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선배조사님들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낚아뿌쟈 IP : b6f0dbc1cedfea2 날짜 : 2008-04-01 22:44 조회 : 5568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이제 본격적으로 시즌(?)을 맞이해보려는 초보 낚시광입니다.
집앞의 중랑천이라는 하천에서 낚시를 하는데요.
답이 안나와서 이리 여쭙니다.

먼저 대충 그림을 그려보자면
1>유속이 조금있음.
2>크나큰 붕어들이 주로잡힘. 잉어도 많은데 릴로 잡힘.
3>중금속이 많아 잡고 바로 놓아줌, 하여 입에 상처가 있는 물고기가 많은데
의아하게도 끌고들어가는 입질이 많음.
4>그물로 인해 밑걸림이 많음.
5>떡밥이 주 먹이이며 떡밥낚시만 가능함.

1번은 다루마찌로 해결,
4번을 해결하려는데요, 제가 1.5호 카본줄에 묶음바늘을 씁니다.
잉어를 수없이 걸어도 채비는 터지지 않았는데,
밑걸림이 있을때 할수없이 끊어야할 상황에서
묶음바늘의 목줄이 너무질긴지 당기면 원줄이 끊어집니다.
하여 바늘을 직접 묶어쓰며 목줄이 먼저 터지게 하고싶습니다.
**원줄은 몇호를 쓰는게 좋으며 카본사가 좋겠지요..?
자꾸 펌현상이 일어나 모노는 못쓰겠어요..
**목줄은 몇호를 써야할가요..

사람들이 원줄 2호이상을 쓰라지만 전 1.5호도 터진적이 없습니다.

선배조사님들의 한말씀이 저에겐 큰 도움이 되겠습니다 ^^
즐낚되세요~
추천 0

1등! 자연자연 08-04-02 00:41 IP : c896fae5c12116e
밑걸림이 없는 지역이라면 대어도 카본1.5호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거림이 많다면 원줄을 높여야 겠지요.
원줄은 카본 2호줄에 목줄은 테크론계열의 합사 "당"2호를 쓰시고 바늘은 6호를 써보세요.
밑걸림이 있을 때 할수없이 끊어야 할 상황에서 지긋이 잡아 당기면
목줄이 끈어지거나 바늘이 부러집니다.

일반적으로 원줄보다 한치수 낮은 목줄을 사용합니다.
추천 0

2등! 진영현 08-04-02 00:55 IP : e471054be7578d6
저도 그런상황인수로를 잘다니는데 저같은경우는 원줄6호에 목줄은 합사가아닌 원줄용 카본1.5호에 바늘은 8호나 9호쓰고 있습니다 낚아뿌자님 참고하세요
추천 0

3등! 스트랏슈 08-04-02 01:45 IP : 0e5be07dff929f5
안녕하세요..
조력이 짧지만 한말씀 올리겠습니다.
현 상태의 원줄을 고집하신다면 목줄의 인장강도가 작은 채비를 선택하시는게 옳은 방법이겠지요.
원줄을 1.5호로 쓰신다고 하지만 일반 낚시점에서 취급하는 테크론 계열의 묶음바늘 채비는
말씀하신 원줄보다 강도가 높은 제품이 대부분일것입니다.

채비를 직접 만들어 보시는건 어떨런지요?
원줄의 호수보다는 인장강도를 먼저 파악해보시고...알바늘과 인장강도가 그보다 낮은
목줄을 따로 구비하셔서 채비를 만들어 보시는것도 도움이 될듯합니다.

그리고 한가지...유속이 있는 장소이고 밑걸림도 자주 경험하셨다 하니
채비 회수시에 찌밑 원줄부분을 손가락으로 주욱 훑어서 결절부분이나 연신된 부분이 있진않으신지
살펴보시는것도 채비 터짐을 줄일수 있는 방법중에 하나일것입니다.

그리고 도래나 초릿대부분의 매듭법도 요즘 직결법이라던지 좋은 매듭법이 많이 있으니
참고하시는것도 좋구요.

낚시야 말로 원시시대부터 이어저 내려온 레져중에 하나지만....
정보나 새로운 소식에 귀기울여야 하는것은 여느 레저 못지 않은것 같습니다...^^

안출하시고 올 봄시즌에는 테니스 엘보 꼭한번 걸리시길 바랍니다...(마릿수로 잡히실때만요^^)
추천 0

면도날 08-04-02 10:29 IP : 5c2d8e4f736f384
안녕하세요?

