺼울 수록 즉, 부피가 클 수록 부력이 크게 됩니다. 가늘 수록 부력이 작아지구요. 결국 굵은 찌톱이 물 밖으로 나올 때 부력 변화가 크고 가는 찌톱이 물 밖으로 나올 때 부력 변화가 작습니다. 무게는 일정한데 부력 변화가 크다면 결국 채비 예민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예민성만 놓고 보자면 무게가 동일 하다는 가정하에 가는 찌톱이 유리합니다. 적은 대수로 작은 찌 놀림도 중요시 하는 떡밥낚시는 가는 카본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다른 변수도 있습니다. 예컨데 눈이 나빠 잘 보이지 않는다면? 역광인 상황에서는? 다대 편성을 해서 한 찌만 집중해서 볼 수 없다면? 가는 찌톱은 잘 보이지 않아 오히려 입질 파악이 안되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조우가 선친께서 80 넘어 까지 사용하다가 물려 받은 호박대 채비를 본 적 있습니다. 선친께서 사용하던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는데요. 튜브톱 찌에 반사 테이프를 감아서 찌톱을 아주 두툼하게 해 놓았더군요. 결국은 가는 찌톱이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만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겠습니다. 특성을 알고 잘 사용하면 될 일 안닌가 싶습니다. 쓰고 보니 짧은 질문에 답이 길군요. 한 마디 라도 도움되는 내용이 있기를 바랍니다. ^^;; 2등! 마부위침18-06-29 09:48 IP : 4318af40286de26 지톱이 굵을수록 시인성은 좋으나 클수로 잠력이 크게 작용해서 올림에 방해를 준다는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진짜 예만한 시기 아니면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꾼들은 자기 신념이 강해 한번 어떤 채비와 장비를 사용했다가 맞아떨어지면 그것이 진리인것으로 못밖는 성향이 있는듯합니다 환경과 조건, 시기에 맞게 적절히 하심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지톱이 굵을수록 시인성은 좋으나 클수로 잠력이 크게 작용해서 올림에 방해를 준다는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진짜 예만한 시기 아니면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꾼들은 자기 신념이 강해 한번 어떤 채비와 장비를 사용했다가 맞아떨어지면 그것이 진리인것으로 못밖는 성향이 있는듯합니다 환경과 조건, 시기에 맞게 적절히 하심됩니다 3등! ™피터18-06-29 09:57 IP : b6ce0e62e966722 가늘면 아무래도 충만감이 덜... 아, 찌 얘기였군요. ㅡ,.ㅡ'' 찌톱이 굵으면 몰 속에선 물흐름의 영향을 많이 받고, 물 밖에선 찌오름에 지장을 준다, 라고 많은 분들께서 말씀하시더군요. 신고하기 추천 0 가늘면 아무래도 충만감이 덜... 아, 찌 얘기였군요. ㅡ,.ㅡ'' 찌톱이 굵으면 몰 속에선 물흐름의 영향을 많이 받고, 물 밖에선 찌오름에 지장을 준다, 라고 많은 분들께서 말씀하시더군요. 섹시붕18-06-29 10:16 IP : 1882defc7d62202 피터님 사라있네ㅋ 낚시 장르에따라다르고요 분명장단점있읍니다만 예민할수록 건강에안좋아요ㅎㅎ 신고하기 추천 0 피터님 사라있네ㅋ 낚시 장르에따라다르고요 분명장단점있읍니다만 예민할수록 건강에안좋아요ㅎㅎ 淡如水18-06-29 15:58 IP : 463a7b309cbd75f 찌톱이 굵으면 표면장력에 의해 둔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따라서 옥내림, 떡밥, 스위벨 낚시나 중층, 전층 낚시에서는 가는 찌톱이 유리하지만 미세한 부력은 무시하는 대물낚시나 수초낚시에는 내구성과 시인성에서 앞서는 좀 두꺼운 찌톱을 오히려 선호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찌톱이 굵으면 표면장력에 의해 둔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따라서 옥내림, 떡밥, 스위벨 낚시나 중층, 전층 낚시에서는 가는 찌톱이 유리하지만 미세한 부력은 무시하는 대물낚시나 수초낚시에는 내구성과 시인성에서 앞서는 좀 두꺼운 찌톱을 오히려 선호합니다. 목록 이전글다음글 하단에 목록보기
