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정보·팁] 사용중인 스위벨(좁쌀) 채비 이해

qnddo3 IP : e9b1406de261081 날짜 : 2011-04-07 13:47 조회 : 9281 본문+댓글추천 : 0

손맛터 기준으로 스위벨이나 좁쌀이나 기타 원봉돌 채비나 먼저
입질 표현을 보고 내 채비가 무거운지 가벼운지를 판단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찌 올림이 좋은데 헛 챔질이 많이 발생하는 경우나,
제대로 맞춘거 같은데 무겁게 반마디나 한마디 올리다 마는경우,
빠르게 빨리는 경우나 투둑거리며 빨리는 경우나,
비스듬히 1-2마디 올라오는 입질표현의 경우
내채비가 무거워서 그런지 가벼워서 그런지를 정확하게 판단할수 있다면,
문제 해결은 의외로 쉽고, 간단합니다.
잘 올라오던 찌가 어느 시점엔가 입질표현이 없어지면,
고기 밥먹으러 갔나보다라 합니다.
밥은 내 찌 밑에 있고, 고기도 그기 있지만,
변화에 따라 찌에 표현이 안됄 뿐이지요.
어느정도 집어가 되고 ,어느 정도 조과가 보장되는 자리에서도 이런 현상은 시시각각 나타 납니다.
그 변화에 대응 할수 있으면, 거의 온종일 적절하게 잡아 낼수 있는게 손맛터 입니다.
물론 기후상으로 전혀 입질이 없을수도, 아주 약해서 대응이 불가능 한 경우도 종종 있긴 합니다.
손맛터에선 찌톱 한마디 올리고 내림에 따라 찌올림이 아주 달라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한번 찌 맞춰 던지고 나면 하루종일 그대로 낚시하시는 분들.
어느 시점엔가는 찌가 잘 올라오다 어느 시점엔 말뚝,
그러다 또 어느 시점엔가 올라오다 말다를 반복 합니다.
입질 패턴에 따라 변화를 주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동영상이나 기타 지식 습득으로 일반화된 찌 맞춤법은 알고들 있습니다.
또 거의 대부분의 분들이 가벼운 찌 맞춤에 익숙해져 있습니다.
입질표현을 보고 무거운 입질인지 ,가벼운 입질인지를 판단할수 없다면,
그저 내채비에 맞는 시점에 몇마리로 만족해야 합니다.
입질표현을 보고 그기에 따라 조절할수 있다면,
최소한 남보다 더 잘 잡을수 있습니다.
하다못해 찌톱을 한마디나 두마디 더 내놓는거나, 내리는 것 만으로도 대응이 가능한데,
그냥 옆사람만 쳐다 보는분들 많지요.
부력4호찌에 스위벨(전 스위벨 대신 분납금추 2,3,4호를 주로 이용) 찌맞춤 합니다.
바람없고, 잔잔한 수면에서 원줄 잠기게 해서,
바늘빼고 찌톱 반마디쯤 나오게 맞춤 합니다.
쇠링 중이나 소자로 케미가 딸각 잠기게 조절 합니다.
다 하시는 방법 입니다.
그리고 수심 다시 체크후 찌톱 세마디 노출로 낚시 시작합니다.
대부분의 분들이 2마디 이상은 안내놓죠.
여기서 부터 입질표현하는거 봐가며, 찌톱 노출로 조절 합니다.
무거운지 가벼운지를 판단해서 ..
찌톱 한마디 정도만 올리고 내려도 잘 맞습니다.
정말 찌 잘 올려줍니다.
시간대별로 하루에 3-4번정도는 이렇게 조절 합니다.
때에 따라선 스위벨의 크기도 조절 합니다.
목줄의 길이도 조절 합니다.
분명한 것은 안정적인 채비 안착이고,
가벼운것 보다는 무거운게 낫다는 겁니다.
스위벨 채비의 단점은 가벼움에 있습니다.
동영상만 따라 하시면 ,어느날인가는 찌 몸통까지 올려 줍니다.
나머지는 꽝 입니다.
가벼운 채비가 많은 조과를 보여주는 날도 있지만,
나머지 날은 상식보다 조금 아주 조금 무거운채비가 훨씬 나은 조과를 보여 줍니다.
변수가 많은 낚시에 정답이 없지요.
찌에 따라서도 찌 맞춤이나, 올림이 제 각각 입니다.
전 한가지 찌만 가지고 집중해서 합니다.
그 찌에 맞은 맞춤과 올림을 보고 조절 합니다.
어떤 찌나 어떤 채비를 하시던지,그 입질 표현을 보고 무거운지 가벼운지를
정확하게 판단할수 있다면,
찌 맞춤이던지 스위벨이나 좁쌀이나 분할이나 다 지금보다는 쉽게 접근할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위의 경우에서 헛챔질이 많거나,빠르게 빨리는 경우나,비스듬히 1-2마디 올리다 마는 경우엔 가벼운 맞춤으로
찌톱을 더 내놓거나 쇠링 소자를 하나 더 채웁니다.
무겁게 반마디나 한마디 올리고 마는 경우나 투둑거리며 빨리는 경우는 무겁다고 판단합니다.
찌톱을 한마디나 두마디 내립니다.

