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대류가 심한 큰 저수지에서의 찌맞춤법을 알려주세요

쇠전말뚝 IP : 8c5cc1ff51ad3dc 날짜 : 2008-04-23 21:01 조회 : 7040 본문+댓글추천 : 0

주로 논산에 위치한 탑정저수지(논산지)를 자주 갑니다.

근데 수온이 마구 오르는 요즘부터 가을까지 찌들이 이리저리 몇차례정도 이사를 다닙니다.

유료터에서 사용하던 찌(전자찌,,호머시기)를 사용하는데 여간 귀찮은게 아니네요.

이럴때 극복가능한 방법을 알고싶어요.

알려주시면 무자게 감사드릴께요.
36_2_15.gif
추천 0

1등! 자연자연 08-04-23 22:31 IP : c896fae5c12116e
저는 논산 탑정저수지에 대한 정보가 없습니다.

님의 말씀을 토대로 몇 가지 말씀을 드립니다.

1) 유료터에서 사용하던 찌를 그대로 사용하신다면 필경 찌부력이 너무 가볍다는 생각이 드는군요.
찌 맞춤을 다시 하셔야 합니다.

2) 대류가 심하다면(얼마나 심한지는 모르겠지만) 막대형 찌보다는 오뚜기형(다루마형), 또는 유선형의
찌를 사용하시면 조류를 덜 탐니다.

3) 찌맞춤을 현장 찌맞춤을 하지 않으신다면 수조에서 봉돌만 달고 낮케미 1/2 지점에 수면을 맞추시길 권합니다.

한마디로 심한 대류나 흐르는 장소에서는 찌의 형태를 바꾸시고 무거운 찌맞춤 외에는 특별한 비법이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쇠전말뚝님, 즐낚하세요.
추천 0

2등! 자연자연 08-04-23 22:47 IP : c896fae5c12116e
참, 위 방법과 병행하여 낚시줄을 모노1.5호 미만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추가 합니다.
낚시줄이 너무 약해(?) 불안하시다면 카본1.5호를 사용하십시요.
추천 0

3등! 쇠전말뚝 08-04-23 23:32 IP : 8c5cc1ff51ad3dc
ㅎㅎ 자연자연님 답글 감사해요...

포인트 오천점넘으시는분이 답글주신게 처음이라서 어리둥덜합니다만,,,

다루마형이라,,,음 알겠습니다. 찌를 바꿔야겠군요.. 감사요
http://smileys.smileycentral.com/cat/36/36_2_15.gif>
추천 0

새벽123 08-04-24 00:57 IP : 41c88e99415eb26
쇠전말뚝님 안녕하세요
우선 지렁이 떡밥 낚시인지 대물 낚시인지 지렁이 떡바낚시인 경우 대류현상이 극심한곳에는 바늘 봉돌 찌달고(낮케미제외)
수조통에 아주천천히 내려가서 바늘목줄이 일자로 서있을정도로
이렇게 마추어야 극심한 대류현상에 견딜수가 있습니다.(찌 원줄은 무관)

자연자연님 같이 그렇게 맞추시면 약한 대류현상에는 통하지만 극심한 곳에는 통하질 않습니다.
허접한 글 이었습니다 건강하시고 안출하십시오
추천 0

저수지풍경 08-04-24 09:35 IP : d1f2e1a211c32cb
낚시점에서 바다낚시 목줄에 다는 4~7B 중 하나일텐데.... 크기가 정말 좁쌀만한 봉돌이 있습니다.

봉돌이 바닥에 닿아있다.... 대류가심해 조금씩 떠서 이동하거나....

약하지만 피래미등살에 수심깊은쪽으로 끌려들어가면..... 좁쌀봉돌을 목줄에 하나 답니다.

가장편하더군요.
추천 0

자연자연 08-04-24 21:08 IP : c896fae5c12116e
대류현상이 심한 곳이나 흐름이 있는 수로에서는
찌의 모양과 낚시줄의 굵기가 매우 중요하답니다.

왜냐면, 막대형찌는 무게중심이 여러 곳으로 분산되여 물의 저항을 많이 받기 때문입니다.
오뚜기 찌는 무게중심이(무력중심) 한곳으로 모여 있기 때문에 물의 저항에 강하답니다.

낚시줄의 굵기도 중요한 이유는 낚시줄이 굵을 수록 물의 저항을 많이 받아 흐르는 힘이 많아 집니다.
그래서 가는 줄 일수록 더 유리하지요.

이미 말씀드렸듯이 찌맞춤은 무거울수록 대류에 강하지만, 너무 무거운 찌 맞춤은 입질에 불리합니다.
따라서 대류에 견딜 수 있을 정도의 무게만 있으면 되는 것입니다.
찌 맞춤을 무조건 무겁게만 한다면 수초낚시와 대물낚시기법이 되는 겁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일반 저수지라면 낮케미 1/2 ~ 2/3정도 수면노출이 찌맞춤이 적당할 것 같구요.
현장에서는 반드시 케미고무 하단에서 찌톱을 5mm 정도(케미완전노출이상) 수면위에 나오도록 하셔야합니다.
그래야 표면 장력이 최소화되고 대류에서도 유리하답니다.

위에 어느분의 말씀에 동의할 수 없어서 다시 댓글을 달게 되였습니다.

쇠전말뚝님께 옯바른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추천 1

자연자연 08-04-25 07:52 IP : c896fae5c12116e
그리고 쇠전말뚝님께서 월척포인트에 대한 말씀이 계셔서 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월척 포인트 지수는 월척 중독지수이고 답변지수이자 기여도 지수이지
낚시에 대한 지식의 지수이거나 고수를 의미하는 지수는 아니라고 봅니다.
그냥 아무 말이나 한마디만 해도 포인트 지수는 올라갑니다.
따라서 상대를 평가함에 있어서 월척 포인트 점수가 절대평가의 기준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같은 경우를 보더라도 포인트는 지수는 좀 높으나 낚시에 대한 지식이 미천하답니다.
고수는 더욱 아니구요.

월척 포인트점수에 너무 신경쓰지 안으셨으면 해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쇠전말뚝님, 즐낚하세요.
추천 0

쇠전말뚝 08-04-26 22:31 IP : 8c5cc1ff51ad3dc
캄샴당,,,^^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