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찌가이상해요

나경정빈사랑 IP : c58c63863d5c6fa 날짜 : 2008-04-19 14:40 조회 : 7884 본문+댓글추천 : 0

선배조사님들 답좀주세요

노지에서 바닦낚시를 하는데 떡밥달아서 던지질때는 괜찮은데 조금시간이 지나면
찌가 슬금슬금 오라옵니다 왜이런현상이 일어나나요
찌마춤이 잘못된건가요?
속시원히 답좀주세요
추천 0

1등! 자연자연 08-04-19 15:16 IP : c896fae5c12116e
기타 지식에서 오늘 같은 내용 답변드렸습니다.

몇 가지 원인을 말씀드리면...

첫째, 사선 입수입니다.

둘째, 급경사 지역입니다.

셋째, 잔챙이가 입질하여 봉돌을 이동시켰습니다.

여기서 제일 큰 원인이 사선 입수일 겁니다.

사선 입수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투척후, 낚시대를 가슴쪽으로 당겼다가

찌가 일어서면 낚시대를 내려 놓으시면 됩니다.

수심이 2m 이상 된다면 유동찌를 사용하시고 유동 간격을 50cm~70cm 정도

벌려 놓으면 자동으로 정상입수가 됩니다.

급경사지역에서 떡밥이 풀리면서 봉돌이 앞쪽으로 당겨지는 현상입니다.

사선입수를 예방하시면 대부분의 문제가 해결됩니다.
추천 3

2등! 똥볼 08-04-19 15:20 IP : 75b3f8d2ee19b8a
자연자연님께 1표요
추천 1

3등! 나경정빈사랑 08-04-19 15:35 IP : c58c63863d5c6fa
자연자연님 감사합니다
그렇군요 사선입수가 문제였군요
답변감사드립니다
추천 1

자바바쓰 08-04-19 17:43 IP : 88d3da30e8e8c69
또 한가지 원인은
찌 맞춤시 가벼운 맞춤일 경우에
주간케미나 케미 꽂이를 충분히 수면 밖으로 내어 놓지 않을 경우
봉돌이 뜨게되고
떡밥 무게로 땅에 닿아 있다가
떡밥이 풀어지면 좀 더 떠오르는 현상 일 듯 합니다.
추천 2

4자추적 08-04-19 19:45 IP : 6df3dd30a0bc709
자바바쓰님 의견에 한표,

현장 찌맞춤시 너무 가볍지 않었나 추측해 봅니다.ㅡ위와 같은 현상은 중층 찌맞춤시 마이너스 찌맞춤과 동일한 현상으로
봉돌이 바닥에 안착이 됐다면 일어나기 어려운현상으로 특히 고부력찌 보다는 저부력찌에서 떡밥 무게를 상쇄 시키지 못할때
일어나는 현상 같군요.(중층낚시 처럼 봉돌이 수중에 떠있을경우 원줄은 거의수직입수인 상태임)

현장찌맞춤은 무거운 맞춤이 현장의 변수에 대응 할수있고 채비의 안정성과 입질시 중후한 찌올림을 볼수있습니다.
또한 찌의 길이,부력,재질,형태등도 낚시장르에따라 잘선택해야 됩니다.

나경정빈님께서 찌맞춤과 채비에 대해 보다 상세히 알려주셔야 원인을 알수있겠습니다.
저의 짧은 소견으로는 1차적으로 찌맞춤이 문제이며, 사선입수나 급경사지의 문제는 위에 자연자연님이 상세히 설명하셧구요.

이상 허접한 의견이었습니다.
항상 즐낚하시길................
추천 0

붕어n 08-04-20 01:00 IP : 68d32259ee4854e
가벼운 찌맞춤 같군요.
떡밥 무게로 잠시 안정되어 있다가 잠시후에 찌가 슬금슬금 위로 올라 온다는 것은
봉돌이 바닥에 안착 되지 않는 가벼운 맞춤입니다.(떡밥이 풀리면서 가벼워지는 현상)
제대로 된 찌맞춤이라면 경사 진곳이나 사선입수와는 상관이 없읍니다.
경사가 진곳이라면 찌가 도리어 내려가야 정상이고,
사선입수라 하더라도 봉돌이 바닥에 안착이 된 찌 맞춤이라면
인위적으로 대를 앞으로 당기지 않는 이상은 찌가 올라오지 않읍니다.
추천 0

