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정보·팁] 좁쌀. 편대 채비에 있어서...(기둥목줄.앵커기능)

다운 IP : 013f46091e67c29 날짜 : 2012-06-07 12:28 조회 : 7109 본문+댓글추천 : 0

아래 글들을 읽어보니 모르시는 분들이 있으신거 같아 몇자 올립니다.
고수님들은 아시겠지만 모르시는 분들 위하여 올리니 오해없으시길...

이번글은 본 봉돌과 좁쌀 봉돌사이의 목줄에 대하여와 좁쌀 봉돌의 "앵커" 기능에 대하여 얇팍한 지식을 서술합니다.

먼저 본 봉돌과 좁쌀 봉돌 사이의 목줄은 "기둥 목줄"이라 칭합니다. 그럼 기둥목줄을 적용하는 이유부터 알아야겠지요.
기둥목줄을 적용하는 주된 이유는 "완충 구간"을 주기위함 이고 "기둥 목줄"의 기능을 알아야 낚시 하실때 적응력이 좋아질것 같습니다

예를 들겠습니다
좁쌀 봉돌이 0.40g을 달고 분할 채비를 한다고 가정할때 0.40g짜리 봉돌을 물속에서 제거했을때 0.40g만큼 부상력이 생기겠죠?
하나 붕어가 드는 힘이 0.50g이라면 허나 찌의 부상속도는 0.40g이니 0.10g만큼 부상력 차이가 생기겠죠?

이상황에서 분할 구간을원줄을 적용하면 0.10g의 남는 부상력이 굴절력이 적은 원줄에 버티기 의하여 0.10g만큼 침력으로 작용하여
붕어는 0.10g만큼 이물감을 느끼게됩니다.
허나 굴절력이 좋은 부드러운 목줄(PE합사.당줄)로 기둥목줄에 적용하면 0.10g만큼 굴절(휨력)현상이 나타나 원줄 버티기 현상이
없어 붕어는 이물감을 못느끼고 계속 상승하게 되는겁니다.
즉 입걸림이 향상됩니다. 여기서 기둥목줄의 휨 정도는 원줄 버티기 침력 정도만 커버 할정도로 미미합니다
제가 볼때는 우리 눈으로 기둥목줄의 휨 정도가 팽팽한 긴장감만 깨질거라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지금 까지 편대나 분할 좁쌀 채비에서 기둥목줄을 적용하는 이유 이었습니다.
편대나 좁쌀채비는 둘다같은 논리를 적용하는 "분할 채비"입니다. 두 채비 모두 인위적으로 저부력 찌로 만들어 낚시하는 형태이므로...
아래 봉돌이 0.40g이라면 내 찌는 0.40g의 부력이 소유한 저부력 찌라고도 볼수 있겠지요. 저부력찌 낚시???

위의 글은 논리를 설명하기위하여 숫자로 표현했을뿐 분명 정확한 수치는 아닙니다 논리는 맞는것 같으나 숫치는 증명할 방법이 없답니다.ㅠㅠ
부드러움 정도는 당줄보다는 PE 합사가 월등히 좋습니다. 강도면에서도. 저는 엔트리 PE합사 1~1.2호를 주로 사용합니다.
적당한 호수만 적용하면 버림 기둥목줄로도 엔트리PE줄도 가능합니다.

다음은 "찌마춤" 이란 무엇일까? 입니다.

찌마춤은 한마디로 마지막 봉돌의 침력(중력)의 크기의 조절 입니다. 즉"앵커"기능의 조절이라고도 할수 있을겁니다.
붕어의 그날 활성도에 따라 찌마춤은 달라집니다. 이말을 풀이하면 활성도에 따라 붕어의 초기 흡입력이 틀려진다 입니다.

우리 올림 낚시는 붕어가 먹이를 흡입하고 고개를 드는 동작에서 챔질을 하는 낚시방법 이므로 붕어가 초기에 흡입할때 밑에 봉돌은 견고하게
바닥에서 움직이지 않고 버티고 있어야 붕어는 먹이만 흡입할수 있습니다.

만약 흡입시 봉돌이 따라오면 붕어는 봉돌무게가 이물감으로 느껴서 먹이(바늘)를 뱉어 냅니다.

이때 수면위에 찌톱는 물속으로 들어가는 모습이 보이겠지요. 정학하게 말하면 붕어가 바늘을 뱉어내고 도망가는 모습이니 챔질을 해도
붕어 입에서 바늘이 3.9시방향에 입걸림이 되지요. 또 찌가 빨리는 현상은 찌마춤이 가벼워도 생기고 무거워도 생깁니다.
둘다 이물감을 느끼어 뱉어내고 도망가는 모습이 보이니까요. 뱉고 돌아서는 모습이 수면위에 찌톱은 빨리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찌마춤이 가볍다 꼭 빨리는 입질만 나타나지 않습니다. 무거워도 빨리는 입질이 나타남을 기억 하세요
3.9시 입걸림이 되풀이 된다면 찌마춤이 가벼운지 무거운지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결론은 그날 활성도에 따라 정확한 찌마춤(앵커기능)을 마추고 하셔야 즐거운 낚시가 되겠지요.
물론 "원 봉돌" 채비에서도 똑같은 현상이 나타난다는걸 알아주십시요.

밑에 그림은 제가 2008년도 부터 "앵커기능"을 인위적으로 좋게하기 위하여 만들어 사용해오던 좁쌀 봉돌입니다.
밑에 면에 무게와 접지면이 무겁고 넓게하여 몇년동안 사용해보니 보다 안정적인 찌놀림을 볼수 있더군요

ddunk_qna_11501312.jpg


이상은 저의 주관적인 견해이니 틀린점 있으면 시정하여 주시어 올바른 지식으로 남길 바람니다.
이글은 논쟁을 하기위한 글이 아님을 밝힘니다.

-다운 올림-
추천 0

1등! 절묘한타이밍 12-06-07 18:54 IP : 334329b7897aa67
배우고 갑니다. 늘 배우는 입장에서 이런글 자주 올려주심 많은 도움이 되겠습니다.
추천 0

2등! 침보라소 12-06-09 12:23 IP : c9349a8fddb0895
컥 고수님.. 한수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3등! 산태공 12-06-11 09:47 IP : b1a824b501d5286
잘보고 갑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