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자유게시판] 찌형태에따른어신의표현법에대해고수님들자문구합니다

하늘삼단찌 IP : 7ebb4ca69f2fcd6 날짜 : 2016-10-26 21:36 조회 : 7078 본문+댓글추천 : 0

채비법에따른찌모양
찌모양에따른어신표현궁금해요
가르침부탁합니다
추천 0

1등! 기일손 16-10-26 22:56 IP : 43e3ea35f6598f1
찌의 몸통의 모양이 다양한 것은 낚시의 미학이기도 하고 예비입질의 파악과 지속적인 상승력과 자연환경에 적응력에 따라서 용도에 맞게 사용합니다
낚시용품 중에 직접 재작가능한 것은 찌가 유일하니까요 ^^
1.도토리형
예민한 사전 입질 파악이 좀 용이하고
응력집중으로 인한 밑줄의 직진성으로 미세입질에 반응도가 빠르고
수평방향의 힘에 대항력이 강해서 유속이나 바람 등에 강하므로
용도는 마릿수 낚시나 향어전용이나 터센계곡형지
2.연필형
도토리형과 반대의 개념으로 보시면 됩니다
상승추진력이 강해서 지속적인 상승이 가능하지만,
결정적인 단점은 챔질타이밍이나 챔질포인트를 잡기가 좀 불편합니다
이유는 응력이 전체에 분산되어서 그렇습니다
3.다루마 등등
이런 형태는 1.2.의 중간 믹스형으로 생각하시면 되지싶습니다
4.발사목 등의 상승력이 강한 몸통은 상승속도를 줄이고자 몸통상단에 탭을 주어서 물저항을 키우거나 솔리드톱의 사용으로 억제하기도 합니다
5.몸통 하단에 탭을 두는 경우는
찌 밑으로의 줄을 팽팽하게 잡아서 직진성을 더하기 위함인데 예비입질을 좀 더 잘보기 위함입니다
채비와 찌운동의 관계는
목줄이 길면 부드럽게 길게 상승하지만,
단점은 정확한 챔질타이밍을 잡기가 어려워서
헛챔질의 빈도가 높아집니다
목줄이 짧으면 반대로
찌가 빠르게 운동해서 사람이 찌 보다도 늦어지기가 싶습니다
그 날 찌올림을 보고 챔질해서 목줄길이의 조정이 필요하고 반복된 낚시로 인한 채비에 따른 보편적인 목줄길이는 상용화 되어 있지만,
누가 몇센치로 하라면 해 보시고
본인에게 맞는 적당한 목줄의 길이를 찾아야 합니다
챔질이 빠른고 느린 것이 사람 따라서 다 다릅니다
또한,
분할봉돌은 이물감을 줄이고 부드러운 찌상승에 보탬이 되긴 하지만
단점은, 헛챔질의 빈도가 크지고
원봉돌에 비해서 후킹 시에 손맛이 덜합니다
위 여러가지를 종합해서
원하시는 찌와 채비를 만드시면 될 듯 합니다
추천 0

2등! 하늘삼단찌 16-10-27 02:35 IP : 7ebb4ca69f2fcd6
기일손님감사합니다
제경험으로는막대형은찌오름이너무편하게올라올라와서좀밋밋한느낌이들고도토리형은마지막오름이너무빨라서중후한점이없어조금그렇던데요
채비무게에따라달라지는건가요
다루마형과역다루마형에대해서도한말씀부탁드립니다
추천 0

3등! 진천나무 16-10-27 09:21 IP : 8602ec2c09a6b0b
기일손님의 명쾌한 댓글....
찌움직임은 기일손님의 찌형태에 따른 반응에 채비무게,채비형태, 목줄재질,목줄길이, 바늘홋수,바닥지형등에 영향이 조금씩 있습니다.
맞춰나가는 재미가 꽤 있습니다.
추천 0