안양붕어 08-04-20 16:04 IP : 2755fced769c54d
슬금슬금 올라온다면 가벼운찌맞춤으루보이내요

사선입수나 급경사지역이거나 잔챙이라면 슬금슬금이 아니라

분명한 입질의 형태루 찌높이의 변화보입니다
추천 0

게으른지렁이 08-04-20 18:07 IP : 54f32d612770e9d
제 경우는 초반 떡밥을 상당히크게 넣어 던지는데요.. 그럴경우 찌맞춤이 조금만 가벼워도 줄이 팽팽한 상태로 입수가 됩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 떡밥이 풀리면 찌가 조금 올라오지요.(요게 사선입수겠죠?) 그래도 전 무시 ㅋㅋ , 입질하고는 사뭇 다르니까요.
추천 0

자연자연 08-04-20 18:33 IP : c896fae5c12116e
게으른지렁이님 말씀처럼 투척 후, 줄이 팽팽한 상태(사선)에 있다가
떡밥이 풀리는 속도에 따라 앞쪽으로 당겨오면서 찌는 슬슬 올라옵니다.

왜냐면 찌에서 초릿대 까지의 낚시줄의 무게가 눌려 주기 때문에
찌가 앞 쪽으로 다가 오면서 올라 오는 겁니다.

물론 찌 맞춤이 너무 가벼울 경우에도 그런 현상이 나타 나기도합니다.
추천 0

풍류조사 08-04-21 03:06 IP : ad0236956b2c0c2
사선입수라면 말 그대로 찌가 똑바로 (직립) 들어가는게 아니라 옆으로 비스듬히 들어가는 걸 말하는게 아닐까요??

저부력찌에다 케미를 꼿으면 케미의 무게 때문에 옆으로,,,,,

나경정빈사랑님의 찌가 슬금 슬금 올라오는것은 마이너스 찌맞춤일때 흔히 볼수있는 현상입니다,,,또는 아주 드문일이지만

새우(집게발 달린) or 우렁이가 입질을 해도 같은 현상이 일어납니다,,,

참고하십시요^^*
추천 0

자연자연 08-04-21 06:50 IP : c896fae5c12116e
풍류조사님 사선입수란 찌가 직립하지 않고 비스듬히 들어가는 것이 아니랍니다.

봉돌이 바닥에 안착된 후, 찌가 서있는 위치와 봉돌이 안착된 위치가 크게 차이가 나서

옆에서 보면 사선이 되는 형태를 말하는 것입니다.

찌가 직립하지 않고 비스듬히 들어가는 것은 찌의 무게중심이 맞지 않아서 기울려 들어가는 것입니다.

이것은 찌의 문제이지 사선입수와는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물론 새우같은 생미끼를 사용 시 그런 현상이 일어날 수도 있습니다.

안출하시고 498하세요.^^*
추천 0

더존 08-04-21 08:18 IP : 23521660792f8a9
자연님의 말씀이 맞네요~
추천 0

풍류조사 08-04-21 08:29 IP : ad0236956b2c0c2
허허,,,,
추천 0

나경정빈사랑 08-04-21 09:27 IP : c58c63863d5c6fa
답변주신 선배조사님들께 감사감사드립니다
제가 찌마춤할때에는 낮캐미에 봉돌만 달아서 수면과 캐미끝이 일치하게 하는데
그것도 가벼운 찌마춤인가요 ? 궁금합니다
추천 0

자연자연 08-04-21 10:01 IP : c896fae5c12116e
낮 캐미에 봉돌만 달아서 수면과 캐미끝이 일치한 찌 맞춤은
현장 찌 맞춤이라면 약간 무거운 안정된 찌 맞춤이고,
수조에서의 찌 맞춤이라면 무거운 찌 맞춤에 속합니다.

일반 노지낚시, 6~7호 바늘, 카본2호원줄, 2m전후수심 기준으로 말씀드린다면
수조에서 찌 맞춤 시 낮 케미완전 노출하시면 적당합니다.
가벼운 찌 맞춤 같지만 현장에서는 낚시줄 무게가 있기 때문에 가볍지않아
봉돌이 바닥에 안착합니다.

