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토종붕어의 시야에 가장 빨리 들어오는 미끼의 높이는?

린츠 IP : 48c42aad90c7ad9 날짜 : 2012-10-31 20:11 조회 : 16568 본문+댓글추천 : 0

어느정도 쯤이라 생각하십니까??

토종붕어들 눈을 깔고 있는거 보면 먹이활동땜에 그런가 싶기도 합니다만 그건 플랑크톤 미생물같은 먹이 섭취를 할경우라 생각되고

큰미끼의 경우에는 다르지않을까요? 옥수수도 결코 미생물에 비하면 작은 먹이는 아닐겁니다

저는 큰미끼는 바닥보다는 붕어 눈높이에 맞는 바닥에서 10CM~20CM 위 정도가 입질이 빠를거라고 생각됩니다.

붕어가 과연 앞을 먼저 볼까요? 바닥을 먼저 볼까요?
추천 0

1등! 월척100분과토론 12-10-31 20:58 IP : ffd0d617a5e2c31
시각은 먹이를 찾는데 일부 기능일거라
생각됩니다
추천 0

2등! 린츠 12-10-31 21:16 IP : 48c42aad90c7ad9
토론님 붕어가 물론 후각에 민감하지만 과연 붕어가 생새우 참붕어 메주콩 옥수수 같은경우 냄새를 맡고 올까요?

물속에 무수한 새우참붕어가 있는데 내 바늘에 달린 미끼를 먹는건 100프로 시각으로 확인해서 입니다

수족관에 붕어가 새우먹는 동영상을 보면 오로지 순수하게 시각으로 쫓아다니며 먹는걸 볼수있습니다.

떡밥낚시를 제외한 새우 참붕어 옥수수 메주콩 지렁이 같은 경우는 분명 후각보단 회유하다 시각으로 발견해서 먹는다! 라고 생각됩니다
추천 0

3등! 물트림 12-10-31 23:46 IP : 4c6a6b9cb79b28e
낮낙시만..하시나 봐요

100프로 시각이라...
추천 0

붕어람 12-11-01 00:05 IP : e8a5309c8c06745
안녕하세요^^ '낚시엔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서동찬 선생님의 글 링크 걸어 놓습니다.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http://rkh5107.blog.me/40156243965
안출하시고 498하세요^^
추천 0

붕어람 12-11-01 00:08 IP : e8a5309c8c06745
컥! 죄송합니다^^; 스마트폰으로 작성하다 보니 링크거는게 안되는군요~TT 방법을 모르는건지~TT
복사해서 사용하시길^^;
추천 1

까꿍붕어 12-11-01 11:53 IP : bb3d424ed181c5a
린츠님... 낮에는 시각에 의존하여 먹이활동을 한다고 가정하면

밤에는 어떻게 설명하실건지요? 밤에 칠흑같이 어두운 수중에서

어떻게 바늘에 달린 미끼를 발견하고 먹는거죠?
추천 0

duke 12-11-01 12:44 IP : 96781dad27334ae
후각이라...시각???
흠...글쎄요...주로 먹던 미끼에 잘 반응하는건데...
혹 금붕어 키워보셨나요???
무조건 먹이 활동을 합니다...먹고 뱉고..다시 먹고..뱉고...
일단 붕어가 있어야 하겠죠...ㅋㅋ
추천 0

린츠 12-11-01 14:03 IP : 48c42aad90c7ad9
제 본문의 의도와 질문은 "붕어는 생각보다 시각에 의존도가 크다" 라고 가정하고 질문하였습니다만~ 물론 순수 제 개인적인생각입니다

물트림님께는 따로 쪽지를 드렸으니 답변해주실테구요


까꿍붕어님께서 붕어는 밤에 까막눈이다! 라고 가정하셨으니 까막눈이다라고 생각하시는 이유를 묻고 싶습니다..

사람도 아닌 붕어가 상위포식자도 아니고 왜 밤에 안보일까요? 오로지 후각 촉각 본능을 이용해서 먹이를 먹을까요.

붕어님 말씀대로라면 밤에는 떡밥이 최고의 미끼 아닐까요? 왜 미끼를 수초밭에서 함몰되지않게 띄우는지? 띄운미끼가 냄새가 좋아서요??

