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채비에 따른 찌올림이 궁금합니다.

장수하늘소 IP : 2c4a66482684574 날짜 : 2008-05-02 11:49 조회 : 5542 본문+댓글추천 : 0

월척회원님들의 의견을 구해봅니다.

고리봉돌 4호 정도의 60센치 찌가 있습니다.

A는 좁쌀봉돌 채비로 케미가 보일정도로 찌맞춤해서 케미고무밑 찌톱 1마디가 나오게 해놓고 사용했습니다.

B는 일반 내림2봉채비(본봉돌)로 역시 케미가 보일정도로 찌맞춤해서 똑같이 케미고무밑 찌톱 1마디가 나오게 해놓고 사용했습니다.

목줄길이는 A는 바늘에서 좁쌀까지 5센치, B역시 바늘에서 봉돌까지 5센치로 똑같이 했고, 그외 모든채비가 같다고 가정했을때 붕어가 입질시 A와 B가 찌올림에서 차이가 있을까요?

제생각에는 어찌보면 차이가 있을것 같기도 하고 아님, 찌맞춤을 동일하게 했기때문에 A,B 모두 물밖으로 나온만큼의 찌톱의 길이만큼만 무게로 작용하기때문에 똑같을것 같기도 한데 도무지 아리송하네요.

흰님들은 어찌 생각하시는지 의견을 구해봅니다. 모두 좋은하루 되세요.
추천 0

1등! whoon07 08-05-02 19:17 IP : ceebef10eeeeee8
먼저 좁쌀 봉돌채비는 찌 맞춤시 좁쌀 바늘을 제외하고 찌톱이 모두 나온 상태로 합니다. 즉 몸통이 조금 나오도록 하는 것이 상승부력이 더 좋습니다. 그 다음 좁쌀 봉돌로 찌 톱을 캐미고무 아래나 톱 1마디 부분이 되도록 쫍쌀을 깍아가며 달아서 맞춥니다. 그 후 바늘을 달고 찌 맞춤 위치에 놓고 낚시를 하던가 아니면 조금더 위로 놓고 합니다. 찌 톱을 찌 맞춤 위치보다 약간씩 위로 올려 놓고 낚시 할 수록 찌는 안정적으로 올라 옵니다. 내림봉돌 역시 좁쌀 봉돌 채비 방식으로 찌 맞춤을 하면 거의 같습니다. 다만 내림 목줄로 바닥낚시처럼 하려면 목줄이 조금 긴것이 찌 올림이 더 좋습니다. 15센티 정도로 2~5센티 단차를 주고 하면 보다 많은 입질을 받습니다. 내림 목줄이 5센티 정도 되면 챔질시 신축성이 작아서 목줄이 터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물론 내림처럼 부드러운 챔질을 하면 조금은 보완이 되겠지요. 아무튼 일반 합사(바닥목줄)보다는 내림 목줄이 입질을 더 많이 하는데
그것은 부드럽고 이물감이 덜 하기 때문인듯 합니다.~~제 경험상 느낌을 올려 보았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추천 0

2등! 로치 08-05-03 01:48 IP : 6bc052047b88986
안녕하세요^^

먼저 A 채비: 요즘 좁쌀2봉 많이 사용하시지요?

저도 물른 사용하고 있지 만 조금 변형을 주고 사용합니다..

장수 하늘소 님의 채비 상태를 보면 찌가 많이 논다고 표현을 해야할까요?

찌올림 도 있겠지만 아마 찌내림 입질이 더많을 것입니다.

왜그런가 하면 좁쌀봉돌이 살짝 떠있기 때문이지요...

좁쌀채비를 군계일학 에서 소개하여 보통 좁쌀밑 바늘 목줄이 3CM 정도 됩니다.

찌맞춤시 캐미가 수면위로 나오게끔 맞추시고 한미다 찌목을 노출시킨다면 이론상으로 3cm 가 되지 않지요..