S모그 16-10-27 11:50 IP : 764bd55b155898a
같은 부력(봉돌무게)일때
찌몸통 최대단면적이 클수록 상승순발력(민첩함)이 더뎌진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1. 옥내림찌 같은 상승방향으로 매우 슬림한 찌는 민첩하고 매끄럽게 상승하고
(중후한 입질을 보이는 좋은 고기의 입질은 중후하게 나오지만, 잔챙이 입질의 경우 여지없이 찌가 까불어댑니다. 입질표현 왜곡이 매우 적은편. 적확성이 요구되는 낚시에 적합)

2. 짜리몽땅한 구슬형 몸통을 가진 찌는 조금 상승방향으로 민첩성이 약간 둔해집니다.(잔챙이의 입질에도 까부는 느낌이 적어짐, 매사 느릿하고 중후한 움직임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추천 0

기일손 16-10-27 15:28 IP : 43e3ea35f6598f1
말씀하시는 다루마, 역다루마형은 아마도 물방울형으로 생각되네요
이는 도토리형의 약간 변형으로 찌밑에 탭을 줄여서 부드러운 입수가 목적으로 고수심에서 편리합니다
찌몸통을 반대로 돌리면
상부의 탭을 줄여서 찌의 상승을 빠르게 하는 목적인데 주로 오동목일 때 도토리형으로 재작합니다
찌, 원줄, 추, 바늘, 목줄길이 이 모든 것이
조합으로 찌올림이 표현되는데 믹스를 잘하셔서
찌가 빠르면 원줄이나 목줄 추의 미세조정으로
스타일에 맞는 찌속도와 높이를 최적화해야 하고
채비의 조화가 맞아야 오르가즘이 배가 됩니다
그리고 찌 하나가 만능일 수는 없습니다
어느 찌가 좋다는 단편적인 논리는 좀 그렇고
저가나 고가 찌의 차는 극미하고 수제찌와 기성찌의 차이 또한 그러합니다
결론적으로 채비의 조화가 가장 중요하고
일예로,
군계 오월을 예로 들면
찌톱에 오링이 달려있는데
오동목이라도 상승력을 더 억제하여 부드러운 올림을 위함인데 어떤 이는 이를 제거하기도 합니다
스타일에 따른 선택으로 보시면 되고요
빠른 찌가 있다면,
이와 같이 오링 추가로 속도 저하를 시킬수도 있습니다
기본원리만 이해하셔서
추구하는 찌의 모양과 채비의 수 많은 조합을 시도해 보는 것이 낚시의 또 다른 재미이기도 합니다
첨언으로
찌는 단순하게 추와 함꼐 던지기 용도이기는 하지만
낚시의 미학이기도 해서
원하는 올림에 원하는 높이에서의 챔질 후 후킹의 또 다른 오르가즘이 있기도 합니다
대물 내지는 마릿수와는 별개의 말씀을 드립니다^^
추천 0

아비가일 16-11-01 16:47 IP : 32d42cff49c7776
제가 아직 잘 몰라서
가일손님의 댓글에서 이해가 잘 안 되는부분이 있어서 이렇게 댓글을 답니다.

"상부의 탭을 줄여서 찌의 상승을 빠르게 하는 목적인데 주로 오동목일 때 도토리형으로 재작합니다 "

위에서 말씀하시는 탭이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설명 부탁 드려도 될까요.
추천 0

기일손 16-11-01 23:58 IP : 43e3ea35f6598f1
탭은 그냥 층이라 하면 쉽겠네요
편편한 각으로 생각하시면 될 듯 합니다
납닥한 면을 탭이라 하면 이 면을 깍아서 유선형으로 만들면 유체저항이 줄어들어서 올림속도가 빨라진다는 뜻입니다
복잡하게 표현해서 지송합니다 ^^
추천 0

하늘삼단찌 16-11-03 19:06 IP : 79618f08518cceb
기일손님
찌는수평점의균형이맞아야찌올림이좋다는데찌수평은어떻게맞춰야하는겁니까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