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다대편성이 언제부터 유행 되었나요?

웰치스블루베리 IP : ef6889fe89ca291 날짜 : 2017-09-08 21:43 조회 : 11733 본문+댓글추천 : 0

예전 20년전 초등학생때 아버지 따라 붕어낚시 참 많이 다녔지요.
아버지는 3대에서 4대 저는 두대...^^ 이렇게 받침틀도 안쓰고 그냥 받침대 땅에 꽃아서 쓰고 어린기억에 5대 핀 조사들보고 우와 우와 했던 기억이 새록새록 나는데요 요즘은.. 기본 받침틀에 5대 이상부터 시작하시니...
다대 편성해도 고기 잘잡는건 아닌것 같은데 필요이상 까시는 분들도 있더군요 낚시도 세월에 흐름에 따라 트렌드라 생각해야되나요?
다대 편성이 유행이 된 이유가 무었인지 궁굼합니다 .^^
추천 0

1등! 졸때만찌올리네 17-09-08 22:07 IP : ae16e8eb9a7f7e8
제 생각에는 대물만 전문적으로 노리는 낚시가 유행하면서 다대를 펴는계기가 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제 경우에는 그런 지루한 낚시는 성격에 안맞아서 떡밥낚시로 많아야 5대 폅니다~~^^ 그래서 받침틀도 5단짜리 하나로... 부피도 작고 무겁지도 않고...ㅎㅎ
추천 1

2등! ★달빛속친구 17-09-08 22:22 IP : 87c86f42779e135
시기적으론 더 오랜 시간이 됬겠지만 낚시방송
생긴이후로 갈수록 보편화 된듯 합니다
추천 1

3등! 잔챙이전문 17-09-08 23:42 IP : 2d91fc18b6b8091
과거에도 다대편성은 있었죠 땅바닥에 뒤꽂이가 가지런히 반원을 그리며 대편성 하는것을보고 고수를 분류하곤했으니까요
요사이처럼 다대편성이 일반화된건 아무래도 외래어종으로 인한 붕어의 개체수 감소가 일차적인 원인 이겠고
둘째는 낚시 장비의 발달이겠죠 옛날 같으면 석축같은곳은 모래주머니를 가지고 다니면서 모래주머니에 받침대를 하나씩 꼽고 했으니 다대편성은 엄두도 못냈던
그러한 장소들이 이젠 받침틀과 좌대등으로 낚시대편성이 용이해졌으니까요
그리고 언젠가부터 붕어를 통해 낚시를 즐기는게아닌 큰 붕어만을 잡아야만 한다는 강박증에 경쟁하듯 1년에 월척을 몇마리 잡았느니
몇번째 월척이니 하는게 우선시 되는 낚시인들의 조급증 때문인듯합니다
추천 3

객주 17-09-09 00:49 IP : 631df43cb1d6011
안동댐이 건설되고 낚시 할 무렵에도 다대편성은 있었습니다

간데라에 카바이트 넣고 물 부어서 낚시하던 시절......그때가 그립습니다
추천 0

ㅇㅏㅇㅣ폰 17-09-09 00:52 IP : d30a2eba93a0781
저는 붕어낚시를 늦게 시작해서 온라인 매체를 통해보니

전부 다대편성 방송도 글쿠여 ...원래 그런가보다 하고 따라하기 시작했습니다 ㅎ

고딩때는 5처넌짜리 낚시대에 조립채비 이봉바늘에 지렁이 달아서 4-5치 붕어 마릿수

엄청 잡아도 좋다고 했었는데 말에요 ㅎ
추천 1

부처핸섬 17-09-09 01:06 IP : 2cb1e4b9263c693
받침틀나오고
다대편성 일반화된거같네요
추천 1

S모그 17-09-09 06:08 IP : f11bb0d73c3de0b
많다 여겨지면 줄이면되지요^^
많이 펴는것이 과연 유행일까요?