그리고 반드시 현장에서는 케미고무 맨아래 찌톱 5mm정도 수면에 노출하고 낚시해야합니다.(완전노출)
추천 2

똥차 08-04-21 10:57 IP : 2d4a2d2dfe7a561
첫번째로는 찌맞춤이 안맞아서 그렇고

조금 무겁게 좁살봉돌 사용하시면 되구요

두번째로 자연님의 말씀에 공감하구요

세번째로는 댐이나 저수지 요즘 물을 많이빼서 찌가 조금씩 조금씩 상승합니다

즐낚하시고요 대물많이 하세요
추천 0

4자추적 08-04-21 12:11 IP : 3d9edf78c9bc9db
나경정빈사랑님 안녕하세요.

먼저 님께서 찌맞춤 하신곳이 노지 현장인지, 아님 수조에서 찌를 맞추신것인지 궁금하고요.

또한 원줄은 카본사인지 모노사의 몇호줄인지? 봉돌 몇호 정도의 찌인지, 케미는 방울케미인지,일짜 몇mm인지, 또한 현장조건은
수심이 얼마정도이며 수온과 탁도는 정확하지는 않겟지만 나름 판단할때 어떠했는지, 채비는 유동채비인지, 목줄길이는 몇cm
정도 엿는지, 또한 바늘은 몇호에 쌍봉 짝밥이었는지,외봉채비 였는지,찌의형태는 막대형인지 고추형인지 원형인지,기타 미끼를
어떤걸 사용 하셨는지 등등 ..............보다 많은 자료를 주셔야 원인 분석에 더 좋고, 고수분들의 경험에 우러난 올바른 판단이나
의견을 얻을수 잇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낮케미에 봉돌만 달아서 수면과 케미상단끝에 일치하면 수조에서의 맞춤이라면 무거운 마춤이며 통상 정통찌맞춤이라 합니다.ㅡ 바늘과 원줄이 제외된 상태,

그러나 이맞춤에서도 현장조건에 따라 더욱 무거운 맞춤이되거나 가벼운 맞춤으로 변할수 있어서 많은 조사님들이 현장찌맞춤을다시 하시는 것입니다.ㅡ현장에서 물에 손을 넣어보면 따듯하고,부유물의 농도가 높을 경우는 찌는 가벼운 맞춤으로 변하고,
물론 물이 맑고 차가울 경우는 반대의 현상,즉 더욱 무거운 찌맞춤이 되는 것 입니다.

잘 만들어진 찌ㅡ자체부력이 크고 균형이 잘맞으며,가늘면서도 테이퍼진 찌톱을 가진 예민한 찌들이 더욱 민감한 반응을보이겠죠
또한 원줄이 카본줄일 경우 더욱 무겁고 둔한채비가 되며,모노줄이라면 줄의 표면장력으로 초릿대에서 찌까지의 원줄이 뜨는 채비가 돨것 입니다.ㅡ그것에 대한 장단점은 이미 아실듯하고,,,,,,,,아님 다른 고수님께 명쾌한 설명을 부탁드리고,

그리고 현장 찌맞춤시 낮캐미에 봉돌만 달아서 수면과 케미의 상단끝에 마추었다면 어느 수심에서 맞추었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잇으나 가벼운 맞춤은 아닙니다.ㅡ단 낚시할때 케미꽂이아래까지 수면위로 노출을 하셔야 하며,보다 많이 노출이 될수록 봉돌은 자연스럽게 각도를 유지하며 바닥에 안착이 됩니다.

이상 간단히 찌맞춤의 변수중 한가지를 나름 정리해 보았는데,님께서 맞추신 찌맞춤 상태에서 케미를 빼면 어떻케 찌톱이 바뀌는지 궁금하고요? 만약 케미고무 상단이 수면과 일치 된다면 그찌맞춤은 노지에서 떡밥낚시에 제가 즐겨쓰는 찌맞춤중 하나이며, 찌톱이2마디 정도 노출된다면 케미와 바늘의 무게로 채비를 안정시키는 가벼운 찌맞춤중 하나입니다.