스위벨 채비
좁쌀채비의 찌 맞춤이나,채비 교환의 불편함 때문에 스위벨 채비를 사용하시지만,
스위벨 채비 또한 단점이 많습니다.
저도 전에는 무거운 스위벨을 구하려 낚시점 마다 돌아다닌적이 있습니다.
스위벨의 크기를 조절해야 하는것은 찌의 부력 때문만은 아닙니다.
부력4호의 같은 찌를 사용하더라도 수온이나 활성도에 따라 스위벨의 크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결국 제가 사용하는 채비는 위에 언급했듯이 분납 금추를 이용한 좁쌀과 스위벨의 절충형태 입니다.
좁쌀이나 스위벨 보다는 유용하다고 생각 합니다.
고리봉돌에 연결할 합사는 20cm정도를 기준으로 잡고,
찌 멈춤하나 끼우고 금추 구멍으로 합사 통과후 쇠링중자를 안돌림4번정도로 고정 합니다.
찌 멈춤고무로 금추를 고정하고,쇠링을 통해 바늘 교체를 합니다.
동영상에서는 저수온기나 활성도가 낮을수록 작은 스위벨을 추천하지만,
전 반대로 사용중 입니다.
하우스나 저수온 일수록 금추의 무게를 더 줘서 안정적인 안착에 중점을 뒀고,
그게 훨씬 더 좋은 결과를 만들어 냈습니다.
지난주에 금추3호를 사용 했지만,
기온이 오르고, 활성도가 좋아지니
이번주부턴 더 가벼운 금추2호를 사용할 생각 입니다.
스위벨 채비에서 활성도가 좋은 경우엔 작게, 반대일 경우엔 무겁게 가져가 보세요.
제 경험이지만 의외로 좋은결과를 보실수 있을 겁니다.

목줄의 길이도 저수온기엔 3-5cm 정도로
요즘은 5-7cm 를 주로 사용합니다.
바늘간 단차를 저는 두는데 ,이건 손맛터 마다 조금씩 다른것 같습니다.
목줄의 길이를 또 동영상 보다는 짧게 가져가는 이유는
찌 올림이 곧게 올라오는걸 좋아하기 때문입니다.
너무 길면 얼레벌레지, 찌 올림의 직립성이나 무게감이 못하기 때문에 아무리 길어도 8cm 이상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원줄은 잉어,향어가 많아 모노 1.5호를 사용합니다.
찌는 4호이며,목줄은 당2합사, 바늘은 가마가츠 아스카 6호 입니다.
끝으로 제 찌는 몸통까지 올리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언제나 일정하게 정직하게 올려 줍니다.
추천 8