유료터에서는 왜 32칸 쌍포 무슨채비에 떡밥 뭐뭐뭐 몇프로 비율배합....이것도 유행일까요?
다 잘잡힌다는, 잘 잡히니까 쓰고있는게 아닐지

1대편성 낚시부터 많으면 20대도 넘게 30대가까이 펴고 낚시하는 유저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많이 펴는 사람들도 불필요한데 굳이 펴놓는 낚시대는 거의 없습니다

조과는 전혀 개의치 않고
계절따라 철따라 풍광좋은 곳을 골라
밤바람 쐐면서 별도 보고 수면위에 깔린 인공 은하수 바라보는 맛으로 물가를 즐기러 다니는 유저들도 많습니다

낚시의 모든 행위를 조과라는 전제만으로 해석하고,
좋은 낚시의 기준을 얼마나 많이 잡았냐로
점수를 환산한다면
우리 수백만 낚시인 모두는 지금은 취미일뿐이지만,
궁극의 목표는 전부 어부가 되려고 발버둥치고 있는
정말로 아이러니한 상황이 아닐지.....
추천 8

붕칙봉칙 17-09-09 10:29 IP : 6dda07160c0b49b
다대 편성을 해도 보편적으로 보면 올라오는 낚시대가 대충 정해져 있는듯,,,,,
스스로의 만족감? 주위의 눈 의식?,,,뭐 그런거 아닐까요?
아!!!혹시나 하는마음?추가요(괜히 찌안세운곳에 대물 나올거 같은,,,,^^;;)
추천 1

가은짱 17-09-09 12:15 IP : 5c21b748d6d8f89
예전에 심심치 않게 이런비슷한 글들이 많이올라와서 의견이 분분한 기역이 있네요
좁은 소류지에서 12대이상 편성하면 미안한마음도 업지않아 있죠 먼저 자리 잡아도
많이 피면 많이잡느냐? 음 저도 보통12대정도 피지만 제생각은 못잡으니 확률을올리려고
많이 핍니다(저는 그렇다는겁니다 오해는말아주시길) 그리고 물가에 앉아 여러개에 찌불을
보는것또한 낚시에 한 재미라고 할수 있겟네요 던저보니 저기도 나올거같고 여기도 나올거
같고 하니 확률을높일려고 다대를 편성하지만 남들의식 해서 다대편성은 하지 않습니다
추천 1

대물신왕 17-09-09 13:01 IP : 1701cd4ff4b28b1
보통 낚시환경에 따라 6 ~ 10대 핍니다.
경치도즐기고, 사색도 즐기고, 이왕이면 찌맛,손맛도
볼수있으면 하는바램으로 다대편성 하는것 아닐까요.?
추천 0

터미박 17-09-09 15:32 IP : 589d797a9c0bcb7
지역 에 따라 대중화 시기가 차이가 나는데요.

경북.전남.이 가장 빠르고
그 시기는 1990년대 후반 부터이고
낚싯대는 원다의 캐블러 옥수 나.은성의 다이야플렉스가
대물대로 많이 쓰엿고

이후 2005년 경 강원의 드림 괴 큐 가 잇달아 출시되며
바야흐로 대믈낚시 춘추전국시대를 맞이 하게 됩니다

그 무렵 까지는 다대편성을 보고
어부니, 낚싯대 많 이 깐다고 고기 잘잡냐 .~ 등
낮선 시선도 만았지만,

2000년 후반 부터는 도리어 두세대 피고 낚시 하는 이들이 하수 ? 취급 받기에 이르렀죠

다대편성은 새우 나 참붕어 .콩 같은 미끼로 수초지역위주로 노리는 데서 시작 되었고
배스터의 확산으로 동물성대신 옥수수가 보편화 되기에 이르렀 습니다

그 동안 경험으로
영원 할것 같은 콩알 떡밥 낚시도 2000년을 시작으로
시들 해졌고

마찬 가지로 생미까 대물 낚시도 2015년를 기점으로
옥내림에 그 자리를 내주었 습니다

당분간은
죄대나. 보트낚시의 유행이 이어 지다가

닐낚시의 부활 이나
간편한 낚시로의 회귀로 돌아서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추천 6

淸水김현배 17-09-10 08:51 IP : 0f7abf8091bdc10
릴낚시도 저만큼 피는데
들낚이라고 못피겠느냐
하며 누군가 폈답니다.
낰시대도 12대깔았다죠
미끼는 굵은새우와 콩으로다가 ㅅ.ㅅ
추천 1

지나가던붕어 17-09-10 11:00 IP : d7381015bbf2a23
유행 이라기보다 어느 포인트에서 먼저 입질이올까 하는
즐거움 머 그런재미도 있지요
글쓴이님은 본인의 즐거움을 찾으시면되구요
외대일침도 재미납니다
내림외대고수는 쌍포는 머한다고 펴~~하시는분도 계셔요
남들이 내가하는것과 다르다 해서 신경쓰실필요 없습니다
취미는 취미일뿐^-^
추천 1

하드락 17-09-10 11:21 IP : a5bf3e3d10c36e4
필요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겠죠.

