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자연지 & 관리형저수지 찌맞춤 문의

아크로 IP : 99b6b391ce9b3a6 날짜 : 2021-06-16 10:17 조회 : 4513 본문+댓글추천 : 5

자연지 & 관리형저수지에서 주로 낚시를 하는데요.....

채비는 원줄 : 카본 5호 목줄 : 카본 2호 바늘 : 벵어돔7호 찌 : 이화요수 전자찌(대물3) 사용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찌맞춤을 수조통 수평맞춤(캐미가 수면과 일치)하여 출조 후 그대로 사용합니다. 

그런데 여러 지인분들이 찌맞춤 관련 의견이 다 제각각이시라....... 물론 정답은 없겠지만

저에 찌맞춤은 무거운 찌맞춤이라고 ...........(고기가 잘나오면 조용한데 ㅎㅎㅎ 꽝치는 날이면 ;;;;;;)

케미꽂이에 맞춰야 한다 ,1목에 맞춰야 한다 등등 다양하네요 ㅎㅎ

 

보통 어떤식으로 찌맞춤을 하시는지 그 이유 등등이 궁금하고 저에 찌맞춤이 정말 무거운 찌맞춤인지 바꾸야 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추천 0

1등! 열정의향기 21-06-16 12:03 IP : ae1cf84d234969a
지금하시는 채비와 찌맞춤은 자연지 대물낚시에 적합한 것 같습니다.
말씀하시는 양어장이 일반적으로 말하는 잡이터 및 손맛터라면 입질 보시기 힘들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일반적으로 양어장에서 조사님들이 사용하시는 채비에 대하여 말씀 드립니다.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1. 원줄 : 나일론줄 1호~2호줄(양어장 고수분들 일수록 가는 줄을 사용하시는 경향이 있는데, 저는 향붕어 때문에 1.2~1.5호 줄을 주로 사용합니다.)
2. 목줄 : PE 합사의 경우는 대략 0.4~0.6호, 나일론 목줄은 원줄보다 1~2단계 낮은 줄
3. 바늘 : 붕어 바늘 5호, 6호(제조사마다 크기가 달라서 대략적인 크기만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4. 찌 : 어떤 찌를 사용하셔도 크게 문제는 없으나, 형태는 반구형 또는 물방울형을 주로 사용
5. 찌의 푼수 : 이건 뭐라고 말씀드리기 어려우나, 동절기 및 하우스 등을 제외하고는 대략 8푼 전후로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10~11푼 전후를 선호하시는 조사님들도 계십니다. 자신에 취향과 상황에 맞는 찌 부력 찾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찌맞춤은 먼저, 케미꽂이 딸칵 맞춤을 하시고, 소자 또는 중자 쇠링 2개정도를 먼저 끼워서 낚시하실 때는 2마디 정도를 내어 놓고 낚시를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부가적으로 양어장 낚시는 떡밥 낚시를 주로 하시는데, 그 양어장에 잘 먹는 떡밥을 준비하셔야 되고, 물의 양 조절이 중요합니다.
추천 1

2등! 한마리만물어봐라 21-06-16 13:50 IP : 7db0d8701bfec47
원줄이 카본 5호면....
찌맞춤에 의미가 있을까 의구심을 가져봅니다.
수평찌맟춤만 해도 무방할듯 합니다.
일명 2박3일 찌맞춤, 딸깍 찌맞춤 등.....
이런 예민한 찌맞춤은 나일론 원줄에 통용되는 이야기이지 카본은 예외라고 봅니다.
수조통에서 찌맞춤을 한다고 가정했을때....
케미고무 바로 아래에 예민하게 맞춰서 필드에 나가보면.....
초릿대와 찌사이의 카본줄의 비중으로 인해 케미고무는 더 가라앉을겁니다.
이를 가볍게 맞춘다고 봉돌을 깍다보면....
약한 대류에도 찌가 흐를 수 있습니다.
카본사를 원줄로 사용하시는한 현재 사용하시는 찌맞춤이 베스트라고 생각합니다.
추천 1

