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지렁이 미끼쓸때 헛챔질을 많이 하게 되네요

소주한병 IP : a08eb616cc6f892 날짜 : 2009-11-23 16:38 조회 : 6563 본문+댓글추천 : 0

수온이 떨어지면 지렁이가 잘 먹힌다는 말에 최근 지렁이를 많이 쓰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글루텐과 비교해서 헛챔질이 많이 나오네요. 아마 지렁이 끝만 물고 올려서 그런듯 한데

제대로 낚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고수님들 도와주세요~
추천 0

1등! 더더더더더더 09-11-23 17:15 IP : 16a1fff2214ca05
바늘을 몇호 쓰시는지 모르겠지만 한호수 낮게 쓰길 권장합니다

마리씩 꾸ㅐ 시지 마시고 굵고 냄새만 풍기다는 생각으로 짧게 끓어서 스세요
추천 0

2등! 다현아빠 09-11-23 18:20 IP : 706e47ad1da2b38
조금더 기다려 보심이?????
챔질 타이밍을 늦게 잡아 보세요.
추천 0

3등! 큐피트친구 09-11-23 18:29 IP : a4c5ef1ac416715
날씨가 추워지면서 붕어 활성도가 떨어집니다.
추운날씨 대처법으로 일단 목줄을 조금 짤게 묶어보는 방법도 좋은듯합니다.
또 바늘 호수를 적게써가면서 붕어가 먹기 좋게 하는 방법도 있구요.
여러마리 꿰는거보다 한마리나 조금 짤라서 쓰는 방법이 좋쿠요.
또 짧은 찌 움직임은 챔질을 하지 마시고 마디이상 올라올때 챔을 하면서.
챔질 시기를 조절해 보세요.
안출하시고 행복하세요
추천 1

연질대사랑 09-11-23 21:48 IP : 62370f30b3cb248
큰놈이 물땐 떡밥이나 새우처럼 지긋이 올라옴니다 챚질 시기는 지긋이 올라오다 멈츨때 또는 멈추고 기우뚱 할때 하시고요

작은놈은 오르락 내리락 반복 하다 약간 사선으로 지긋이올라올때 챔질하면 됨니다

하지만 고기 마다 조금씩 차이있으니 느긋 하게 챔질하세요

잔챙이 붙으면 피곤한 낚시입니다..
추천 0

도훈짱 09-11-23 23:25 IP : 36fe75c8d25b688
지롱이에 환상적인 찌올림을 보여준다는 돌찌..

헛챔질 없다는 얘기가 있더군요.

써본적은 없지만..^^

낚시로 행복만 낚으시길 기원합니다.
추천 0

에바 09-11-23 23:54 IP : 9f1a6835ae78caf
돌찌 써보고있습니다.

8치,9치 잡으신 제 주변분에의하면...

다른찌들은 금새 올리니 잠시 한눈팔아도 챔질타이밍 놓치는 반면...

돌찌는 천천히 쭈욱 멋지게 올려줬다고 합니다. 고로 충분히 찌맛보고 챔질타이밍 가져갔다는거죠.

제가 해보고 말씀드리고싶지만 요즘 잘 안낚입니다.ㅠ

다만.. 돌찌무게가 좀 나가다보니 연질대 중연질대는 저부력 돌찌 쓰셔야 부담이 줄어듭니다.

중경질대면 괜찮을거같아요^^

절대 광고아닙니다. 소비자입장에서 솔직하게 말씀드린거에요 ㅋㅋ
추천 0

봉삼이 09-11-24 01:13 IP : 849aab11ff46030
챔질 늦다는데 웬 돌찌 타령이십니까???
근본적인 원리를 설명해주심이 좋을듯한데요...
지금의 저수온기와 상황에 맞는 기본적인 원리적인 설명이 도움이 될까 하는데요....
추천 0

대구동생™ 09-11-24 08:20 IP : b86df003e8d9965
안녕하세요

저수온기일지라도 지렁이 미끼는 유독 헛챔질이 될때가 있었습니다.