유행이 맞습니다.

세상이 조금 더 발전하면

손바닥만한 판대기 던지면 좌대가 펼쳐지는 세상이

올거에요.

다대편성은 취향일뿐입니다.

자동차도 10대 이상 가지고 있는 사람도 있잖아요.
추천 0

정군9873 17-09-10 13:11 IP : a866ce5f992e3f5
자도 그게 궁금해서 찾아봤는데요.
우선 외래어종 유입으로
붕어 개체수가 감소하는 대신에
배스에 대응하려고 붕어들이 몸집을 키우기 시작하면서 허릿급과 사짜가 다수 출몰하고

낚시티비에선 이런 대물 낚시를 주로 방송하면서
월척은 그냥 누구나 잡는 수준이고
허리급.4짜 이상을 노리는 대물낚시.다대편성이
널리 퍼졌다고 봤습니다.

방송에서 6치.7치 밤새 걸어내는거보다
1박2일 동안 대물하나 건지는게
시청률도 더 좋으니 당연한 결과겠죠.

다만 그 대물들이 나오는 곳이
대부분 터가 센곳이고 입질 보기 힘든곳이라
확률을 높이려면 다대편성과 경질대는
필수가 아니었을까 합니다
추천 1

이공 17-09-10 14:00 IP : 41a03d601a0c314
낚시환경 변화겠죠...

첫째... 자가용의 보편화로 휴대성 용이.
둘째... 배스 유입으로 인한 붕어 개체수 감소.
셋째... 장비 개발과 발달로 다대편성 편리.
넷째... 낚시방식의 변화.(집어방식에서 회유포인트의 기다림 방식으로)
추천 0

말붕어 17-09-10 16:48 IP : 9aba9f0c171faa4
개인적인취향도 그렇지만 조구사와 낚시방송의 영리추구가 맞아떨어진 결과물일수도...
추천 2

휴안 17-09-10 18:58 IP : bafe13c6251c9f8
정확한 건지는 모르겠으나 모낚시방송에서 슬로프낚시로 코너를 진행하고 계신
윤기한 씨 께서 오래전 감성돔바늘로 보통의 사이즈보다 큰 붕어조과를
올리면서 다대편성이 일반화되었지 싶습니다. 이른바 대물낚시이지요.
저 개인적으로는 보통 5,6대 정도의 대를 펴고 낚시를 합니다.
안잡힌다고 더 많은 대를 편성해 보진 않습니다.
추천 0

충북영동카사노바 17-09-10 19:19 IP : 8d92ad625c3adb2
결국은 붕어 남보다 더잡고픈 마음에

더 길고 ,,, 더많이 ,,, 피는거 아닐까요~~

그래서 릴두허구,,,,,,

그래서 보팅두허구~~~~~


결국은 욕심이라 봅니다,,,,,,,
추천 0

제이킥 17-09-10 19:52 IP : 6ca7251450ab778
낚시환경과 도구의 발달이겠지요. 선사시대부터 끊이없이 낚시기법과도구는 발달되어왔지요.
남들보다 더 많이 더 큰걸 잡고싶은 욕심에 다대편성을 하는이도 있겠고 그냥 장비 펴놓고 여러개의 찌불 바라보는게 좋아서 그런분도 계시고 어찌 사람의 마음이 다 같을수가 있나요..
낚시방송이나 조구사의 영향도 있을수 있겠고 고기많이 잡고싶은 사람의 욕심이라고 말할수도 있겠으나 너무 그쪽으로 매도하며 다대편성이 욕심의 결과물로 몰아가는건 아니라고 보네요.
전 보팅도 하지만 그냥 그 보팅낚시 자체가 즐겁습니다.노지와는 다른 즐거움이 있죠.
다 각자의 취향대로 환경대로 하는것이라 생각합니다.
추천 0

