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찌맞춤할때 봉돌 등 계산 방법

바쿠스 IP : 2db9417af71f1cc 날짜 : 2013-11-27 11:12 조회 : 9771 본문+댓글추천 : 0

낚시 경력은 30년인데 붕어 바닥낚시는 4개월 된 극초보입니다... (계곡/강 끝보기 위주... 빠가하고 메기를 잘 먹습니다.)

가장 어려웠던 부분에 대해 해 보니 가장 편하더라... 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하니 다른 의견 있으시면 부탁드립니다.

각설하고 제가 사용하고 있는 무게를 계산해서 찌맞춤 하는 방법입니다.

1. 우선 채비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결정합니다.

제가 현재 사용하는 채비는 분할봉돌(스위벨) 채비입니다.

기본적으로 계산에 들어가는 구성은

① 미니방울골드캐미
② 찌
③ 유동봉돌
④ 분할봉돌

이렇게 네가지입니다.

2. 찌의 부력을 먼저 확인합니다.

① 미니방울골드캐미
② 찌 (효은찌 약 9푼, 3.6g)
③ 유동봉돌
④ 분할봉돌

3. 미니방울골드캐미의 무게를 계산합니다.

① 미니방울골드캐미 (0.18g)
② 찌 (효은찌 약 9푼, 3.6g)
③ 유동봉돌
④ 분할봉돌

4. 분할봉돌 무게를 계산합니다.

① 미니방울골드캐미 (0.18g)
② 찌 (효은찌 약 9푼, 3.6g)
③ 유동봉돌
④ 분할봉돌 (성동 분납스위벨 4호, 0.62g)

5. 유동봉돌 무게를 계산합니다.

① 미니방울골드캐미 (0.18g)
② 찌 (효은찌 약 9푼, 3.6g)
③ 유동봉돌 (해동 고리추3호, 2.8g) → 고리 부분 구부려서 원줄에 넣고 스토퍼 끼워 유동으로 사용합니다.
④ 분할봉돌 (성동 분납스위벨 4호, 0.62g)

6. 찌와 무게차를 계산합니다.

① 미니방울골드캐미 (0.18g, 대충 하면 2g)
+③ 유동봉돌 (해동 고리추3호, 2.8g) → 고리 부분 구부려서 원줄에 넣고 스토퍼 끼워 유동으로 사용합니다.
+④ 분할봉돌 (성동 분납스위벨 4호, 0.62g)

= 0.18 + 2.8 + 0.62 = 3.6 g

찌의 부력에 따라 분할봉돌(스위벨) 먼저 결정하고 다음에 유동봉돌 결정합니다.

그래야만 찌맞춤 할 때 유동봉돌 깍아서 부력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찌가 3.6g 정도 되므로 계산상으로는 동일합니다. 바늘(6호) 달아놓고 낚시터 갈 날만 기다립니다.

수조찌맞춤.... 굳이 안합니다. 아니, 못합니다. 집에서 수조찌맞춤하면 가정불화가 옵니다. ㅜ.ㅜ

무게오차가 당연히 존재하며 낚시줄, 바늘, 스토퍼 등등 때문에 당연히 정확하지는 않습니다.

게다가 물의 표면장력이니 낚시터 물의 비중이니 뭐니 해서 복잡한 것들이 많습니다. 이런거 무시합니다.

그리고 찌의 부력보다 무거우면 무거웠지 절대로 더 가볍지 않기 때문에 유동봉돌 반드시 깍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낚시터 가서 찌맞춤 하는 방법입니다. (현장찌맞춤)

1. 수심 대충 봅니다. (찌톱 두어마디 나오면 수심 봤다 칩니다)

2. 일단 물에 뜨게 만들어야 하니 찌를 봉돌쪽으로 많이 내립니다.

3. 이렇게 해서 던지면 당연히 찌가 물속으로 잠기게 됩니다.

4. 케미 끄트머리가 보일때까지 니퍼로 유동봉돌 좀 많이 깍아줍니다. (뭉텅 2번 정도)

5. 케미 끄트머리 보이면 조금씩 유동봉돌 깍아 방울케미 1/3 정도가 노출되면 끝.

