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바닥낚시

· 떡밥낚시, 유료터낚시 등 바닥낚시에 대한 문답 또는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 게시물 성격에 따라 적합한 게시판으로 이동될 수 있습니다.

[질문/답변] 고수님들 붕어 어떻게 끌어내세요?(노하우 전수)

붕어차렷 IP : 2f56af62dc76076 날짜 : 2011-08-09 16:23 조회 : 10443 본문+댓글추천 : 0

어제...괴산 신흥지에 가서 1박하고 왔습니다.
초저녁까지 바람이 심했는데..늦은밤부터 하늘도 개이고
거짓말처럼 바람이 멈추더라구요..정말 아늑한 분위기 에서 오랜만에 낚시를 한것 같습니다.

조과는 놓친 월척(?) 포함해서 8-9치급 마리수 했습니다.

낚시대를 5대(29/32쌍포, 36대)를 펼치고
대간격은 앞쪽 찌 기준 1m 이상 간격을 두고 설치해서 낚시를 했습니다.

20-월척급 붕어를 끌어올리는데...한 5마리정도는 끌어올리다 놓쳤습니다
제마음대로 제어가 안됩니다...중간에 설치한 대는 영락 없이...옆에 낚시대와 매번 엉킨채 끄집어 내고 놓치는것을
반복했습니다, 밤에 혼자서 말그대로 쇼를 했습니다.

새벽에는 월척급 붕어를 긴 시간동안 사투끝에...........
3대 엉키고...거기다가 뜰채까지 엉킴에 한몫을 하면서 한바탕 쑥대밭이 되고
붕어는 붕어대로...좌대 밑으로 들어가더니...소식도 없고

결국...나중에는 엉킨 3대 낚시대 줄 모두끊고
두대로만 한 2m 간격 유지하고
낚시를 했습니다.

도데체...다대편성 하시는 고수님들은 붕어 (저는 20CM 급만 되도 제어가 않됨)를 어케 끌어내시는지...
정말 노하우를 알고 싶습니다.
자세히 좀 알려주세요.....늘 안출하세요....
추천 0

1등! 용선 11-08-09 16:37 IP : 226b4c0c9393770
잘은 모르지만...
초반에 제압을 잘해야 된다고 들었구요...
챔질 후에 낚시대를 머리위로 빨리 올려서 초반에 원하는 방향으로 끌구와서 최대한 빨리 공기를 먹여야 힘이 빠진다고 하더군요.
또한 다대편성에는 제압용이를 위해 약간에 경질대를 피는게 맞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가장 중요한건 대의 선택이 아니라 얼마만큼 제압을 잘하는가의 실력에있겠지요^^
추천 0

2등! 소룡 11-08-09 16:46 IP : 8554d2acb808e10
전 생미끼시 10대(경질대), 유료터 떡밥 4대(연질대) 편성합니다
원줄은 손잡이대에서 30CM정도 잛게...
연질대? 원즐이 길다?
체비를 서술하면 고수님들의 조언이 쏟아 질텐데
대간격만 나와 있어서...
다른 내용은 고수님께 패쓔^^;;
추천 0

3등! 연날리기 11-08-09 17:20 IP : 88afc18425ae6ea
낚시대 성격>> 연질일(제가 사용하는 원다하이옥수) 경우는 제압 하기 힘들지만 경질대(산노을)는 쉽게 제압 가능 하더라구요.

7치 정도까지는 거의 날아오고 그이상은 약간 힘들고 월은 약간더 힘들고....
추천 0

靑風水 11-08-09 17:27 IP : 925b606c462253e
대물낚시 다대 편성 기준으로 본다면...

4호 5호 줄을 쓰는이유중에 하나가 빠른 제어를 하기 위함도 있습니다..

다대 편성시 낚시대 간의 좁은 간격으로 최대한 빨리 붕어를 제압해야 채비 엉키는것을 방지 하기위한 이유도 그중의 하나이지요~

그리고 될수 있으면 원줄도 조금 짧게 쓰시는것도 도움이 됩니다...

줄이 잛아서 손해보는것 보다는 길어서 손해 보는것이 더 많습니다.