1등! 물가에선나무18-06-29 09:48 IP : e29bca17652d0c7 찌톱은 물 속에서 부력과 무게를 갖습니다. 물 밖으로 나오면 부력은 없어지고 무게만 남게 됩니다. 그래서 낚시 할 때 맞춤 마디 보다 찌를 더 내놓고 낚시를 하게 되면 무거운 맞춤이 되서 채비 안착이 안정적으로 됩니다. 부력은 부피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같은 무게라도 두꺼울 수록 즉, 부피가 클 수록 부력이 크게 됩니다. 가늘 수록 부력이 작아지구요. 결국 굵은 찌톱이 물 밖으로 나올 때 부력 변화가 크고 가는 찌톱이 물 밖으로 나올 때 부력 변화가 작습니다. 무게는 일정한데 부력 변화가 크다면 결국 채비 예민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예민성만 놓고 보자면 무게가 동일 하다는 가정하에 가는 찌톱이 유리합니다. 적은 대수로 작은 찌 놀림도 중요시 하는 떡밥낚시는 가는 카본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다른 변수도 있습니다. 예컨데 눈이 나빠 잘 보이지 않는다면? 역광인 상황에서는? 다대 편성을 해서 한 찌만 집중해서 볼 수 없다면? 가는 찌톱은 잘 보이지 않아 오히려 입질 파악이 안되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조우가 선친께서 80 넘어 까지 사용하다가 물려 받은 호박대 채비를 본 적 있습니다. 선친께서 사용하던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는데요. 튜브톱 찌에 반사 테이프를 감아서 찌톱을 아주 두툼하게 해 놓았더군요. 결국은 가는 찌톱이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만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겠습니다. 특성을 알고 잘 사용하면 될 일 안닌가 싶습니다. 쓰고 보니 짧은 질문에 답이 길군요. 한 마디 라도 도움되는 내용이 있기를 바랍니다. ^^;; 신고하기 추천 0
2등! 마부위침18-06-29 09:48 IP : 4318af40286de26 지톱이 굵을수록 시인성은 좋으나 클수로 잠력이 크게 작용해서 올림에 방해를 준다는설이 있습니다 그러나 개인적으로 진짜 예만한 시기 아니면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꾼들은 자기 신념이 강해 한번 어떤 채비와 장비를 사용했다가 맞아떨어지면 그것이 진리인것으로 못밖는 성향이 있는듯합니다 환경과 조건, 시기에 맞게 적절히 하심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3등! ™피터18-06-29 09:57 IP : b6ce0e62e966722 가늘면 아무래도 충만감이 덜... 아, 찌 얘기였군요. ㅡ,.ㅡ'' 찌톱이 굵으면 몰 속에선 물흐름의 영향을 많이 받고, 물 밖에선 찌오름에 지장을 준다, 라고 많은 분들께서 말씀하시더군요. 신고하기 추천 0
淡如水18-06-29 15:58 IP : 463a7b309cbd75f 찌톱이 굵으면 표면장력에 의해 둔감하게 반응하게 됩니다. 따라서 옥내림, 떡밥, 스위벨 낚시나 중층, 전층 낚시에서는 가는 찌톱이 유리하지만 미세한 부력은 무시하는 대물낚시나 수초낚시에는 내구성과 시인성에서 앞서는 좀 두꺼운 찌톱을 오히려 선호합니다. 신고하기 추천 0
물 밖으로 나오면 부력은 없어지고 무게만 남게 됩니다.
그래서 낚시 할 때 맞춤 마디 보다 찌를 더 내놓고 낚시를 하게 되면 무거운 맞춤이 되서
채비 안착이 안정적으로 됩니다.
부력은 부피와 상관관계가 있습니다.
같은 무게라도 두꺼울 수록 즉, 부피가 클 수록 부력이 크게 됩니다.
가늘 수록 부력이 작아지구요.
결국 굵은 찌톱이 물 밖으로 나올 때 부력 변화가 크고
가는 찌톱이 물 밖으로 나올 때 부력 변화가 작습니다.
무게는 일정한데 부력 변화가 크다면
결국 채비 예민성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예민성만 놓고 보자면
무게가 동일 하다는 가정하에 가는 찌톱이 유리합니다.
적은 대수로 작은 찌 놀림도 중요시 하는 떡밥낚시는
가는 카본톱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다른 변수도 있습니다.
예컨데 눈이 나빠 잘 보이지 않는다면?
역광인 상황에서는?
다대 편성을 해서 한 찌만 집중해서 볼 수 없다면?
가는 찌톱은 잘 보이지 않아 오히려 입질 파악이 안되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조우가 선친께서 80 넘어 까지 사용하다가 물려 받은 호박대 채비를 본 적 있습니다.
선친께서 사용하던 그대로 보존하고 있었는데요.
튜브톱 찌에 반사 테이프를 감아서 찌톱을 아주 두툼하게 해 놓았더군요.
결국은 가는 찌톱이 절대적으로 유리하지만은 않고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겠습니다.
특성을 알고 잘 사용하면 될 일 안닌가 싶습니다.
쓰고 보니 짧은 질문에 답이 길군요.
한 마디 라도 도움되는 내용이 있기를 바랍니다. ^^;;
그러나 개인적으로 진짜 예만한 시기 아니면 의미 없다고 생각합니다
꾼들은 자기 신념이 강해 한번 어떤 채비와 장비를 사용했다가 맞아떨어지면 그것이 진리인것으로 못밖는 성향이 있는듯합니다
환경과 조건, 시기에 맞게 적절히 하심됩니다
아, 찌 얘기였군요. ㅡ,.ㅡ''
찌톱이 굵으면
몰 속에선 물흐름의 영향을 많이 받고,
물 밖에선 찌오름에 지장을 준다,
라고 많은 분들께서 말씀하시더군요.
낚시 장르에따라다르고요
분명장단점있읍니다만 예민할수록
건강에안좋아요ㅎㅎ
따라서 옥내림, 떡밥, 스위벨 낚시나 중층, 전층 낚시에서는
가는 찌톱이 유리하지만
미세한 부력은 무시하는 대물낚시나 수초낚시에는
내구성과 시인성에서 앞서는 좀 두꺼운 찌톱을 오히려 선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