밤낚시 새우많은 저수지에서 내 바늘에 달린 미끼가 어떤 요건에 의해서 그 붕어를 유혹했는지도 궁금합니다

밤낚시에 붕어를 잡고 바둥거리는 붕어 눈을 가렸을때 왜 가만히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물밖에 벗어난 붕어는 비늘 체온등을

통해서 엄청난 쇼크를 먹을텐데 눈하나만을 가리는데 왜 잠잠해지는지도 궁금합니다
추천 0

까꿍붕어 12-11-01 17:19 IP : bb3d424ed181c5a
님께서 두번째에 적어놓으신 댓글에는 분명 "바늘에 달린 미끼를 먹는건 100프로 시각으로 확인해서" 라고 적혀있네요

제생각에는 시각뿐 아니라 후각도 분명히 붕어의 먹이활동에 관계가 있다고 봅니다 그렇지 않다면 개보다 훨씬더 민감한

후각을 붕어가 가지고 있을 필요가 있을까요? 밤에 시각에 의존하여 먹이를 발견한다는건 붕어눈에 적외선야광투시 기능이

있지않는이상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새우,참붕어,지렁이,옥수수,떡밥...우리가 사용하는 미끼은 모두가 냄새라는게 존재하므로

밤에는 시각보다는 후각이나 촉각에 의존한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물트림님의 짧은 댓글을 보면 제생각과 같은생각이신것 같은데요.
추천 0

린츠 12-11-01 19:02 IP : 48c42aad90c7ad9
제가 여쭌 물음에는 답을 안해주셨구요 까꿍붕어님의 결론은 붕어는 밤에 보지 못한다 이네요...적외선야광투시까지야ㅋㅋ

이해못하시는게 100프로 시각에 의존한다가 아닙니다 먹이를 찾는 과정을 떠나 "먹이가 눈앞에 있을때"입니다

눈앞에 있을때는 시각에 의존한다 입니다 그래서 제 질문도 눈에 빨리 띄는 미끼의 높이를 물었구요

그리고 댓글 앞부분을 잘좀 봐주세요 "물속에 무수한 새우참붕어가 있는데" 바늘에 끼인 자유롭지 못한 새우를 붕어는 무엇으로

판단할까요? 제 생각은 단순합니다 그냥 어떤연유로든 오감이던 육감이던 지나가다봤던 어쨋건 눈으로 확인하고 새우를 보고 먹었을겁니다

오감을 사용하고 후각에 민감한건 학교다닐때 배운걸로 압니다 측선부터...부레의기능까지요 해부도 해본기억이 있네요~


퍼온글입니다 읽어보세요

제목 : 붕어의 눈(시각)

붕어뿐 아니라 물고기의 대부분은 사람처럼 두 눈이 앞을 향하여 나란히 위치하지 않고
머리의 양쪽, 즉 우리의 귀에 해당하는 곳에 들어가지 않고 불룩 튀어나와 있다.

이러한 것은 사람의 시야보다 3배정도 넓은 면적을 볼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한다. 인간은 전방 140°의 각도를 볼 수 있는데 물고기는 한쪽 눈만으로 180°, 즉 360°의 시야를 갖는다. 카메라의 어안(魚眼)렌즈의 탄생도 이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한편 넙치나 가자미류는 두 눈이 등 쪽으로 나란히 붙어있다.
이것은 몸을 모래 속에 파묻고도 눈만 내 놓고 있다가 공격권 내에 들어오는 먹이를 지켜보기 위해 그렇다고 하겠다.

어류생리학상 물고기의 한 쪽 눈으로 볼 수 있는 부분을 단시(單視),
두 눈으로 상(像)을 겹쳐 볼 수 있는 것이 복시(複視)라고 하는데
이 복시의 범위 안으로 들어오는 부분은 인간처럼 원근감을 갖게 하여 먹이와의 정확한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고 한다.

이 복시는 육식어종의 주무기로서 필사적으로 도망치는 잔고기들을 추적하여
정확한 거리에서 물고늘어지게 할 수 있는 기능을 부여하는 것이다.

