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분할채비도 전통바닥낚시에 속하는지요?

자연향기 IP : 3c63c122b5c5104 날짜 : 2008-03-24 19:31 조회 : 8621 본문+댓글추천 : 0

봉돌이 바닥에 닿고 붕어가 먹이를 흡입할때 찌가 솟아오르는 동작의 낚시패턴이
전통바닥낚시라고 알고 있습니다 궁금한것은 분할봉돌채비 (예:군계일학채비)도
전통바닥낚시에 속하는지요?또한 분할채비시 목줄에길이에따라 바닥낚시의범주에서 벗어나 다른장르에
속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여러회원님들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추천 0

1등! 블랙잭 08-03-24 20:08 IP : bed9caa88b6db1f
안녕하세요.. 대전에 블랙잭이라 합니다.

제 생각으론 봉돌이 바닥에 안착되어 있어 붕어가 입질시 찌가 내려가지 않고

올라온다면 바닥낚시라 말할수 있습니다..

분할봉돌채비는 붕어가 먹이섭취시 이물감을 덜 갖게 하기위해 봉돌의 무게를 분산시켜

최대한 이물감을 적게 하기 위한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자연터에서의 붕어는 체력이 강해(?) 무거운 채비도 거뜬히 들어 올릴 수 있습니다..

다만 유료터의 중국붕어는 먹이섭취시 경계심이 토종붕어보다 강하고 먹는것도 깨작거리는게..

입질폭이 작아 분할봉돌채비로 하면 찌올림이 더 좋기에 조사님들이 더 선호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저도 여러가지 채비를 많이 연구해 보았지만.. 2봉 ---> 외봉 ---> 3분할채비 ---> 좁쌀채비 ---> 2봉 으로

다시 돌아왔습니다.. 유료터보다 자연지, 소류지, 수로를 많이 다녀서요.. 결국 나중에 연구에 연구를 하면

할수록 다시 초심으로 돌아오게 되더라구요.. 여차피 토종붕어는 역도선수처럼 힘이 좋아 예민하지 않아도

열심히 올립니다. 적당히 무거운 찌맞춤이 까불지 않고 중후하게 찌맛이 더 좋으니깐요..

초보가 주절주절 말이 많았네요..

더 자세한건 다른 고수분께 패스하겠습니다. ^^*
추천 1

2등! 무명 08-03-24 20:16 IP : d55186f2d56bca1
좁쌀봉돌채비라고 많이 하죠.
좁쌀봉돌(2B)이 바닥에 닿으니 바닥낚시라고 해야겠죠.

전통바닥낚시라고 하기에는 좀 그렇죠.
본봉돌이 바닥에 닿는게 아니니까요.
바닥낚시이기는 하지만 변형된 바닥낚시라고 해야 겠죠.

아시겠지만 양방에서 예민한 중국붕어의 입질을 받아내기 위해
사각을 최대한 없앤 예민한 채비구요,
활성도 나쁠 때 노지에서도 상당한 위력을 발휘합니다.

다만 활성도 좋을시는 양방이 아닌 노지에서 사용시
피곤한 낚시가 될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 질문에서 목줄길이가 본봉돌과 좁쌀봉돌 사이의 목줄인지
아님 좁쌀봉돌에서 바늘 사이의 길이인지 모르겠으나
그 길이와 좁쌀봉돌의 안착은 관계가 없구요,
(바늘크기나 목줄의 굵기, 좁쌀봉돌의 크기에는 영향을 받습니다)
찌맞춤과 실제낚시에서 찌의노출정도에 따라
좁쌀봉돌이 바닥에 닿기도하고 뜨기도합니다.

근데 이 채비에서 좁쌀봉돌이 수중에 떠있다고해서
내림채비라고 할 순 없겠죠.^^

그냥 바늘만 바닥에 닿은 바닥채비라고 하면 되지 않을까요?^^
물론 전통바닥은 아니죠.

간혹 일부러 띄워보는데
입질은 올리기도하고 빨기도 하더군요.
추천 0

3등! 붕어n 08-03-25 02:47 IP : 68d32259ee4854e
분할채비도 전통 고유의 바닥 낚시 입니다.
다중 분할채비 등등~~ 여러가지가 있읍니다.
전통 분할 채비에서 좁쌀채비로 전향된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추천 0

노지 08-03-25 04:44 IP : f1c3ae42687b3a4
우리가 늘 '전통' 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전통바닥낚시, 전통 대물낚시 같은 단어들입니다. 전통대물낚시의 경우 학자들에 의하면 새우나 옥수수를 사용하는 낚시를 의미하며 문헌에 의하면 약 80년에서 100년 정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우리가 이야기하는 전통바닥낚시의 경우 올림찌 낚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학자들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에서 들어 온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약 1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전통'이라는 단어의 기준을 생각해 보아야 합니다.
예를 들어 끝보기낚시는 우리나라 맥낚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그 역사가 기원전까지 올라갑니다. 그리고 견지낚시의 경우 겸제 정선의 그림으로 증명되어 약 500년 이전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어떤 학자들은 1000년이 넘는다고 주장합니다. 그렇다면 이제 1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낚시분야와 5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역사와 함께 '전통'이고 이야기 한다면 모순이 생깁니다. 결국 우리나라 고유한 견지낚시가 일본이 전해 준 올림찌낚시와 함께 도매로 함께 취급되는 우를 범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바닥낚시는 '전통'이라는 단어를 쓰기에는 아직 그 역사가 짧다는 것이 저의 개인적인 주장입니다. 그냥 올림찌낚시나 바닥낚시 같은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정답이고 전통낚시라고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은 끝보기 맥낚시나 견지낚시 같은 낚시를 전통낚시라고 해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월척에서도 전통바닥낚시 게시판은 맥낚시나 견지낚시에 대한 글이 올라와야 올바른 게시판이 될 것입니다.
정확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우리의 고유한 낚시 문화를 지키고 사랑하는 것이라 저는 생각합니다.

저에 이야기는 그냥 지나가는 이야기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분할채비에 대한 답변이 아니라 쑥스럽군요............^^
추천 1

붕어사이소 08-03-25 11:24 IP : d6982fbe6f7ea23
노지님 좋은글 감사히 잘봅니다

전통을 하나하나 배우며낙시를하니 더욱 즐거워집니다

안출하시고 대물상면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