제 경우의 밑걸림 해결 방법 입ㄴ다.

저는 원줄은 2.5호 카본줄을 쓰며 바늘은 "백경조침" 에서 나오는 테크론 2본 붕어전용 묶음바늘 6호를 쓰고 있습니다.

여러 바늘을 많이 써봤지만 테크론 목줄이 케블라 목줄보다 부스러기가 일어나지 않고 좋더군요.

또한 바늘도 연성이 있어서 밑걸림이 있을때 낚싯대를 일직선으로 잡고 지긋이 당기면 바늘이 펴지면서

채비 손상없이 밑걸림을 해결할수 있고, 그 바늘을 롱 로우즈로 원상 회복시켜서 다시 쓸수도 있지만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버리고 다시 바늘을 갈아줘야 하겠지요.

굳이 위 회사에서 나오는 바늘만이 아니라 시중에서 구할수 있는 H 라는 숫자가 적은 연질 계통의 바늘을

사용하면 위와 같은 효과가 있을 것 입니다.

제가 한번은 좌대 낚시 도중 바늘 두개가 모두 버드나무에 박혔는데 위 방법과 같이 당겼더니 채비 손상없이

바늘 두개가 모두 펴지면서 빠져 나오더군요.

그렇다고 고기가 걸려서 그렇게 펴지는일은 없었습니다.

또 다른 하나는 "월척상사" 에서 나오는 묶음 짝밥채비 6호 바늘을 사용 하는데 이 바늘은 당기면 부러져서

나오더군요.

아무튼 밑 걸림 등 문제 발생시 바늘에서 먼저 안전장치가 작동되게 하는것이 상책 이라 생각 합니다.
추천 0

저수지풍경 08-04-02 16:57 IP : d1f2e1a211c32cb
동부간선을 이용하기에 퇴근길 항상 시선이 머무는곳.... 중량천입니다. ^^;

중량천 상류(의정부와 만나는곳)에서 몇번 낚시해본 경험으로 적습니다.

원줄은 카본 1.5호 쓰신다는데.... 충분하신듯합니다.

중량천에서는 인접조사님 빼고는 제압시 걸림이 없고.... 물흐름에 원출을 키운는것은 불합리한듯 생각되고

목줄을 1호 모노줄로 외바늘에 봉돌 윗 구멍에 달아 사용해보세요.

밑걸림이 덜해지고 바닥을 걸었을때도 지긋이 당기시면 목줄만 교체할수있으실겁니다.

끌고들어가는 입질이야.... 구멍봉돌을 사용하면 이물감아 적어져 좀 개선되기는 하지만....

수심이 낮고 주변이 소란스러워 그려려니 생각해야될듯합니다.
추천 0

카리스타 08-04-02 19:52 IP : 0728dc9e0b34d18
노파심에서 한말씀...

원줄과 목줄의 홋수를 단순비교 하시면 안됩니다.

같은 1호라도 모노, 카본, 합사 모두 차이가 납니다.

합사도 종류에 따라 인장강도의 차이가 있으나
케브라합사의 경우 같은 호수의 일반카본사 보다 4배이상 강합니다.
(인장강도는 통상 제품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간단한 산술로 카본원줄1.5호/합사목줄1호 채비하시면 대부분 원줄 나갑니다.

통상 원줄과 목줄의 비율을 결정하는 요소는
잡고자 하는 대상어종에 버틸수 있는 최소인장강도를 계산하여 목줄의 호수를 정하고
목줄보다 조금 강한 원줄을 선택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시중에서 판매되는 묶음바늘은 보통 합사 2호 전후라 왠만해서는 원줄이 터지게 됩니다.

결국 원줄을 높이던지, 바늘을 직접 묶어 쓰시던지
아니면 원줄과 바늘사이에 모노나 카본사 낮은 홋수로 목줄을 넣으셔야겠네요.

그런데 원줄 호수를 무작정 높이면 낚시대가 부러질 수도 있습니다.
추천 0

낚아뿌쟈 08-04-02 23:35 IP : b6f0dbc1cedfea2
여러 조사님들 감사드립니다.
결국 1.5호 카본사에 1호케브라 사로 질렀는데..
위에분말씀을 보니 원줄이 먼저나갈듯 싶네요..
그런데 잘부러지는 바늘을 산다고 사서 어찌될지
저지르고보니 또다시 막막합니다 ^^;;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