물고기의 눈은 그들의 서식환경이나 습성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흐린 물에서 살거나 밤에만 활동하는 물고기는 시력이 약한 반면 후각이 발달해 있다.

메기를 예로 들을 수 있다.
반대로 깊은 바다 속의 심해어들은 눈이 퇴화된 것이 많지만 개중에 아주 작은 빛이라도
더 포착하기 위해 화등잔만한 눈을 갖고 있기도 하다.

산천어나 송어도 예리한 눈을 갖고 있어서 후각보다는 시각에 의한 먹이 활동을 한다.
루어나 플라이 낚시를 생각해 부면 이해가 쉬우리라 생각한다.

붕어는 잡식성이기는 하지만 송사리를 잡아먹을 만큼 민첩하지는 않다.
대략 5,6m 이내에서만 시야확보가 가능하리라 예상된다.

또한 색깔을 구별하긴 하는데 독일의 폰 휘리슈의 실험을 인용하자면
수조 속에 각기 다른 색의 접시를 놓고 푸른 색의 접시에만 10회 이상 반복해서 먹이를 넣고
피라미 무리의 행동을 관찰해본 결과 피라미들은 그 일정한 색의 주위에 모여들었고
접시의 위치를 바꾸어도 결과는 같았다고 한다.

수조 속에 여러 색채로 된 칸막이를 설치한 후 특정 물고기를 집어넣었을 때
어느 색의 칸막이로 들어가는지 살펴보면 선호색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실험에 의해 눈이 밝은 송어나 배스, 바다고기는 푸른색을, 뱀장어나 메기등은 붉은 색을 선호한다.
붕어등 잉어과의 고기들은 붉은 색보다는 푸른색을 좋아한다.

청색계통이 수중에서 투과력이 강한데 비해 황색이나 적색은 그 파장이 길어 불과 몇 m에서 흡수된다.
더구나 칠흑같은 밤낚시 경우엔 색의 의미가 없다.

야행성 물고기인 메기나 장어등은 특히 빛을 싫어한다.
많은 양의 비로 물이 뒤집혀 물속이 어두워질 때라면 낮에도 완성한 입질을 보인다.
또한 감성돔 같은 경계심이 큰 어류도 빛에 접근하지 않는다.

반면 오징어, 꽁치, 숭어는 빛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다.
붕어는 철저한 야행성은 절대 아니지만 성장할수록 야행성에 가까워지는 듯 하다.
대물들은 해가 져야 활동한다.
밤낚시의 묘미 또한 어두워야 대물을 낚을 수 있다는 점 아닌가.
그래서 낚시꾼들은 보름달을 싫어하지 않는가.
추천 0

땡기들라 12-11-02 03:41 IP : 84c7004d53ac781
어두운밤에도 앞을 잘 볼수있는
동물들의 눈을보면 답이 나올듯합니다.
추천 0

룡아 12-11-02 08:32 IP : 74685c4d20bc428
눈으로 보고먹겠죠~~코로만찾아서 먹고살기란~~ㅋㅋ 야생에선밤에도 볼수있는 시력은 기본아닐까요~~^^
추천 0

노랑버들붕어 12-11-02 08:34 IP : 490427cfc44fc8f
ㅎㅎ 퍼오신글을보면 시각의범위가 360도이니 굳이 높이가 상관이있나합니다. 지형지물에의해 돌고도는붕어니 굳이 빠른입질의높이라는게 의미가있나싶네요 ^^;
추천 0

강마을 12-11-02 09:02 IP : bead8f83ba0e46e
시각과 후각동시에이용한 먹이활동을 하는것 같아요.개인생각입니다.
추천 0

부초처럼2 12-11-02 09:40 IP : 623540da72b4941
수조에서 붕어를 키워봤습니다.
한쪽 수초 밑 구석에 숨어있던 붕애들이 반대편 구석에 어분형 붕어먹이를 주자마자 2~3초 만에 난리를 치면서 나오더군요. 찾아먹으려고요. 붕어먹이는 붕어 근처까지 가지 않았습니다. 먹이를 떨어뜨렸던 곳 근처에서 퍼지고 있는 중이었죠.
하지만 붕어는 냄새로 알아채고 찾아 나선 겁니다.
그리곤 수중또는 바닥에 떨어진 먹이를 보고 먹더군요.
이런 습성을 보면
냄새로 대략적인 먹이 위치를 찾아내고 먹이 근처에서 가서는 시각도 사용한다고 보여집니다.
장님 물고기가 생존하는 이유도 그런 이유겠죠.
추천 0