상기 내용은 어디까지 저 개인의 의견임을 다시한번 밝히며, 다시한번 님의 채비를 점검해 보시고 즐낚하길,,,,,,,,,,,,,,,,,
추천 1

cst20011 08-04-21 12:19 IP : 9d1776b80e47f96
누거 정리해서 올려주시면 감사하겟읍니다
정리가안되네 제머리는
추천 0

qnddo2 08-04-21 13:08 IP : 5be3051303b3c15
제가 볼때는 찌 맞춤이 아주 조금 가볍게 된거 같네요..
떡밥이 풀리면서 가벼운 만큼 떠 오르는걸로 보여 집니다.
이럴경우 목줄이 떠오르게 되어, 입질시 찌가 올라오기 보다는
빨리는 현상이 많이 생기고, 점잖은 입질보다는 빨리 반응하게 된다고 봅니다.
그리고 사선입수에 대해 말씀 하시는데..
쉽게 말씀드려 들어뽕을 제외한 앞치기나 스윙에선 찌부터 떡밥까지는
90도 각도로 정확하게 서지는 않습니다.
봉돌의 무게나 떡밥의 크기, 찌의 부력,
그리고 윗분 말씀처럼 유동의 간격등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어느정도는 다 사선으로 입수가 됩니다.
이경우를 오참붕님은 착지오차라고 상세히 설명해 놓은것을 봤습니다.
처음 밑밥을 줄땐 보통 떡밥을 크게 달아 던지는데
이럴경우 떡밥의 무게로 떡밥의 위치는 낚시대에서 더 멀리 떨어져 사선의 각도가 60도 정도라면
정상적인 떡밥으로 콩알을 달게되면
떡밥의 무게가 가벼워져 실제로 밑밥을 투척한 지점보다 앞쪽으로 위치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경우 사선의 각도는 75도 정도로 떡밥의 무게가 가벼운만큼
좀 더 수직에 가깝게 위치 한다는 거죠.
결국 밑밥따로 콩알 따로가 되는데,
밑밥과 콩알을 같은 위치에 떨어지게 하기 위해서
밑밥을 줄땐 대을 몸쪽으로 30센치정도 당겨놓고, 콩알을 달아 던지면서 대를
정상위치 하게되면 된다는 거죠.
낚시하시면서 찌맞춤을해서 밑밥을 크게 달아 던지면 찌톱이 잠기는 경우를 보셨을텐데..
무게감에 의해 더 멀리 떨어져 생기는 현상입니다.
따라서 사선입수에 의해 생기는 현상이라 하더라도
찌맞춤이 정상이라면 찌가 슬금슬금 올라오지는 않을거라 생각되고요
기본적으론 찌가 조금 가벼워서 생기는 현상으로 보여 집니다.
추천 0

나경정빈사랑 08-04-21 14:11 IP : c58c63863d5c6fa
다시한번 답변주신 선배조사님들께 감사하다는말씀드리고싶네요
어느정도 정리가 되는것 같습니다 모든선배조사님들 건강하시고 즐낚하세요
추천 0

노랑붕어 08-04-21 17:36 IP : 0adb9d5f3635ecf
이런꼬을 안보시려면 바늘달고 봉돌달고 ..캐미기우고..수면과 캐미를 일치시키도록 맞춘다음 캐미고무까지 물밖으로 내 놓고 낚시하시면 개선될것 같습니다.
(유동채비하에서...)
추천 0

탱구리 08-04-21 18:31 IP : fc09cd3983b9f09
몸통 소재와 형태에 따른 방향으로도 검토해보세요
(윗분들이 정확한 답을 주셨지만 혹시...)

진공찌...
일교차가 큰 시기에 특히 낮과 밤의 부력차이가 많이 납니다
(몸통 속이 비어있어서 이슬이 맺힌다든지 하면)

밤새 죽이는 입질처럼 서서히 올라오는 찌솟음 때문에
헛챔질 수십번했던 기억이 있네요
그 이후 진공찌는 절대 사용 안하고 있습니다. 참고만,,,,
추천 0

대박기 08-04-22 21:43 IP : c771eba471e3e95
님같은현상이 일어나려면 떡밥달고 수심체크하고 찌도맞추어합니다.질문의 요지가없네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