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노지에서 떡밥낚시 채비법 어떻게들 하시나요?

촌낚시 IP : 717c25b3a746e76 날짜 : 2010-04-18 00:44 조회 : 8775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선배조사님들
간단하고 가장 궁금한거 짧게 여쭤볼게요^^

노지에서의 떡밥 낚시 채비 어떤 채비가 가장 좋다고 생각하시나요?
좁살채비? 원봉돌 2바늘 채비?
좁살채비 및 원봉돌 2바늘 채비로 하였을때
원줄 및 목줄 바늘 단차 찌 봉돌 등은 어떤것 쓰시나요?
노지로 기준으로 하여서요..^^ 참 36대 까지 3호봉돌 떡밥달면 가능하겟져?^^
궁금합니다,.,...^^
추천 0

1등! 은아아빠 10-04-18 10:08 IP : b4c49c4e6742bd6
저도 아직 초보인지라 정답은 아니오니 참고만 하시길 바람니다
저는 노지에서는 이렇게 쓰고 있습니다..
원봉돌 2바늘채비 원줄 2호카본 목줄 1호~1.5합사 단차는 많은면 2cm 지렁이쪽을 길게 씀니다.
떡밥쪽은 5cm 전 32대까지만 떡밥낚시 하고 있습니다
낚시대에 무게가받처준다면 36대도 가능하겠지만 ..
사실 전 수파노랭이 쓰는데요 32대도 몇시간씩 떡밥질하다보면 힘들더라고요 ㅎㅎ
요즘은 귀차니즘이 자꾸와서 29대 2번 떡밥질할때 32대 1번 갈아줌니다 ㅋㅋ
그럼 안출하세요..
참 36대쓰시려면 줄을 쫌 짧게 매셔야 편함니다 손잡이대에서 한뼘정도...
답은 없어요 직접해봐야 늘어요^^
추천 1

2등! 금년테마는손맛 10-04-18 10:21 IP : 177e32c6c9b8d6a
자연노지의 떡밥 낚시라면 별도의 기교(?) 부릴필요 전혀 없다고 생각 합니다. 예외적으로 환경 변동의 요소에 의해 아주 예민한 입질을 보일때가 있지만 그게 아닌한 채비 변형이 실제로 큰 효과가 있는경우는 확률이 아주 낮습니다. 제경우 고리봉돌에 이봉을 하고, 입질 패턴에 따라 찌맞춤이나 바늘호수를 바꿈으로 대처 하고 있습니다. 짝밥을 쓰는 경우 단차를 1-2센티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만 절대적인것은 못된다고 생각하여 그냥 쓰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추천 0

3등! 붕어존I 10-04-18 13:13 IP : f622a66b0c8c996
떡밥낚시를 주로하고있습니다
요근래 노지를 다니고있는데요 아직은 추워서인지 입질이 너무 예민하더군요
5호봉돌 쓰는 데는 반마디 올리다 말고를 반복한반면 (헛챔질)
좁쌀봉돌 저부력은 다소 방정맞아도 한탬포 늦게 채면 걸려나오더군요
상황에 맞게 바늘호수와 채비도를 맞춰하는것이 좋을듯합니다
항상 한가지 방법만 고수해서 하는것은 또는 어떤 채비가 좋은니 그것만 하는것은 아니라고 보네요
떡밥도 같은종류를 써도 상황에 따라 어떻게 개는냐도 노하우라면 노하우겠죠
두루 두루 알아두셨다가 하나씩 사용해보고 연구해보심 본인의 사용법에 믿음이 생길겁니다
손맛 많이 보시구 안출하세요
추천 0

bluedawn블루던 10-04-19 01:45 IP : 344206e865778d5
그때의 상황에 따라서 채비의 변경이 필요하겠죠
앞으로 날씨가 점점 좋아지니 그리 예민한 채비가 아니라도 좋은 찌올림을 볼수 있습니다

3호 봉돌 좀 가볍지 않을까 합니다

요즘 하절기 채비
3분활채비를 이용합니다 동절기와는 달리 제일 아래에 스윙벨도래 대신 0.3~0.5호 봉돌을 사용합니다
쌍바늘 채비를 사용하지만 상황에 따라 외바늘도 사용합니다
목줄은 7~5센치 바늘은 붕어바늘 4~9호까지 사용합니다
추천 0

대주면사 10-04-19 08:38 IP : 9f63959d4c08c37
안녕하세요?

무엇이 좋다고는 말하기 어렵습니다. 낚시는 정답이 없지요^^ 개인적으론 쫍쌀봉돌을 쌍포만을 펴서 할 때 애용합니다. 찌맞춤 자체는 예민하다고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오히려 3~4호 정도에서는 외봉돌채비가 찌맞춤은 더욱 예민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단지 좁쌀은 분할봉돌 시킴으로서 붕어의 이물감을 덜수있다는 생각은 듭니다.

32대기준하여 낚싯대(가람리미트, 설골) 원줄(1.5~2호 모노) 목줄(pe합사 2호) 바늘(6호 단차없이 쌍봉) 찌(5호 4.2g)로 사용합니다. 36칸에 3호(2.8g)는 가볍습니다. 떡밥의 크기도 일정할 수 없고 지렁이 등을 사용할 때르 생각하면..... 그리고 장대일수록 가벼운 찌맞춤은 독이 됩니다.
추천 0

찌불야성 10-04-19 20:25 IP : 737305fbb82f2b0
원줄 카본2호 목줄 합사1호 목줄길이 6~7센치 바늘 무미늘6호 내지 붕어바늘 5~6호
가장 보편적이 아닐까 봅니다 일반 이봉채비냐 좁쌀이냐는 일단 초보시라면 일반이봉을 권합니다
이봉채비를 확실히 완성했다면 그다음 좁쌀로.... 좁쌀은 처음 상면했을때 오류도 많이 범하고 이해를 하는데도
실전속에서 경험을 많이 쌓으셔야 합니다
그리고 36대까지 3호봉돌은 조금 약해보입니다 앞치기시 5호정도는돼야 무리가 없어보입니다
봉돌이 너무가벼우면 앞치기시 정확한 투척이 어렵습니다
채비문제는 너무광범위하고 취향에 따라 선택할수 있는 폭이 너무큽니다 일단 기본적인 채비와 찌맞춤으로 가보심이
좋을듯합니다
추천 0

진개미 10-04-21 14:17 IP : 308107ab70ac9f0
3.6호는 4호정도가 적당할 것 같습니다^^
추천 0

예천4짜 18-07-02 17:07 IP : e7c2f597485f75e
참고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