분명 입질이 들어오면 월척이상급인데 말이죠

예신을 엄청 오래 주는 녀석들이 있습니다.

지렁이 미끼의 챔질타이밍은 느긋하게 지켜보는 습관을 들이 필요가 있겐네요

바로 본신으로 이어지는 입질보다 예신을 분명주는데요 담배하나 필정도의 여유도 때와 장소에 따라서는 필요합니다.

본신은 천천히 아주 묵직하게 밀어 올릴때 입니다.
추천 0

에바 09-11-24 09:02 IP : 9f1a6835ae78caf
윗분 돌찌 이야기 하시는바람에 연달아 해버렸네용.;;;

지롱이 일년내 쓰는 조사로써 한말씀 더드리면..;;;

헛챔질 날땐 쓰리 포 연속으로 헛챔질 납니다.

이유는 저도 모르겠습니다 ㅋ

제 느낌으론 원리고 설명이고 딱히 없습니다. 똑같은상황 똑같은 채비라도 헛챔질날땐 줄곳 날때있더라구요.

정 마음이 안놓이신다면 바늘모양과 크기를 좀 바꿔보시라고 말씀드리고싶네요.
추천 0

爆風男子 09-11-24 09:29 IP : 9f1ac50a32cc20e
지렁이는 당연히 헛챔질이 많습니다^ 그래서 저는 지렁이 사용 안합니다^ 사용 안한지 35년이 넘었습니다^ 오직 떡밥으로만 승부를 하지요^
추천 0

공상두님 09-11-24 11:08 IP : 4ee0a6ea5ec1125
지렁이 .. 챔질타이밍 .. 잘배우고 갑니다
추천 0

경상북도연합붕어 09-11-24 11:36 IP : 0ab31ce0e50369b
지렁이 낚시는 자주하지 않지만

가끔 입질이 좋을 때는 지렁이 입질도

떡밥입질 못지 않게 매끄럽게 쭉우욱 올려 줍니다.

그리고 헛챔질도 별로 없구요....

보통 3월 중순에서 4월까지 아침낚시에서 이런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지렁이 3마리 정도를 끼웠을 경우

7치 이상만 되면 부드럽게 잘 올리구요....

6치 이하는 좀 에신이 길다가 결국 쭉 올려 줍니다.

지렁이 마리수를 적게 끼면 적게 낄수록 입질은 더 좋습니다.

그러나 보통 활성도가 좋은 시즌에는

지렁이를 달아서 던져 놓으면 찌가 거의 춤을 추죠....

끝까지 다 올렸다가 다시 잠겼다가....ㅠㅠ

잔챙이의 소행이겠죠.... 어느 정도 씨알이 되는 녀석들은

절대 그렇게 입질하지 않습니다.

지렁이 낚시 챔질 타이밍은 얼마나 찌가 천천히 부드럽게 올라오느냐에

달린 것 같습니다. 빨리 치솟아 찌를 눕힐 때도 헛챔질이 많잖아요....

개인적으로 지렁이 챔질 타이밍은 찌가 천천히 끝까지 올라올 때라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 별로 선호하지 않는 미끼이나

붕어낚시에 특효약이란 사실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안출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0

무월독야 09-11-24 12:38 IP : bd0ff4757aed5b1
지렁이미기에 찌놀림이 심한 것은 그러려니하고 넘어갈 수 밖에 없죠.
그렇지만 중치급 이상 붕어들은 챔질 충분히 할 만큼 찌올림의 여유가
있더라구요. 아니면 쭈욱 들어올린상태로 옆으로 끌고 간다던 지...
제 경험상 채질을 할 수 없을 정도의 찌놀림이라던가, 그럴 땐 그대로 놔
두십시오. 준척급이상에서는 지렁이 미기라도 찌올림이 확실히 틀린 걸 보실겁니다.
추천 0

늘한사람 09-11-24 13:40 IP : 6c26f74cc854945
떡밥이나 글루텐 보다는 헛챔질이 현저히 만죠 .........