그리고 붕어가 작던 크던 우선은 붕어를 수면 위로 오라오게 해서 끌어 내는것이 물속에서 제어 하는것보다 좀더 수월합니다.
추천 0

외로운승부사 11-08-09 17:30 IP : 5e562f8785d4894
본신 ᆢ 후킹됏다싶음 특히 첫수ᆞᆞ
대느낌으로 크다싶음ᆞᆞ
오늘 니가안나오나ᆞᆞ내가 터치나둘중하나심정으로 공기먹이기에 주력함니다ᆞ
추천 0

완전허접조사 11-08-09 17:33 IP : 2d9b6f13bc3ba40
챔질이 어쩡쩡하면 그렇더군요. 수보대에 원줄 거의 손잡이대 끝에서 상표사이에 봉돌 둡니다.그러니까 손잡이로 부터 대략 50~60cm짧게 맵니다. 깊은 수심에서는 물속으로해서 받침대사이로 들어오면 들어 올리나 1.5m이내는 원줄이 가라앉아서 서로 엉키더군요. 그래서 거의 강제 집행합니다. 20짜리는 낚시대 위로 이리저리 날아 다니더군요. 준척급은 딱 받침틀에 쿵. 제 경험이었습니다.
추천 0

붕어의몽 11-08-09 20:59 IP : 6a2c5984cdd7563
낚시TV를 보다보면 열이면 열다 챔질과
동시에 개끌드시 끌어냅니다
물론 대,원줄,목줄,바늘이 튼튼해야 겠지요
추천 0

기루 11-08-09 21:09 IP : 8677c4629d36458
저도 얼마전 옥내림한번해보겠다고중경질대들고설치다 잉어한마리걸려서 옆에세대모두휩쓸고 결국 고기는터져나가고 낚싯대세대만 줄끊었습니다 ㅜㅜ
추천 0

붕어차렷 11-08-09 21:36 IP : 2f56af62dc76076
글올린 붕어차렷인데요..낚시대의 경질, 연질 등이 끌어낼때 영향을 주는군요..
제 낚시대는 신수향 입니다...36대만 보론옥수구요....이 낚시대로는 큰 붕어 끌어낼때..엉킬수 밖에 없나요?
추천 0

한방부르스 11-08-09 21:46 IP : 740cc9f63bb1743
저도 신수향입니다.해마두마리..
원줄짧게 쓰세요.
저는 32기준으로 50정도 짧게 씁니다.

챔질은 박힌 못을 빼듯이 일단 붕어를 띄우세요..
잠깐 붕어가 기절할정도로 챔질을 강하게 하시면
바늘도 좀 더 깊숙히 박히고 붕어가 째지를 못합니다.
추천 0

한방부르스 11-08-09 21:47 IP : 740cc9f63bb1743
맹탕은 손맛보면서 살살 유도해도 되겠지요..
신수향 손맛보면서요..ㅋ
추천 0

바닦낚시올인 11-08-09 22:11 IP : 74d5dd4c1792e19
일단은 최대한...무뽑뜻뽑고난후...수면에 최대한 일찍 띠운다음에...살살 유도를 해야지요...
요즘은 교과서적인게 잘 안되네요 근데...흥분되서 ㅎㅎ
추천 0

꼬앙 11-08-10 05:15 IP : 606b3bf6679d20b
턱걸이 급들은 파라솔 위에 비늘이 붙을 정도라고 하면 어느정도의 챔질인지 아시겠는지요..^^
사실 신수향을 써보진 않고 회사 동호회 분것 몇번 투척 해본적은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는 낚시대 보단 현저히 낭창 거리는것이 사실이었습니다..
저는 스타일상 경질대임에도 불구하고 초리대를 10 ~ 20cm 정도 잘라서 사용중이랍니다..
두손으로 낚시대 바톤대를 잡으시고 낚시대가 부러지나 고기 주둥이가 빠지나 하고 후려 까시면 됩니다..
그러면서 바늘도 뻐드러트려 보시기도 하고 2.3번대도 부러트려 보셔야.. 바늘과 낚시대의 성질을 아실수 있습니다..
또한 줄이 터져 나간다면 이것 또한 교훈이 되기도 합니다..
추천 0

물트림 11-08-10 13:30 IP : d9851d46a60ceb7
아마 원줄이 아주 길 듯 합니다.

그리고 붕어 걸어서 붕어를 자연스럽게 대로 요리를 해야 합니다.

초보일때.. 노련한 조사분들 보단 대편성을 절반 정도 덜 하시는게 맞읍니다.

어짜피 엉키면.. 짜증밖에 안 나옵니다.

그러느니.. 조금 덜 피고 시원하게 꺼 내이소..
추천 0

못나니 11-08-10 14:14 IP : c8ced40082ebe5f
대부분 원줄 애기를 하시네요 ^^:

원줄이야 글쓴분께서 언급을 하지않으셨으니 적당하지 않을까 생각해 보고요..