3등! 아크로 21-06-16 14:41 IP : 99b6b391ce9b3a6
답변 감사드립니다 ^^
추천 0

객주 21-06-16 15:32 IP : b5d681bbdb0c1ca
수조통에서 수평 맞추고 현장 가서 낚시 하면 무거운 찌 맞춤이 됩니다
추천 0

강남제비33829 21-06-16 18:25 IP : 18c109d11b307dc
카본줄 찌맞춤
케미 원줄 없이 수조 에서 찌몸통 찌톱 만나는 부분 까지 찌맞춤 하시고 케미 원줄 달면 적당히 무거운 찌맞춤 됩니다
생미끼 낚시에는 링 0.2g 정도 더채워 줍니다
추천 0

산사춘5854 21-06-17 01:39 IP : b0aed6434df8a60
원줄 카본5호면, 수조에서 케미 수평맞춤하신거 문제 없다고 봅니다~(노지기준)
보다 가벼운 맞춤 하시려면, 원줄부터 교체를 고려하시는게 맞다고 봅니다
추천 0

빈들에서서 21-06-17 09:13 IP : c3a2d2bf4bfd79b
관리형을 주로 다니는 저의 찌맞춤은?^^
가. 수조에서, 전자케미만 꽂은 상태(무바늘, 무원줄)로 찌몸통과 찌톱의 1/ 4 정도 지점에 맞춥니다.
나. 현장에서, 수조 맞춤 그대로 낚시대에 장착하고 던져보면 케미만 적당히 보이더군요,
다. 전 한테는 적당한 찌맞춤이어서 그상태에서 바늘 달고 사용합니다.
라. 가지고 있던 몇가지 찌를 맞춤한 결과이며, 원줄은 카본 2.5호와 3호를 사용합니다.
마. 지난번 노지에서도 찌를 참 잘 올려 주더군요~^^
추천 0

아크로 21-06-17 09:27 IP : 99b6b391ce9b3a6
댓글에 감사드립니다.

카본 5호줄이 고민이네요 ^^
추천 1

DkDog 21-06-17 20:28 IP : c6cc82483cfdc03
카본5호줄 수초대물낚시 or 잉어향어대물낚시 에 많이 사용되며 . 찌맞춤은 무겁게 많이들 사용하시지요 예민한 맞춤자체가 불가능하기때문에.

하지만 확실히 걸었을때 안전합니다 이대로 유지하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유료터는 낚시대 2~3대만 따로 구입해서 따로 채비하면서 놀으시면 되기때문에 걱정할필요는 없어보입니다.
추천 0

모나미 21-06-18 15:15 IP : 814b47612d87659
카본5호사용중입니다. 원줄무게 포함하지 않는 찌맞춤으로 케미고무 밑단에 맞춥니다.
찌맞춤은 항상 동일하게 하고 무거운 5호 원줄로 봉돌이 바닥에 안착되는 안정감을 주는식입니다.
매번 채비교체하랴 찌맞춤새로 하랴 여러 수고를 덜 수 있고 찌맞춤의 굴레에서 자유로워 질 수 있습니다.
(항상 안정적으로 바닥을 찍고 찌가 안정적으로 서있습니다.)
다만,,,, 당연히 예민한 입질에는 단점인건 확실합니다...
단점이 확실하지만 카본5호를 사용하는 이유는, 채비의 든든함과 주변환경에 영향을 덜 받는다는장점이 크기 때문입니다.
나머지, 잡아 내는행위는 약간 둔한 채비인 만큼 찌의 움직임을 보고 먹었다고 생각이 들면 언제든 바로 챔질을 합니다.
경험상 카본 5호 줄 이 얇고 비중이 가벼운 원줄보다 상대적으로 찌 상승폭이 적다는걸 알기 때문입니다.
추천 2

두만지 21-06-18 23:15 IP : 6db7d57fd583b71
5호보다 4호가 낮지 않을까 합니다.
5호는 빡센 수초대에 좋지만 매일 그런곳만
가는것도 아니고 찌맞춤은 그대로 하셔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