건방진천사 12-11-02 10:46 IP : dfd630861ef1511
지렁이나 새우의뇌에 인성분으로 인하여 밤에도 빛나는걸로 압니다. 사람은 감지하지못해도 붕어는 감지하겠죠.
발광옥이라고 바늘에끼워쓰는 축광고무나 새우망에축광판도 이러한 시각적효과를노린제품이겠죠.
미끼가안보이는 곳에선 후각이나 지렁이의 꿈틀거림같은 물의파장을감지해서 찾아가고 미끼가 보이는곳에선
눈으로보고 섭취하겠죠.
추천 1

보리농사30년 12-11-02 11:17 IP : 9b3daf964bd710a
내가 붕애한데 전화해셔 물어볼께요 ㅋㅋ
추천 1

진도사랑 12-11-02 12:23 IP : 6a6296ee7fb257d
많은 분들 의견이 있으시네요.. 제 생각 적어봅니다.

붕어는 어디까지나 본능적으로 움직인다고 봅니다. 생존본능,번식본능 등등...

먹이사냥을 하기 위해선 어디 한부분의 감각이 아닌.. 여러 감각을 이용해서 먹이사냥을 한다고봅니다.
미끼를 입에 넣었다가 뱉었다가 하면서 먹어도 된다고 판단되면 취이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먹이사냥을 할려면 분명 회유를 하고 다닐껍니다. 먹이가 많은곳, 안전한곳, 등을 찾아 다니면서...
먹이를 발견하기 전까지의 회유범위내에서 모든 감각신경을 곤두새우고
물의 진동을 느끼며, 먹이 냄새와 ,먹이 위치를 파악해서 먹이를 취이해야하니..

어디 한부분의 감각으로만 미끼를 문다는것의 정답은 없는것같습니다.
추천 0

진도사랑 12-11-02 12:34 IP : 6a6296ee7fb257d
그 다음에 먹이를 발견한 위치에 대해서 의견을 얹어봅니다.

예를들어 사람들이 밥을먹을때 식탁이 편한사람, 앉아서 먹는 상이 편한사람 등등.. 편한상태에서 밥을 먹을려고할껍니다.
먹는 장소도 화장실이나 그런곳에선 먹지 않겠죠?ㅎㅎㅎ
표범이나 맹수들도 먹이를 사냥해서 그자리에선 먹지 않습니다. 안전한곳으로 이동해서 먹겠죠..

그렇다면 붕어는 먹이를 물고 안전한곳으로 이동할까요? 아시다시피 아닐껍니다.
처음부터 안전한곳을 찾아서 안전한 곳에 위치해 있는 먹이를 찾을것입니다.

그리고 대물붕어들은 그만큼 오래 살아서 기억에 의한 먹이사냥을 할것입니다.
아무리 앞에 먹이가 있어도 안전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절대 취이를 하지 않을것같습니다.


그렇다고 모든붕어가 똑같을순없겠죠. 사람도 성격이 다 다르듯이..

그렇다면 먹이가 어느 높이의 위치보다는
어떤 장소에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같은곳에서 채비를 띄운채비 바닥채비, 등을 써보면 그때그때마다 다릅니다. 정답은없죠.
추천 2

진도사랑 12-11-02 12:38 IP : 6a6296ee7fb257d
저의 생각을 정리해보면 높이보다는
그 포인트의 조건이라고 봅니다^^*
추천 0

말뚝쟁이 12-11-02 14:00 IP : b5ab4ce93e3541f
질문하신분이 질문과답을 모두 적어 놓으셨네요.
자연을 상대로하는 모든활동에는 정답이란 있지않는것 같습니다. 후각만으로 먹이로 찾는다면
붕어가 밤에 먹이활동을 할때 후각으로만 한다면
칠흙같은 어두운 물속에 장애물들을 어찌 피하고 다니면서 움직일까요?
밤과낮에 후각과 시각의 활동 반경이서로 다르리라 생각 됩니다
추천 0

