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2분납 문의드려요.

송프로 IP : 2467b0106a7fa5a 날짜 : 2009-09-22 08:48 조회 : 5385 본문+댓글추천 : 0

2분납으로 채비를 만들려 합니다.
찌는 110cm
찌톱길이는 68cm 입니다.
약 7호이하 6.5g 의 부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분납 할경우 납 각각의 무게와 위치좀 알려주세요.
추천 0

1등! 월척으꿈 09-09-22 09:24 IP : 1fbfce1da2f1b21
분납은 ..채비방법이 많습니다...

하여 답이없다구요...

원줄에 분납채비,찌에 분납채비..기타 등등..

저의채비는 편납홀더를 이용하구요... 좁살봉돌채비에 조금 무겁게 찌맞춤합니다..

원줄도 모노 1~1.5호 사이씁니다!!

비율로 따지면..5:3:2 정도...

봉돌간격은 20Cm 내외로 합니다...

채비는 지극히 개인적이므로.. 다른채비는 다음분께 패스!!
추천 0

2등! 찰노 09-09-22 09:34 IP : 806b56f2ba85dd1
찌마춤시 찌톱의 부력만큼 좁쌀 봉돌 답니다.

본봉돌은 찌의 몸통만큼의 침력으로 하고.. 나머지 찌톰은 좁쌀봉돌의 크기로 찌마춤합니다. (채비 다달고 캐미 1/2)

수조통에서 마추고요 ... 현장에서 다시한번 마춤니다 .... (본봉돌 가감--- 쇠링사용)

고리봉돌 사용하구요....

봉돌간의 사이는 15~7 cm 사이로 사용합니다.

원줄은 카본2호 사용하므로 2단 입수 되므로... 2단 입수를 고려해서 수심 마추고요

안출하세요.. ^^
추천 0

3등! 저수지풍경 09-09-22 10:41 IP : ca95e8d7199b304
^^;

몇줄 썼다가 지우고.... 다시 올립니다.

일반적인 분할봉돌은 예민한 입질에 챔질타이밍을 잡을정도면 되지만.... 장찌경우 기본적으로 찌올림의 맛때문입니다.

결국 찌몸통 상단까지 찌톱을 다 올려 줘야 찌맛이 극대화되고... 그렇게되려면 그순간까지 붕어에게 이물감이 없어야하기에....

본봉돌에서 상부 찌톱의 침력에 해당하는 봉돌 무게가 분할봉돌 크기가 되야하고, 그 간격 차도 찌톱길이만큼은 되야하는데.....

장찌의 메카(?)라 생각되는 용인의 유로터에 가보니....... 위 댓글처럼 수심차에 따라.... 개개인에 성향에 따라... 변화되서

딱히~! 이거다 라고 결정내릴수 없더군요.

본봉돌 하부로 좁쌀봉돌을 달던 기준에서.... 수심이 받춰주는 상태까지 원줄에 유동봉돌을 써서 이분납 , 삼분납, 사분납.....


송프로님~! 가지고계신 찌~ 수심 3m정도에서 투척후 직립시 찌몸통이 보이고나서 찌톱이 침강하는지 알려주실수있나요 ?. ^^;

가지고있던 찌가 미터길이에 5호 봉돌이었는데..... 저부력에 찌를 세워주는 침력의 힘이 약해 사선입수는 아니지만.....

직립시 찌몸통이 수면 약 4~5cm 아래 머물다 내려가기에.... 보기가 좋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8호봉돌정도면 1미터20정도까지는 수면위에서 찌톱이 시원스레 직립이 되지않을까 ?!?!?! 생각입니다만.....

위~ 용인에서 사장님과 얘기해보니.... 10호 이상은 되야 한다셔셔.... ^^;
추천 0

송프로 09-09-22 13:01 IP : 2467b0106a7fa5a
네 찌다리 아래에 편남감아쓰면 투척후 바로 찌는 스고요 그다음에
침강을 하더라구요.
추천 0

저수지풍경 09-09-22 13:49 IP : ca95e8d7199b304
송프로님 댓글 고맙습니다. ^^

역시~... 7호부력도 다리에 편납을 감아야 원할한 직립이 된다니....