질문의 요지가 어떻게 효율적으로 붕어를 제어하면서(옆에대 원줄과 엉키지 않으며) 잡아낼수 있는지를

물으신것 같은데...

저는 챔질후 입걸림되면 붕어를 띄우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왜냐면 빨리 띄워서 공기먹여도 월척급정도면 몇번더 물속으로 처박히거나 아니면 째던가 하면서

옆에 대를 넘어가서 엉켜버리더군요.. 거의 십중팔구는 이런식이라 생각을 달리해봤고 달리해본

방법이 물속에서 붕어를 제 발앞으로 살살 대리고 오는 방법입니다..
(부채꼴로 대편성시에만 아니면 동일길이 또는 한호수 밑에 낚시대만 사용시 해당됨을 참고하세요)

물속에서는 옆에대 원줄과 낚시대만 건들고 간섭될뿐이지 타고 넘어가지는 않터군요

따라서 줄끼리 엉키지도 않고요..

이렇게해서 아직 엉켜본적은 없습니다. 나름 손맛도 길게 보고요

위에서 언급했듯이 포인트 여건상 들쑥날숙한 대편성시에는 적용이 안됨을 참고하세요
추천 0

망치® 11-08-11 09:27 IP : 05e2798ab44171a
음... 일단 두손챔질후 만세하듯 양팔을 쭈욱펴시고 낚시대를 뒤로 제끼시면 거의 엉킴없이 잘나오던데요 물론 너무제끼면 대가 부러질수있으니 자기낚시대의 성질은 어느정도 아셔야겠지요..
추천 0

송사리가최대어 11-08-12 00:04 IP : 4be9fba44c6bb7f
무조건 강제집행합니다 챔질하고대략 1~2초안에 36cm(월척)도 날아서 발앞에 떨어진 경험도 있습니다
추천 0

장교수 11-08-12 11:20 IP : 14f729501ade726
통상 수파 3.2칸 쌍포를 펴는데 수초 옆의 3짜 수준 정도의 씨알은 입걸림이 되자 마자 초반에 두 손으로 개 끌듯이 끌어 내야지
안 그러면 옆의 대를 걸어버려 놓칠 수가 있어요.

주로 무미늘 외 바늘을 사용하며 무미늘은 대를 늦춰 주면 빠지는 경우가 있고 옥내림 외엔 쌍바늘은 거의 사용 안 함.
추천 0

초로꾼 11-08-12 12:59 IP : 721bde0470bec80
좋은정보 읽고갑니다~~
배움의 끝이 없군요~~
추천 0

붕따 11-08-12 23:19 IP : 1633ea79ef943bd
강제집행하면 턱걸이급은 파라솔로 직행...... 조금 크다싶으면 발앞까지 일사천리.....
원줄짧은 대물대의 파괴력은 상상 이상입니다. 다만 붕어를 들때 조심하세요. 반드시 봉돌을 한손으로 잡고(정신없어 가끔 까먹지만) 붕어 허리부분(붕어 허리가 어디지...)을 한손으로 받치면서 들어올리면 설걸리거나 붕어 입술 터져 놓치는 낭패를 면합니다.
추천 0

잡았데이 11-08-13 17:34 IP : 87afd60f8971fa5
이렇게 저렇게 당겨보고 안되면 뜰채...
뜰채 없으면 당겨보고 안되면 줄 터준다. ㅋㅋ
추천 0

붕어꾼66 11-08-13 19:07 IP : 31dccf0f975cbd5
후다닥~~

붕어가 정신차리면 안돼잖아요....ㅎ
추천 0

Dogs&Cows 11-08-13 21:59 IP : fe0eae3eb4db467
우와 잘보고 배워 갑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원조배트맨 11-08-14 05:32 IP : 6d34a3fa285564b
가지가지 선배님들의 노하우 재미있습니다.
추천 0

꿈을꾸는월척조사 11-08-14 10:04 IP : c6c9adbcdeea12e
연질대 사용하지만 다 제압합니다. 터 세기로 소문난 학지에서도 35급도 다 제압되더군요^^ 초릿대 좀 잘라내고 줄을 대보다 15센티정도 짧게 묶어서 입질 받을때 두손으로 잡아 챔질합니다. ^^ 그렇지 않으면 못 꺼내니까요 뭐 손맛 볼 시간은 없지요 강제집행합니다. 학지에서 대물낚시를 배워서 그 챔질이 습관이 되어 지금도 그렇게 하구요 ㅎㅎㅎ 그래서 가끔 헛챔질한줄 알고 바늘을 보면 붕어 입술이 걸려있을때도 있습니다. 많이 미안하죠 ㅠ,.ㅠ 암튼 좀 짧게 묶으시고 제압해보세요 제압가능합니다. 연질대로도 가능^^
추천 0