네오블루 12-11-02 14:37 IP : a5d81e181d64f09
예전에 다큐에서 본 내용입니다. 물고기는 시각 보다는 후각이 발달했으며 물체를 정확히 구분할 수 있는 거리는 15Cm이내라고 합니다. 먹이를 탐할 때에는 시각보다는 후각에 의존합니다만 사람이 근처로 온다든지 해서 물에 사람 형상이 비쳐 아른 거리는 것에는 예민하게 반응합니다. 이것은 결코 시력이 좋은 것이 아니고 물에 아른거리는 것에 예민 할 뿐입니다.
믿거나 말거나 입니다. ^^
추천 0

건후아빠 12-11-02 15:34 IP : 75423dab1d1f464
후각에 한표...
추천 0

건후아빠 12-11-02 15:40 IP : 75423dab1d1f464
후각이 시각보다 우선시 되는듯에 한표
추천 0

단군할배친손자 12-11-02 15:46 IP : e1e8d084baced83
시각과 후각 어느정도는
일리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야간에 대물들은 시각.후각 보다도 작은 생물체
새우나 작은 어류의 움직인에서 파장을 감지하고
다가오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 측선 입니다 .
진동 소리 움직임 모든걸 감지하는 측선의 기능으로
야간 먹이의 접근을 최대화 하는것인줄 압니다..

벌레들도 수염이나 더듬이로 먹이를 감지하듯....
추천 1

구멍치기k 12-11-02 15:50 IP : a15f0d05848954c
일단 후각으로 접근,
근거리에서는 시각과 물의 파동 등등...
하나로만 먹고살기는 어려울걸로 생각됨.
추천 0

물좋아 12-11-02 17:08 IP : 33106b222d561b1
붕어는 시각 후각 모두 가지고 움직이는 걸로 알고 있읍니다
어느 한쪽보다는 복합적으로 움직이고 먹이활동 한다고 볼수 있지요
붕어는 야행성이 강하므로 밤에도 아마도 잘 보이겠지요 (예로 사람은 밤에 잘 못 보지만 야행성 동물은 잘 보잖아요)
붕어는 대체로 턱진 부분에서 입질이 잘 들어오고
잉어는 골진 곳에서 입질을 많이 보았습니다
추천 0

sannoul 12-11-02 17:17 IP : 602790cc7bfa324
초등학교때 배웁니다.
붕어는 측선이라는 것을 가지고 있다구요. 그래서 측선이라는 단어는 시험출제 단골이었죠.
측선의 물의 흐름, 깊이, 움직임등을 포착한다고 합니다.

"물체나 다른 생물을 감지하거나, 수류의 변화를 감수하는 촉각기관이다. 옆줄이라고도 한다. 개개의 촉감구(觸感球)는 감각모가 있는 감각세포와 지지세포로 이루어지고, 감각세포의 가장자리에는 젤라틴질로 된 정체(頂體)가 부속되어 있다. 수류에 변화가 일어나면 정체에 진동이 생겨 감각모를 통해 감각세포가 느끼고 신경에 전달한다. 일반적으로 측선이라고 부르는 기관은 어류의 몸쪽에 배열된 것으로 체절마다 체표에 있고 그 하부는 관으로 연결되어 있다. 유린경골어(有鱗硬骨魚)에서는 비늘을 관통해서 체표와 연락되어 있다
[출처] 측선 | 두산백과"

시험에 괜히 나오는게 아닌것 같습니다.

어느 대학교 교수님 말씀입니다.
붕어의 시력은 별루....시력에만 의존한다면 밤이나 황토물에서는 어찌 먹이활동을 할까요?
붕어의 후각은 퇴화....후각이 있기는 있지만 퇴화되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붕어는 어찌 미끼를 알까?
가장 큰것은 바로 측선입니다.

측선으로 물체나 지형지물, 물의 방향을 감지하며 심지어는 대기의 변화(저기압 고기압)까지 읽습니다.