붕어얌 17-09-10 20:26 IP : fe91d50e02dbe5b
대물낚시의 메카 대구경북에서 시작된거라 들은적이 있습니다 저도 어릴때 20년전은 더됐는데 그때 아부지따라 낚시따라갈때 조우회삼촌들도 그렇고 전부 다대편성 하셨었어요 물론 받침틀 이런거없이 땅에꽂거나 모래주머니 채워서 대편성 했었어요
윗지방으로 갈수록 떡밥,중층낚시층이 많고 대구,경북은 거진 대물낚시 (일명풍덩채비,무거운채비)가 많을겁니다
추천 1

어처구니 17-09-10 20:45 IP : 6e4bfc0d34972b4
87년도쯤 처음 마이카를 구입하고부터 입니다
그때는 미끼를 새우와 참붕어만 사용했구요
남녘 담수형 저수지 뚝방에서
소금마대에 모래채워서 8~10대 편성했지요
추천 0

낚고보니월척 17-09-10 22:43 IP : c3113b7a8ddfb15
제가 중학생일때 동네 저수지가 낚금해제가 되며
엄청난수의 낚시꾼이 몰린적이 있습니다
그당시 1~2칸대로 고기를 수없이 잡아갔지요
그때 제 기억에 다대편성하신분, 외포 이신분, 몇대만 펴신분 다양했습니다
그때가 무려 25년 전입니다
그 당시 제가 그런 낚시를 접하기 전에는 대나무 한대 짤라 노지에서 지렁이 낚시했던 시절입니다
그런 이후 저도 낚시대를 장만해서 중학생때 5대~10대를 펴고했습니다

그리고 릴 낚시처름 줄낚시도 같이했는데 줄낚시도 10개씩 던져놓고했습니다 그것도 다대낚시죠

고기를 잡고 싶은 마음이 크고 손맛 욕심도 나다보니 포인터에 가보면 여기저기 찌를 세울곳이 많이 보이는거죠

세월아 흘러라하고 풍류만 즐길거면 외대에 봉돌만 던져놓고 감상만하면 되는것이고 굳이 어부라고 부정적으로 표현하지 않아도 저 처럼 손맛만 보고 잡고 놓아주는 즐거움에 출조했는데 꽝치면 아쉽고 한대로 하자니 너무 심심하고 그렇지요
그리고 다대편성은 미끼를 다양하게 동시에 사용해보는 즐거움도 있습니다

어느 장르가 옳다그러다한다거나 다른 장르를 굳이 비판할 필요는 없다봅니다
장비의 자랑이던 고기에 대한 욕심이던 본인이 그 순간에 힐링하면 즐기면 그만 아닐까요
추천 0

말랑코 17-09-10 22:58 IP : 3251c4c450f41ba
자기마음이죠 많이핀다고 머라할거없고 적게핀다고머라할거없습니다
추천 0

에프삼 17-09-10 23:15 IP : 6133084c4c6a471
물론 그옛날부터 간혹 존재하긴 했지만
너도나도 전국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건
낚시방송 시대 부터라고 봅니다.
추천 0

엄살 17-09-11 05:43 IP : 175ced401918577
다다익선 하지만 늘꽝이네요
추천 0

전기붕어 17-09-11 09:46 IP : 1a28f97038f5d65
인터넷이 대중화된 1995년부터 2000년 초기라고 봅니다.

낚시 방송도 생기고 인터넷으로 정보가 공유되면서

온라인, 오프라인이 함께 활성화 되었죠..

그때부터 낚시 쇼핑몰도 생겨나고 장비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고 생각되네요.
추천 0

인생무상님 17-09-11 13:51 IP : 2c3354200e0d868
싸이즈 좋은 붕어 잡기가 점점힘들어지니깐 그런것 같습니다.

외대로 4짜이상급 하루에 마릿수 끌어내면 누가 그 무거운 좌대니 낚시대니 바리바리 싸들고가겠습니까 돈아깝고 힘들게

맨날 꽝치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대나 더 펴보자 하는 마음때문에 낚시대 대수는 점점 늘어나는듯합니다.

젤 중요한것은 붕어가 안들어오믄 1대피나 30대피나 무조건 꽝입니다 ㅎㅎㅎ

결국 그냥 자기 만족으로 다대편성하고 밤에 피곤해서 뻗어서 자고 아침에 철수합니다 푹자러갈꺼.....왜 그리 고생해서 대펴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제이야기입니다 ㅎㅎㅎ)
추천 1

여유롭게™ 17-09-17 13:42 IP : e37ba34761bfec0
좋은 글.,.참고 하고 갑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