꿈을꾸는월척조사 11-08-14 10:08 IP : c6c9adbcdeea12e
저는 대물 4호 원줄을 사용합니다. 바늘은 12호 정도? 목줄은 3호 그러니 원줄이나 바늘이 터질 염려는 일단 없지요...... 다른 바늘 쓰다가 몇번 바늘이 휘어서 감성돔 바늘도 바꾸었습니다. 그정도 되니 왠만한 잉어도 초반 제압만 하면 다 가능합니다. 수초대에서 붕어도 초반에 제압못하면 못 꺼내구요. 잉어는 대도 못세운적도 많습니다. 휴~~~ 두손으로 온 힘을 다해 챔질.....ㅎㅎㅎ 떡붕어는 그냥 한번에 날아옵니다 ㅎㅎㅎ 물론 월척이상급은 제외하구요....
추천 0

물찬o제비 11-08-14 23:50 IP : 3faaacd3e94e0e2
원줄4호 이상

원줄길이 대 길이보다 30~50짧게

바늘 새우바늘 정도라면 12대 편성 해도 별 무리 없습니다.
순간 강한 챔질과 동시에 붕어 수면으로 최대한 빨리!이러면 놓치는 붕어 없을것입니다!

제비는 섶다리받침대에 보통10대에서 12로 합니다!

손 맛 보심을 축하드립니다!
추천 0

몽땅크레파스백작 11-08-15 01:17 IP : 989035c665489da
댓글 중간 쯤 '못나니' 님 글도 현장에서 많이 참고 하시면 도움 될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전 원다하이옥수 2.2칸 (연질대) / 원다 다이아마스터 티타늄 낚시대 2.6칸 (이건 길어서 느낌이 하이옥수 보다 더 휘어집니다.)
카본 원줄 1.5호 / 2합사 앏은거 /바늘 5~6호 정도 를 주로 쓰고 있습니다.
줄길이는 바늘이 손잡이 아래로 한 5센티정도 내려 갑니다.
보통 많게는 3대정도 기본 2대를 피고 합니다.
이 채비로 최근엔 배스 40Cm 조금 넘는것도 끄집어 냈습니다. ㅜ,ㅜ;

제가 보통 생각하고 있는 방법은.

1. 챔질 후 될 수 있는 한...빠른 시간안에 주변 찌 보다 안쪽으로 고기를 끌고 옵니다. 작은 고기 또는 준척급 일 땐 가능합니다.
2. 챔질 성공 후 고기가 큰 놈이면서 바로 그자리에서 옆으로 짼다. - 대를 약간 옆으로 뉘고 째는 방향으로 일어서서 이동 해봅니다.
이때 위로 들면 아다리 걸리면 대 부러집니다.
3. 옆 낚시대를 원줄로 건드리게 될 상황이다. 그 낚시대를 즉시 반대 손으로 걷어 바늘을 뒤꽂이에 걸어 놓습니다.
4. 그 담엔 살살 대리고 오면 됩니다.

옆으로 고기가 치고 나갈때 월척이상 이거나 힘이 좋을땐 꼭 낚시대를 옆으로 45도 이상 뒤여 주세요.
오른쪽으로 째면 대를 왼쪽으로 누이고,왼쪽으로 째면 오른쪽으로 누이고...째는 방향 쪽으로 초릿대가 끌려가도록.

그러다가 살짝 툭 댕겨 주면 물고기는 거의 항상 째던 방향 반대로 방향을 바꿉니다.

요런 것도 손맛의 일부라고 생각 합니다.

중요한거 하나는, 최대 월척이상 이라 해도...1분~5분 이상 끌면 주변에 방해 되니 그 이하로 손맛 봅니다.
추천 0

하남 11-08-15 13:26 IP : 25dbcb96a99ea97
줄길이를 많이들 말씀 하시네요
저는 별다른 방법 없이 최대한 강제 집행 합니다
손 맛 보려는것 보다는 제가 생각한 채비로
제가 집은 포인트에서 덩어리 올라와 잡는 자기만족?
이랄까요 챔질 느긋하게 하다 손해본적이 믾아서요
같은 대물채비라면 별다른 방법보다는 스피드가 최고같습니다 손맛볼려면 따로 좀 연한걸로. .
수고 하세요
추천 0