(이 때 찌가 잠기는 속도도 감안합니다. 가급적이면 천천히 잠겨야 사선입수가 좀 덜 되는거 같더군요)

6. 떡밥 달기 전에 찌톱 한마디 반 정도로 수심 맞추고 낚시합니다.

(제가 앞치기가 매우 불안정해서 일정지역에 던지지를 못합니다.
그리고 사선입수도 잘하기 때문에 한마디 반 수심맞춤 합니다.
그래야 대충(나름 신중하게) 던져도 항상 캐미 또는 두마디 정도 물 밖으로 나오더군요)

최종 채비는 아래와 같습니다. (그림을 못 그려 말로 설명합니다. 죄송....)

원줄 (찌고무+찌, 스토퍼+유동봉돌+스토퍼) + 스위벨 + 바늘

원줄에 전부 다 달아 버리는 채비입니다. 찌 스토퍼는 사용 안합니다. (찾아보니 해결사 채비군요..)

유동봉돌과 스위벨 간격은 한뼘... 찌가 요동을 치고 헛챔질 많아지면 당연히 스위벨쪽으로 낮춰줍니다.

이상이 제가 사용하는 채비를 기준으로 설명드렸습니다.

참고로 하시라고 열심히 인터넷 뒤져 찾아낸 채비(부위? 부속?)별 무게 올려드립니다.

ㅡ 캐미(젤, 분말 구분없이) : 미니방울골드(0.18g), 방울(2.2g) -> 막대형 케미도 비스므리 할 듯 합니다.

ㅡ 해동 고리추 : 1호(1.50g), 2호(1.70g), 3호(2.80g), 4호(3.00g), 5호(4.20g), 6호(5.50g)

ㅡ 성동 분납스위벨 : 1호(0.35g), 2호(0.42g), 3호(0.52g), 4호(0.62g), 5호(0.70g), 6호(0.81g)

저부력찌를 사용하게 되면 고리추를 유동홀더로 바꾸시고 편납 감아 쓰는게 편하실 듯 합니다. 당연히 스위벨은 작은거로...

ㅡ 유동홀더 : 약 0.45g (일본산 KIZAKURA-키자쿠라 유동홀더 18mm 기준)

ㅡ 편납 무게 계산 방법 : 가로 x 세로 x 두께 x 비중 / 1000 = 18mm x 10mm x 0.2mm x 11.36 / 1000 = 0.40896g

1Cm 당 약 0.41g 정도 됩니다.

캐미+유동홀더+스위벨 무게 계산 하신 후 찌부력에 모자라는 만큼 길이 계산해서 달면 됩니다.

ㅡ 4푼 (1.60g) 찌를 사용할 경우 : 케미(0.18)+홀더(0.45)+스위벨1호(0.35)= 0.98g

0.62g 모자라므로 0.62/0.41=1.5Cm

ㅡ 참고로 편동의 비중은 8.92 입니다.

이상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 0

1등! 오로지붕어만 13-11-27 16:37 IP : e70697bd62ae73f
교본을 읽고 있는듯한 느낌이 드네요...
초보자가 읽으면 도움이 많이 될듯 합니다.
추천 0

2등! 오르라 13-11-27 21:52 IP : fa59072d0f4b8c6
너무길어 머리가복잡해져서 포기함.
추천 0

3등! 무개념 13-11-28 10:12 IP : b3100efecb52cea
초보가 저울중량 계산하면서 (물론 계산도 안되지만) 보긴 넘 어렵사옵니다.
쉬운것은 수조통에 물붓고 원봉돌 달랑 달아 아무찌나 덜렁달아 찌톱만 나오게
하면 되지 않나 싶습니다.
윗분의 숨은 노력 무시하는것은 절대 아니오니 양해 바랍니다.
추천 0

바쿠스 13-11-29 12:14 IP : 2db9417af71f1cc
네.. 무게달고 뭐 하기에는 좀 많이 다양하죠. 제가 말씀드리는건 채비 결정하면 관련된 무게는 인터넷 뒤져보면 나오니까 계산기만 두드려도 어느정도는 맞더라... 는 얘기였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