1등! 빵큰붕 11-04-07 14:58 IP : 42b7a7fc9c3bf30
유용한 정보 잘 보고갑니다.
참고 하겠습니다.
추천 0

2등! 행복한바늘 11-04-07 15:00 IP : 365165b4e0a4d4e
고수분의 채비 잘봤습니다..^^ 저는 왜 저수온기 저활성기일때..반대로 해볼 생각을 못했는지..ㅎㅎ

한수 배우고 갑니다^^ 저수온기일때 반대로한번 해봐야겠네요!^^ 감사합니다,,
추천 0

3등! 은정이 11-04-07 16:38 IP : f3a2808d8f6b934
많이 배우고 갑니다....^^

새로운 결과를 알고 가게 되내요....ㅎㅎ 아직 초보라..ㅠㅠ;;
추천 0

소쩍새우는밤 11-04-07 18:26 IP : 46e42f8982e56f6
스위벨(좁쌀봉돌)채비에 대하여 완전히 이해를 하신
고수의 정확한 판단이라 여깁니다.
개인의 세심한 채비정조가 도움이 됩니다.
추천드립니다.
추천 0

誠敬信 11-04-07 19:29 IP : 0d86322b7a61ec7
저 역시 추천 드립니다

전 스위벨이나 좁쌀 지금은 쓰지 않습니다

그저 봉돌하나에 외바늘 입니다

저역시 찌탑의 노출조절로만 즐겨 쓰고 있습니다

좁쌀이나 스위벨채비 좋아하시는 분들에게 깔끔한 정리 해주셨습니다
추천 0

하얀부르스 11-04-07 19:40 IP : 1082582e5c9dfb8
좋은정보 감사드립니다
추천 0

멍돌이아빠 11-04-07 20:35 IP : 4a9c14b27d6f5b3
저 또한 아는 선배님에게 무거운 것이 낫다고 들었습니다... 잘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도브 11-04-07 22:57 IP : a31d7d2e1153673
정말 많은 연구의 흔적이 보이는 글입니다..

저도 스위벨을 사용중인데 아주 좋은 정보를 주셨습니다..

항상 예민하게 사용하려 했었는데,, 안정적인 채비안착!!에 중점을 둬야겟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실뽀 11-04-08 09:06 IP : 2fa38b78b3484f4
스위벨채비 사용하면서 갸우뚱~~ 거리며 이해가 안되는 부분들이 있었는데 많이 도움이 되네요~
좋은 정보 감사 드리고~ 테스트하러 몰래 낚시나 갔다와야겠네요 ^^
추천 0

악의꽃 11-04-08 14:47 IP : 866aaab83b4365d
정말 좋은 글 입니다. 그간 애매하던 것들이 많이 해소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추천 0

자생붕어 11-04-08 22:28 IP : 3eaa31589084e46
좋은정보 감사드리고
장문의 좋은글에 초보가
많이 배우고갑니다...
추천 드립니다....
추천 0

돌다리 11-04-09 09:24 IP : 125942628919654
좁쌀채비를 사용하면서
누구나 혼란스럽게 여겼던 부분을 잘 정리해 주신 것 같습니다..
깊은 연구와 노하우를 공개해 주심에 감사드립니다.......
추천 0

외대일봉 11-04-13 11:15 IP : 428860a852694a4
핵심입니다. 내찌의 상태가 무거운 맞춤인지, 가벼운 맞춤인지 판단하는것 생각보다 어려운 부분이지만 꼭알고 낚시를 해야합니다.
각자 나름대로의 기준을 가지고 채비 변화를 주면서 낚시를 하다보면 한층더 낚시의 즐거움을 느낄수 있습니다.
그리구 양어장의 경우 한가지 경험을 말씀드리면 채비 투척지역이 수심차이가 발생하면(경사지역) 즉시 미련없이 자리를 옮기세요
평지대비 조과확실히 떨어집니다. 노지도 마찬가지이나 자리옮김이 어려우니 장을 펼치기전에 꼭 확인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