지렁이나 떡밥은 붕어를 유혹 하지만 찌는 유혹된 붕어를 우리에게 표현 해주는것이죠
그러니 지렁이 늘어진것을 물고 입질을 할때 한번에 쭉~~~~~~~올라 오는것보다

잠시이지만(0.5~0.6초)우리에게는 엄청 짧을지 모르지만
먹이를 먹어야 하는 붕어에게는 엄청긴시간이죠 ......

그러니 단연 찌도 .......
단부력에 찌보다는 분부력 찌 같은 한번에 공격 보다는 제차 공격을 할수 있도록여...............

그러면 헛챔질이 현저히 줄겠죠..............
그냥 제 생각입니다

좋은결과 있느시길......
추천 0

期多臨 09-11-24 13:42 IP : 53c2b096b79431c
지렁이의 챔질 타이밍은 장소별,붕어의 크기별로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첫수의 찌놀림에 상당히 신중을 기하는 편입니다
그리고 제걸림이 되면 거의 그 첫수 찌놀림방식으로 챔질을 이어갑니다
최대한 기다리고,
가지고 노는 듯한 입질에는 긴장만하고 끌고들어가는 입질에는 챔질을 합니다
올리는 입질도 두마디이상 천천히 올릴때만 챔질하구요

지금 사용하시는 바늘 크기보다 한두치수 줄여보는 것도 도움이 될수있다라고 생각합니다
추천 0

무늬만낚시꾼 09-11-24 15:29 IP : 12799fd592c2132
지렁이를 미끼로 쓰면, 붕어는 한번에 훅하고 먹는 것이 아닙니다.

이리저리 쪼아보고 하닥 먹게 됩니다.

그러므로 쪼아보는 상태가 오르락내리락하는 찌 놀림에 챔질을 많이들 하지요.

반면 떡밥은 예신과 본신의 구분이 가능합니다.

지렁이 여유있게 챔질하세요.

아울러, 옛날방식의 찌맞춤으로 무겁게 부력을 맞추셔도 좋습니다.
추천 1

에바 09-11-24 17:17 IP : ab9a37ebc3de5e0
무늬만낚시꾼님 추천드림 ㅋ
추천 0

독닙꾼 09-11-24 18:41 IP : 489a08617840968
지렁이 미끼의 경우
붕어의 활성도나 습성에 따라 챔질이 어려운 건 사실입니다.


저는 일년중 98% 이상을 지렁이를 사용합니다.
저 위에 분들이 돌찌가 지렁이에 찌올림이 좋다고 하셨는데
돌찌를 만들고 돌찌만 쓰는 꾼의 입장에서 보면
꼭 돌찌라서만이 아니라


지렁이 미끼의 특성상 물 속에 늘어짐이 심하고
잔챙이가 많이 붙으며
늘어진 지렁이를 물고 튀는 먹튀잡어들의 성화를 극복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입질형태는 대개 세가지입니다.


1.하나는 정말 멋지고 우아하며 느리게 올라오는 정석의 경우고
2.둘째로는 살짝 올렸다가 차고 들어가는 입질,
3.마지막으로 둥둥 띄우면서 질질 끌고가는 경우입니다.


지렁이는 보통 이 세가지 경우가 거의 다 나타납니다.


1.번의 경우야 당연히 고마운 입질이고
2.번의 경우는 더욱 고마운 현상이지요. 거의 자빵이니까.. 씨알도 준수하시고


마지막 3번의 경우가 문제입니다.
이 경우는 아직 입안에 바늘을 다 넣지 않아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한참을 더 두셔야 합니다.


둥둥 떠도 잠시 멈춤...의 정지점...이 없으면 챔질시 멜롱~을 당하기 쉽습니다.
반드시 정점을 찾아 챔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지렁이 낚시에서
찌는 가급적 너무 순부력이 높은 찌보다는 자중대비 부력이 낮은 찌가 유리합니다.
찌의 이끌림에 둔한 찌를 말합니다.