위에 어느분...어항에 미끼를 넣었더니 달려왔다. 냄새때문에... 그게 아니라 모래를 넣어도 달려옵니다.
측선을 통해 뭔가가 들어온것을 알게되며 반복학습에 의해 먹이라고 생각한 것이 맞을듯합니다.

완전 쌩 노지에서 우리들은 흔히 지렁이를 최고의 미끼라 합니다. 그 이유는 미끼 자체가 꿈틀거리기때문에 붕어가 그 움직임을 파악하고 오는 것이죠. 그래서 노지에서의 최고의 미끼가 바로 지렁이입니다.
붕어는 회유를 하다가 뭔가가 있음을 감지하고 도착해서 시각과 후각으로 탐하면서 물었다 놓았다 하죠.

붕어는 상어가 아닙니다. 후각이나 시각은 많이 퇴화되었다고 보셔야 합니다.

이 질문을 하신분께 나름 답변드립니다.

토종 붕어는 바닥에서 먹이활동을 하는 녀석입니다. 따라서 바닥에 있는 것을 제일 잘 먹습니다.
바닥의 이물질과 함께 먹고 뱉어내기를 반복하는 녀석입니다.
반면에 희나리는 중층을 좋아하는 녀석입니다. 당연히 물에 떠 있는 밥을 제일 잘 보겠죠.
물론, 100% 그렇다고 볼수는 없지만 어쨋든 토종붕어는 바닥을 회유하며 먹이활동을 합니다. 간혹 먹이들이 물에 떨어져 몸부림치다가 그 진동을 느끼고 온 토종붕어가 먹이를 먹을 수도 있습니다.

그럼.
추천 0

sannoul 12-11-02 17:27 IP : 602790cc7bfa324
참고로 우리는 붕어 낚시를 할때 고패질이라는 것을 합니다.
얼음낚시때도 하고 내림하시는 분들도 간혹 합니다.
그 고패질 왜 하냐구요?
바로 움직임에 의한 진동을 통해 붕어들이 오도록 유인하는 것입니다.

그럼 쌩 노지가 아닌 하우스 같은 손맛터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손맛터에는 수없이 많은 분들이 어분이랑 엄청난 양을 쏟아붓습니다. 심지어는 페로몬?? 어쨋든...
만약에 붕어가 후각이 발달했다면 붕어는 미쳐서 죽어버릴겁니다. 그 냄새들에 중독이 되어 후각이 마비되어 버릴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쏟아부어도 붕어는 물어줍니다.
손맛터 하우스 물도 대부분 뿌옇죠. 시각에 많이 의존한다면 붕어는 장님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많은 강력한 어분들 부유물 잔여물때문이죠. 그러나 붕어는....여전히 입질을 합니다.

그런데 낚시객이 많고 시끌시끌했던 주말에는 참 입질이 없습니다. 왜? 시각과 후각이 마비되어서?
아니라고봅니다. 많은 사람들이 시끌시끌했으니 수없이 많은 진동이 일었을 것이고 그때문에 붕어들이 몸사리고 스트레스를 받아서 입질이 없는 것이라 봅니다.

자각 있으신 하우스 사장님들은 밤낚시를 안하십니다. 그 이유는 고기들이 쉬지 못하면 입질이 없어지기 때문이라 하시더군요.

그럼, 시각이나 후각에 표를 던지시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시각 후각이 일정부분은 맞겠지만 주된 기능은 바로 측선에 의한 감지라는 것에 한표 던집니다.
추천 0

푸른구름 12-11-02 18:40 IP : 2ee7327ea42afae
가시 대역이 어류와 사람이 다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즉 밤에 사람은 어둡지만 어류는 환하게 보는 것이죠.
어둠에서도 보는 시각, 진동을 느끼는 측선, 예민한 후각 삼박자를 이용해서 먹이를 판단하는 것으로 전 한표.