생각하고있던 1미터20 찌톱 분리형 찌에 8호정도 부력먹는 찌 구입은........ 좀더 고민해봐야겠습니다. ^^;
추천 0

송프로 09-09-22 14:13 IP : 2467b0106a7fa5a
찌다리에 고무오링-편납-고무오링 으로 찌톱과 몸통이 만나는 부분까지만
수조에서 정확히 맞추고 본봉돌과 롤링스위벨로 찌톱을 가라안히게 해야 할듯 보입니다.
추천 0

단골황조사 09-09-22 23:55 IP : 177e32c6c9b8d6a
분납의 위치만이 아니라 두 봉돌의 상대적 무게와도 상관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 편납홀더로 원줄에 유동봉돌처럼 하고 목줄 부분에 고리봉돌로 분봉 하고, 상단의 봉돌 위치를 상하로 움직여 가며 최선의 위치를 찾는 방법을 씁니다. 여러가지 종류의 찌로 동일한 시험을 해 보면 최적의 위치를 정하는건 사실상 어렵다는 결론에 도달 하시게 될겁니다. (붕어 입질의 행태가 날에따라 또 여러가지 변화에 따라 다르므로 언제나 최선인 채비는 존재하기 어렵지요...) 자기가 잘 가는 장소의 시간대에 맞는 최적의 위치에 놓고 낚시 하는게 결국 최선인것 같습니다.
추천 0

초록물고기™ 09-09-23 00:35 IP : 0d09418c569d68d
예전에 말씀드린 편납 홀더를 원줄에 사용한 채비법이 야간의 챔질시 엉켜서 불편하다는...

송프로님의 글을 봤는데요.. 그렇게 불편하던가여??? 암튼 간편 채비를 말씀드린다면...

☞110cm 나루에 청공쓰시죠? 것보단 120cm의 장호를 쓰심이 더 좋을듯 합니다.

☞먼저 채비법을 이해하신다는 기준으로 간단히 말씀드립니다.

㉠찌다리에 편납 감아서 찌몸통 상단(찌톱과 몸통 상단이 만나는 경계)에 수면 일치 시키고
※ 이때 원줄에 금추 小자 포함 입니다.

㉡도래 8호를 달아 노출된 찌톱을 수면으로 떨어뜨립니다.
※ ㉠을 했으면 도래 8호를 달면 찌톱이 수면으로 하강하여 캐미꽂이 부분이 수면 밖으로 노출될 것입니다.

㉢찌다리에 감아놓은 편납을 머리카락 정도의 두께로 조금씩 잘라내 찌톱 한마디가 수면 밖으로 노출될때까지
정밀 맞춤합니다.
※ 이후 채비를 완성하여 낚시시 30분정도 경과한 후에 다시 찌맞춤을 점검합니다.

㉣위의 ㉠~㉢까지가 완료되었다면 찌톱 두마디를 수면밖으로 내어놓고 낚시하시면 됩니다.


///위 ㉠의 ※ 내용에서 금추 小자는 꼭 원줄에 달아 사용하십시요. 활용은 찌올림이 빠르고 느림을 조절하는 역활을
하는 것이니 필히 사용하십시요. 추의 위치는 수심 3m 경우 맨 하단 도래 위 50cm에 두시고 찌올림이 빠르면
10cm씩 아래로(도래 방향) 내립니다. 반대로 찌올림이 느리면 10cm씩 위로 올립니다.


더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쪽지 주세여~~~
추천 0

송프로 09-09-23 16:59 IP : 2467b0106a7fa5a
도래 8호라는게 정확히 어떤 제품인가요?
도래도 종류가 많던데
스위벨도 있고
추천 0

초록물고기™ 09-09-23 21:55 IP : 0d09418c569d68d
Barrel swivel 맞습니다. 쪽지 보냈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