더불어 초기부력작용이 느린 찌가 유리하다 할 수 있습니다.
부력이 깨지면 바로 상승으로 이어지는 찌보다는
관성이 깨지고 나서 부력을 모아 올라오는 묵직한 찌가
지렁이 낚시에는 더 제격입니다.


예신 상태에서 봉돌이 들린다고 바로 붕어입에 지렁이가 들어간 것은 아니므로
그때 바로 찌가 솟으면 지렁이 쫒던 붕어 하늘만 쳐다보게 됩니다.


그 상승 속도가 느리면 재공격을 하게 되는데
바로 분부력성 특성을 가진 찌가 여기에 재공격받을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섭이하려 했던 지렁이가 바로 상승 안하고
눈앞에 어른 거리면 공격을 하게 되지요.


찌맞춤은
다소 무거운 게 좋다고 하겠습니다.
가벼우면 위의 급부력발생 현상으로 멜롱...이 잦아집니다.
조금 무거워서 충분히 먹어도 봉돌 상승이나 이끌림이 적은 게 유리하겠지요.


목줄 또한 요즘 계절은 조금 긴 게 좋습니다.
쫄면 먹듯이 꾸역꾸역 지렁이를 드실 시간을 주려면
목줄이 너무 짧으면 바로 봉돌과 찌에 그 신호가 전달되므로
잔챙이의 경우는 바로 뱉거나 끊어 먹어서
찌가 용솟음 총알입질을 보입니다.


큰 놈도 봉돌의 무게감이 전달되거나
바로 미끼가 상승하는 느낌을 받으면 바늘을 삼키기 전에
뱉어버릴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
추천 1

항상좋은날 09-11-24 18:54 IP : 925f88bea3dded0
날씨가 추워서 ..

계절이 계절이니 만큼

봄 시즌 수초속에 지롱이 7-8마리 꿰고 올리면 딱 서있읍니다

몸통까지 ... 켁 하면 와장창 이지요

지금시기에 수온이 떨어저 잔챙이 성화로 헛챔질이 많지요 ...
추천 0

백이숙제 09-11-25 08:47 IP : 24d97d742c7c1e3
붕순님 행동이 어떤지가 제일 문제겠지요

하지만 헛쳄질 줄이 시려면

바늘호수 줄이시고 지렁이를 바늘에 최대한

묶어 두어 이탈방지(지렁이 관통,둘둘말이 등.....)하시고

윗분들 말씀처럼 여유를 가지고 확실한 입질형태

보일때까지 챔질타이밍 늦추는 것이 최선이라 생각합니다.

붕순님과 데이트 많이 하시길....
추천 0

삼만팔만 09-11-26 23:32 IP : 3a153f26b693aeb
지렁이.....요즘 재미보고 있음....

무조건 기다리세여 물고들어갑니다.
추천 0

조영아빠 09-11-27 22:35 IP : a30c1e7d0d7e7c8
정답을 말씀드리지요.

본래 지렁이 미끼때 챔질은 3매듭정도 올릴때 채도 충분하지만...
지금과 같이 저수온기나 붕애들의 습격이 많을땐, 헛챔질이 무지하게 일어납니다.
찌올림이 슬로우로 좋다하여 무조건 큰 씨알이 아닙니다.

저수지마다 찌올림이 다릅니다. 어떤곳은 물고 들어가는 입질.어떤곳은 살짝올렸다 들어가는 입질, 어떤곳은
숨막히듯 찌올림이 좋은 입질..

하지만.. 헛챔질이 많을땐 거의 붕애들의 습격이거나 참붕어들의 습격이 90%가 넘더라구요.
바늘을 아주 작은걸 달고 지렁이를 잘라서 사용한다거나 작은놈을 사용하십시요.

콩알떡밥용 바늘을 전 항상 준비해서 다닙니다. 이놈으로 월을 잡아본적도 무지 많구요.

빨리 채보아도 안되고 기다렸다 채도 안될땐 제가 말한대로 한번 해보세요. 붕애들의 농락일겁니다. ㅎㅎ
출조시 감기조심하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