보통 2-3목은 내놔야 정상적으로 좁쌀이 바닥에 안착하게됩니다...

단점이 있지요..2-3목을 내놓게 되면 입질이 미약할때나..또는 밤낚시에서 캐미불빛이

물에 비친 빛과 거리가 멀어 완존 찌올림 입질이 아닌이상 챔질타이밍 맞추기 가힘들어집니다..

또한 내림입질이나 가벼운 좁쌀봉돌 이 바닥에있기에 미역한 어신이나 일명 고기가 줄탄다고하지요..

고기가 줄을 건디리거나..바늘 주변을 유형 할때의 물살 만 으로도 찌가 움직이게 되어

입질보기가 피곤해지곤 합니다... 단점이라면 단점이겠지요..

장점도있습니다.. 고기가 흡입시 무거운 봉돌 보다는 가법고 작은 좁쌀봉돌에 이물감을 덜느끼겠지요..

또한 흡입후 찌를 올리때..어신이 본봉돌을 한단계 거쳐 찌에 어신이 전달 됨으로 찌솟음이 빠르지 않고 천천히 올려줍니다.

본동볼은 물에떠있는 영점 상태라 목줄 부피 와 중량 만큼 은 찌를 천천히 올려주게됩니다..

제 설명이 좀어렵나요? ㅎㅎ 저같은 경우 는 좁쌀채비를 좀 변형해 사용합니다.

궁금하시면 로치 채비법 글올린것 보시면 되구요...

다음 B채비의경우: 제가보기에는 그채비는 내림채비가 아니라 전통바닥 띠울채비로 보입니다..

본봉돌에 목줄 5cm 는 바닥채비라고 봐야지요...

내림채비 는 유동홀더 채비에 모노 줄로 목줄이 최소 15cm 이상은 되야합니다..

단차 바늘 채비 여야 하구요.. 제가 잘못 파악 한건지 는 모르겠지만요..

A와B 채비가 다른점은 결국 커게보면 A는 바닥채비고 B는 띠울채비라는겁니다..

B 와 같이 봉돌은 떠있고 바늘만 바닥에 누운상태가 아닌 서있는 상태라면

A와 마찬가지로 B역시 예민한 채비라 볼수있습니다..

다만, 찌올림시 A채비보다는 첫째, 고기가 흡입후 바늘을 들어올릴때 찌올림 사각이 커다는점이고,

들째, A 는 찌의부력 중량 을나누는 분활 채비법 이라 찌올림 좀더 원할 하다는 것이겠죠..

A는 좁쌀봉돌만 들어야 하지만 B는 본봉돌 전체 무게를 들어야 하니 고기도 이물감을 많이 느껴

입질시 찌 올림이 시원치 않을 수도있고.. 다른반응 을 보일 때도 많지요..

미끼 상태도 A의경우 는 미끼가 바늘에서 다풀려도 좁쌀봉돌이 바닥을 지탱하기에..

바늘 위치가 움직이지 않아 집어제 위에 그데로 놓여있게 되어 시간이 지나도 입질을 받을 확률이 높지요..

B 의 경우는 전통바닥채비에서 찌올림이 미약할시 응급처치법 으로 일시 예민하게 사용할수는있지만

바람이나 파도 에 의해서든 고기의 유형에 의해 서든 바늘이 집어제 위치에서 이탈하는 상황

이 일어 나기 쉽다는 점입니다..최대단점이지요..

주섬주섬 순서없이 적어봤는데 제결론은 둘다 많이들 사용하는 현존하는 검증 된 좋은 채비법은 맞습니다.

저같은 경우 겨울에는 저의채비법 동절기 단차채비를 합니다.

봄에는 입질이 미약해서 업그레이드된 좁쌀2봉채비를 사용하고 하절기 성수기 때는 어떤채비던 잘먹히니까

걍 편한 바닥2봉 많이 사용합니다..^^*

장수하늘소 님.. 그냥 찌보기..챔질타이밍 보기 편한 채비로 사용하세요..

안출하시구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