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관리형저수지 낚시 힘드네요

찌좀올려줘 IP : 234e2ab54462f67 날짜 : 2011-06-13 20:28 조회 : 11416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노력만큼 낚시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초보입니다
짬낚시밖에 여유가 없어 관리형을 자주 다니고 있습니다 하기 저수지 특성과 채비를 설명드립니다 어떻게하면 좀더 낳은 조과를 올릴수 있는지 월님들의 의견을 답답한 마음에 부탁드리고자 합니다

저수지
- 약 2만평 토종붕어터(외래어종 없음) 토종/떡붕어, 잉어,향어,동자개,매기등 잘 관리되어 있으며 토종붕어의 방류도 자주 이루어짐
- 상류 바닥 작업으로 수초대 형성이 상류측 저수지 중간에 소폭형성
- 수심 상류 1~2m, 중하류 2~4m권
- 잔챙이(1~2치급)이 지나치게 입질해 피곤한 낚시 일수
- 글루텐/지렁이/새우 입질 없고, 떡밥계통에 주로 입질

2. 채비 및 미끼운용
- 낚시대 2.5~3.4까지 2/3/4/5대 운용(약 10회 출조로 다양하게 운용)
- 스웨벨 운용으로 찌맞춤은 약간 무겁게 (3.2칸 기준 케미 절반 후 찌 1목 내놓고 사용) *군*일*학 용품 및 찌맞춤 애용
- 생미끼 운용시 지누 2~3호, 떡밥시 6~7호 쌍/외바늘 다양하게 운용
- 미끼는 어분위주->지렁이->새우->곡물위주 건탄으로 운용해봄

정말 지겨울 정도로 잔챙이가 덤비네요 걸면 붕애, 입질은 꼬물꼬물 큰바늘은 올라지 못하고 장난만치고, 다른분들을 보면 7~월척까지 잘 걸어 내시는 분들도 있다하시는데 전 이렇다할 조황을 보지 못했습니다 약 10회 출조시 평균 2수 네요 월님들의 조언 특히 미끼운용이나 채비에 대한 조언기다립니다 (눈팅만 하다 처음 글 올려봅니다)
추천 0

1등! 비산붕어 11-06-13 20:51 IP : bd3db99295c4b84
저도 관리터를 다니는 조사입니다.
먼저 찌마춤이 가볍다고 생각 합니다.
수심이 3미터 이상이거나 찌가 제대로 올리지 못하고 깔닥거릴때는
쇠링을 하나더 추가하고 글구 찌마춤은 캐미끝에 마추시길
잔챙이가 나오더라도 계속적인 집어가 필요합니다.
그러다 보면 입질패턴이 달라지는걸 느껴 붕어를 볼수 있을겁니다.
즉 입질이 다르게 보인다는 겁니다.
이상 저의 겅험이므로 나머지는 고수분께 패쑤...
추천 0

2등! 찌좀올려줘 11-06-13 21:23 IP : 234e2ab54462f67
비산붕어님 감사합니다 참고로 찌맞춤은 바늘 빼고 캐미 중간입니다 수심은 약 1~ 1.5m권을 선호해서 상류에서 많이 낚시를 하는편입니다 집어도 계속 해봤습니다만 잔챙이 성화가 극복이 안되네요 찌 맞춤을 더 무겁게 해야할지 고민해 봅니다
추천 0

3등! 바람비 11-06-13 21:27 IP : a7b62be0e4b7717
어분양을 줄이고 보리와신장+ 어분 약간으로 2:1정도로 물배합합니다. 바늘에 달때는 꾹꾹눌러 꾀 찰지고 단단하게 대추알 만하게 달고 입수중에 풀어지거나 하면 잡어 더붙습니다.(아주 단단하게 뭉치셔도 5분이면 풀어지고 바늘에 작게 남게됩니다). 원봉돌 또는 군계맞춤이라면 아레 봉돌에 핀도래 2개정도 달아줍니다.(윗봉돌x) 목줄은 4~6센티라면 8~12센티로 늘려줍니다. 집어나 쳄질은 깔짝거림 무시하고 집어또한 무시하고 버틴다 라는 느낌으로 갈아줍니다. 위 방법으로 한낮에도 피라미 잔탱이 성화에 그나마 덩어리 골라서 잡아냅니다..
추천 0

7번째붕어 11-06-13 22:29 IP : 1f374bd3f4a8589
떡밥을 쫌 찰지고 딱딱하고 큰게 달아서 잔챙이 입질 버리고 그중 묵직한 입질 기다리시는게..^^
그러다 보면 챔질 타이밍이 감 오실것 같은데요..
추천 0

캡스머프 11-06-14 11:42 IP : 90f5f696c3322c9
저같은 경우 예전에 관리형 다닐때 얘긴데요
아주 나쁜 방법이긴하지만 그럴때 옆에 사람들이 없다면
내낚시대 찌있는곳을 향해 큰 돌덩이를 2~3개 정도 던지고
왼쪽,오른쪽 10m정도 거리에 떡밥을 주먹만하게 던져놉니다.
그럼 잔챙이 입질이 끊어지고 적당한 시간이 지나면 붕어가 오더라구요,
그리구 전혀 입질이 없는날 관리형이건 자연지건 수로건간에 전체적으로
몰황일경우 큰돌맹이를 저멀리 수초라던가 저수지 중앙을 향해 몇게
던지고 시간 지나면 입질이 오더라구요,
잔챙이에 하루종일 시달리는니 다쫗아놓고 지나던 붕어나 잡아야지
하는 심정으로 위와같은 방법을 써봤는데 의외로 반응이 좋더라구요.

단, 옆에 누구 있을땐 하지마세요, 아시죠?
추천 1

부들과땟장사이 11-06-14 13:07 IP : b0d37a3ca0cf6b2
바람비님 말씀에 한표!! 관리형처럼 마릿수가 보장된곳일경우에는 굳이 어분류를 많이 쓸필요가 없을듯싶네요..보리계열의 집어제에 글루텐이 가장어울릴듯 합니다 . 혹 옥내림한번 해보시는 것두 ...
추천 0

엘뱌 11-06-16 06:00 IP : e1e36b8a3be829d
관리형저수지에 낚시할때 오후 3,4시쯤 도착해서 잔챙이가 물던, 입질이 있던 없던 4,5분 간격으로 계속 떡밥 던집니다.

깜깜해지고 몇시간 지나면, 큰고기들이 와서 중후한 찌올림으로 바뀝니다. 얼마나 떡밥을 많이 던졌냐에 따라서 기다리는 시간만

인내하면 찌올림이 좋아지고 마릿수 낚시 가능합니다. 고기들이 회유하면서 님자리앞 떡밥 뿌려진데로 한,두번은 오거든요

저수지에서는 찌맞춤 무겁게 하세요. 저는 수면 일치로 합니다.

저는 예전에 32 쌍포로 많이 했는데, 요즘엔 32,36,32 또는 36,32,28 이렇게 3대를 많이 핍니다.

관리형 저수지에서 원줄도 제 생각엔 그렇게 많은 차이가 있는걸 모르겠습니다. 카본 3.0도 잘올리거든요.

저는 36칸은 카본 3,0 32칸은 모노필라멘트 1,2 2,8칸은 카본 1.5 이렇게 씁니다.

떡밥은 잔챙이가 물던 베스가 물던 동일하게 아쿠아,찐버거,굴르텐 씁니다. 어짜피 결국 큰넘들이 오니깐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