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편동

apark5522 IP : 68785e4f6be7f06 날짜 : 2022-02-06 15:03 조회 : 3077 본문+댓글추천 : 12

편동 15미리짜리 1센티면 그람수로 몆그람정도 될까요

꾸벅

추천 0

1등! S모그 22-02-07 12:31 IP : 0a54acf04549ce1
편동부피(㎤) X 단위중량(g/㎤)=무게 (g)
1.5(cm) X 두게(cm) X 1(cm) X 8.9(g/㎤) = 무게 (g)

편동 두게만 정확히 아시면 무게의 대략 계산이 되는데요.
아마도 접착제가 붙어 있어서 정확한 두게 측정이 힘들 겁니다.

편동두게 0.1mm일 때, 편동 15미리짜리 1센티
1.5*0.01*1*8.9= 0.1335(g) ----> 봉돌로 쓰는 경우 실제 수중무게는 0.1185(g)으로 작용

편동두게 0.15mm일 때, 편동 15미리짜리 1센티
1.5*0.015*1*8.9= 0.20025(g) ----> 봉돌로 쓰는 경우 실제 수중무게는 0.17775(g)으로 작용

편동두게 0.2mm일 때, 편동 15미리짜리 1센티
1.5*0.02*1*8.9= 0.267(g) ----> 봉돌로 쓰는 경우 실제 수중무게는 0.237(g)으로 작용

편동두게 0.3mm일 때, 편동 15미리짜리 1센티
1.5*0.03*1*8.9= 0.4005(g) ----> 봉돌로 쓰는 경우 실제 수중무게는 0.3555(g)으로 작용

# 접착제는 무시하고 계산된 겁니다.
추천 6

2등! apark5522 22-02-07 18:36 IP : 68785e4f6be7f06
ㄱㅅ합니다
추천 0

3등! 하늘내음 22-02-07 22:34 IP : b5c0c3946020c3f
시중 낚시점에서 판매하는 편동처럼 생긴제품은 편납에 코팅을해놓은 것들이 대부분인데 진짜편동은 뻣뻣하고 부드럽게 구부러지지가 않는데 착각하는분들이 많더라고요
추천 0

붕어잡는해적 22-02-08 07:35 IP : cfe738d8cb5edc0
S모그님 정체가 궁금합니다.
추천 3

봉돌8호 22-02-08 13:12 IP : 659fd8ff6348650
S모그님~~
실제 수중무게는 구리의 비중을 계산 한것인지요??
추천 0

S모그 22-02-08 14:59 IP : 0a54acf04549ce1
@봉돌8호님께
공기 중에 있던 구리가 물속에 들어가면
구리가 가지고 있는 부피 만큼의 물의 부력을 받는데요.
(수중 구리 단위 중량) = (공기 중 구리 단위 중량 - 물의 단위 중량) = 8.9(g/㎤) - 1(g/㎤) = 7.9 (g/㎤)가 되는데요.

# 비율 값 산출 -> (수중 구리 단위 중량)/(공기 중 구리 단위 중량) = 7.9 / 8.9 = 0.88764

# 비례식
(공기 중 구리 무게) : (수중 구리 무게) = (공기 중 구리 단위 중량) : (수중 구리 단위 중량)
-> (수중 구리 무게) = (공기 중 구리 무게)X(수중 구리 단위 중량)/(공기 중 구리 단위 중량)
-> 위에서 뽑아 논 비율을 대입 (수중 구리 무게) = (공기 중 구리 무게)X0.88764
-> 이렇게 뽑아서 나온 수치입니다.
추천 1

삼천육백사부 22-02-09 05:10 IP : 7e88e7c981e47d9
S모그님의 해박한 지식에
감탄사가 나옵니다
추천 0

S수심초 22-02-09 14:42 IP : b44d8acdbe9e732
S스모그님의 3분1이라도
따라갈수 없는

내 머리의 한계에 부딪쳐
조용해지는 내마음~~ㅠㅠ
덕분에 공부하고갑니다
추천 0

하늘내음 22-02-14 23:14 IP : 82f71c54de60c99
s모그님께서는 소숫점 아래 5째자리까지 나열하면서 지금 낚시를 하자는건지 물리학 강의를 하자는건지 참으로 머릿속이 복잡하네요

s모그님께서 간과한것이 있는데, 모그님의 그 복잡한 수식의 예는 수온이 4°C(물의 밀도가 가장 큼)이고 기압이 1기압(1,013.25mbar)일때 적용되는 예 일테고,

수온20°C에서는 물의 밀도가 0.16%줄어든다고하는데, 또 기압이 1기압보다 높거나 낮을때(고기압, 저기압과는 다름)는 어떻게 계산을 하시려는지
추천 0

S모그 22-02-15 08:50 IP : c3d8410d44d01d6
@하늘내음 님께
위에서 제가 풀어논 내용들은 낚시유저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보편적이고 가장 간단한 식으로 근사값을 유추하는 방식으로 계산한것이고, 낚시하면서 감안하시라고 그값을 나오는 데로 가감없이 써 놓은것 뿐입니다.(왜냐하면 소수점 1자리에서 자르면, 꼭 "올리신 식이랑 실제 계산값이 다른데요?" 하며 딴지를 거시는 분들도 있거든요.)

굳이 물속무게까지 계산한것은 분명 봉돌의 사용용도 인듯하여 공기중무게와 물속에 들어갔을때의 무게가 어느정도의 격차로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함이었습니다.

하늘내음님게서 말씀하신 온도에따른 값을 계산하고자 한다면, 그 온도에 상응하는 구리와 물의 데이터값을 가져다가 대입만 하면 되는 것이구요. 하지만 그 데이터 값을 구하는게 쉽나요?
구리도 재료 혼용에따라 기본데이터가 많이 다르죠. 질문자께서 알고 있는 편동이 정확히 어떤 구리인지도 모르죠. 그러니 그냥 사전등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가장 보편적인 값을 넣은것입니다. 물도 그렇구요.

만약 본글 자체가
알 수 없는 특정 합금구리의 내용으로 몇도시 일때의 값을 묻는 내용이었다면
위와같은 식의 댓글을 시간을 들여가면서 적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왜냐면 개념은 알 고 있을 지언정 정확히 대입할 수 있는 데이터 값을 모르기 때문에 정확한 데이터를 줄 수도 없거니와 답은 없고, 어쩌고 저쩌고 풍월만 읊어봐야 질문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 카더라에 그칠테니까요.

만약에 말입니다.
낯설은 누군가가 진지하게
그냥 평상시 누군가가 몸무게를 물어봤을 때
아무생각없이 답하던 몸무게 대신,

하늘 내음님의 몸무게가
체온이 4도시 일때 몸무게하고,
체온이 20도시일때의 몸무게하고,
체온이 36.5도시 일때의 몸무게를
각각 소숫점 5째 짜리로 정확히 답해달라고 갑작스럽게 물어온다면,
그답을 답하시기 전에 머리속에 무슨 생각이 먼저 들까요?
추천 2

선무도 22-07-26 08:27 IP : 322ac409b18397b
댓글로 잘배우고 갑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