어느것이 더 우선이냐는 그때 그때 달라요...사람도 냄새가 좋아서 식욕이 돋기도하고 보기 좋아서 그렇기도 하고...
공통점은 춥고 더우면 걍 졸라고 꼼짝하기 싫다는 것...
추천 0

수리 12-11-03 01:43 IP : c932ec1ab260880
조금 다른 각도의 얘기지만 우리가 흔히 물색좋다고 말하는 저수지의 경우 물의 탁도가 높습니다
그런경우가 맑은 물의 경우보다 붕어의 활성도가 높아 조과가 나은 경우가 많습니다
왜일까요...우선 물이 탁해지니 경계심이 줄고 얕은 물가로 나와 취이 활동을 하는거겠죠....그런데
여기서 재미난 아이러니가 일어납니다... 탁한물이 활성도가 높은건 사실인데... 물고기가 시각적 의존도가 높다면
입질은 오히려 줄어야 되는것 아닌가 생각됩니다... 밤에도 고기가 먹이활동을 하는것도 그렇구요...
우리가 흔히들 초감각이라는 말을 씁니다만.. 일반적인 인간의 5감만으로 설명할수없는 능력이 동물들에게 있다지요...
윗분들 말씀을 보니 후각+시각+진동감각+ 그리고 배꼽시계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듯합니다 ㅎㅎㅎ
그리고 맑은물에 사는 어종은 시각적 취이가 월등하고 시력이 좋고 색구분도 명확히 하지만
붕어의 경우는 현저히 떨어진다고 봅니다...
추천 0

빛의예술 12-11-03 06:43 IP : a84d54ffb5394b0
붕어의 시각이 대단하다고 생각합니다,한번은 양어장에서 낚시중에 해질무렵 어둠이 내리는 상황이었는데 수백마리의 붕어들이 뻐끔거리며 떠있었는데 갑자기 좌~~~~~~~악,, 하며 붕어들이 일제히 대피를 하는겁니다, 왜그런가 했더니 50미터 상공에 비둘기 한마리가 날고 있었습니다, 붕어들이 본능적으로 날짐승에대한 방어본능 에서 놀란것입니다,
추천 0

아트피슁 12-11-03 14:24 IP : f6446e02db4c497
저도 후각으로 접근해서 시각으로 먹는것 같네요
크게 생각해 본적은 없지만..음 이글로 인해서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되네요
저는 시각에 한표 던지고 싶네요
콩이나 옥수수등으로 후각이 얼마나 반응을 할지...
시각이 더 중요한것이니..
추천 0

에이피토 12-11-04 19:08 IP : 34b4af1444ae150
답은 군계일학 성제현 사장님께 문의~!!
추천 0

산속옹달샘 12-11-05 14:32 IP : c239433f9975324
질문의 내용과다른 답변들이 많군요.
한 5~6년전에 입질이 별로 없어서 릴대에 바늘이 주렁주렁달린 채비(7~8센티간격으로5바늘정도됨)를 소류지(맹탕) 중간에 새우를 달아 던져놓은적이 있었습니다.몇분후 입질이 왔고 채비를 겉어올려보니 밑에서 3번째 바늘까진 미끼가 없어진 상태였고 그위쪽 2바늘은 미끼가 그대로 있더라구요. 바닥과 너무 멀리떨어진곳의 미끼는 건드릴 확률이 낮다고 생각합니다.날씨 계절따라 달라질수는 있겠지만
20cm이하로 생각되어지고, 그중에선 바닥상태가 깨긋한곳이라면 20cm에서 바닥에 가가울수록 더선호할것 같습니다.
추천 0

여유롭게™ 12-11-06 10:23 IP : b59a7a6daa24988
잘배우고 갑니다
추천 0

뭉둥 12-11-20 16:18 IP : d0db93005cea81a
후각 시각 촉각
제생각이지만 저는 다사용할것같슴니다.
어느 한가지만사용한다면 먹이경쟁에서 (피라미나다른어종) 뒤쳐지지않을까요.
저수지환경 즉 물색,수초여건,먹이환경에따라 발달정도는다를수있겠지만 기본 생태계에서
살아남을려는 동물에 기본본능에따라 서......
(검증된바없지만 제생각은..
시각.후각...먹이나 다른천적을빨리 감지하기위해
촉각..장애물이나,수위측정,먹이활동시이물감같은)
필요하지않을까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