고물이 11-08-15 13:27 IP : d6d3bee140467a8
간단히말해서 무식한채비로 하면 된다이겁니다!
저같은경우 원줄 5호 로해서 양어장갈때도 그원줄을 습니다 잉어향어도 들어뽕하니 개안터데요 .
추천 0

걸리면대구리 11-08-15 16:22 IP : dc8da5a74f62486
그냥 간단히 경질대에 들어뽕 하면 날라옴니다... 노하우 같은거 필요없네요..간단한답...
추천 0

아자아자아자 11-08-15 20:40 IP : 4a07d062f273dc9
낚시대가 너무 연질이 아닐까요 또 줄이너무길던가요
연질대는 장애물이없는곳에서 떡밥이나 옥수수 지렁이낚시하실때조쿠요
위에서도 여러회원님들이 말씀하신대로 줄을 짤게매시는게 최선이라생각합니다
추천 0

가을대물 11-08-15 21:33 IP : bffeb099303a5ed
낚시대와 채비길이를 다시점검해보셔야할것같네요.
원인은여러가지이니까 주위에경력있으신분께조언을구해보세요.
추천 0

정수수초 11-08-15 21:57 IP : d01919a508979c8
경질대는 적당히 올려도 강제집행됩니다.
연질대일수록 무식하게 무우뽑듯이 들어 올리십시요.
연질대는 안부러집니다.
개인적으로 잉어 70다마 이상이 아니라면 연질과 경질은 거의 차이가 없다라고 생각합니다.
연질은 들어 올리는 폭을 크게 하면서 만세부르면 됩니다.
대가 잘 안부러지는 장점이 있으니깐요.
경질은 적당히 올리면 됩니다. 근데 경질대는 무우뽑듯이 수초와 올리면 부러질수도 있습니다.

결론은 연질과 경질이 잡을때는 대물수초낚시에 별차이가 없더라는 것입니다.
구멍에 넣을때 투척에서 경질이 유리하더라는 것입니다.
추천 0

평택주진호 11-08-16 19:41 IP : 62deb65fe12af48
무뽑듯이 뽑아서 귀뺨맞을뻔한적 여러번 있어요 ㅋㅋ 그렇게 강제 집행을 해야 대물이 걸려도 고생 안합니다
추천 0

국민신수향 11-08-17 00:09 IP : 5bb1758fff32aa5
전떡밥낚시만합니다.ㅎㅎ 대물낚시하고는 다른데
연질인 신수향쓰고있고요 음 사람들이 낭창거린다
앞치기가 잘안된다 재압이쉽지않다고 마니하는데
저는만족하고 너무좋습니다 연질이라서 가볍고 손맛이더죽인다고할까요?
원줄도 2호미만으로써서 더욱더 좋습니다 ㅎㅎ
터지는일 거의없습니다 대형 잉어 향어아니면..
앞치기도 아주살짝만 줄을짤게매면 원하는위치 들어갑니다ㅎㅎ
연질에 원줄적당하면 소리윙윙 낚시대울고 줄에 피아노소리납니다ㅎㅎㅎ
그리고 잡히면 천천히 손맛즐기다 끌어내구요 강제집행하면... 아무래도 손맛을좀봐야.
거의3대정도 피고하는데 컨트롤만잘하면 엉키지않아요
추천 0

꽝™ 11-08-17 10:35 IP : 53a6e4040f58788
채비가 엉킨다.

[원인]
1. 낚시대 편성 간격이 좁은 경우,

2. 낚시대 성질이 연질대를 사용해서, 수심이 깊은곳에서 낚시할 경우,

3. 찌를 고정채비를 할경우, 유동채비중 하부 멈춤고무 위치가 봉돌에 가까이에 있을경우,


[해결방법]
1. 낚시대 셑팅 간격을 해당 저수지 여건에 따라 조절하여 셑팅한다.
[맹탕 수심3m이상일경우 최소4대~최대6대만 셑팅]

2. 낚시대 성질을 중경질대 이상으로 사용해서, 초기에 제압을 확실히 하며,
렌딩시 확실히 당겨서 고기의 옆으로 새는것을 방지한다.

3. 유동채비중 하부 멈춤고무를 봉돌에서 약60cm이상으로 이격시킨다.
추천 0

떡밥달인 11-08-19 19:22 IP : 210464352baf5ae
좀 다른 의견일수도 있는데요...
저도 신수향 낚시대만 거의 쓰는 편이고요.
봄철에는 신수향이면 턱걸이까지는 물위에 살짝 떠서 날라올정도로 제압이 용이했으나 수심2미터가 넘어가는 곳에서 낚시를 하다보니 붕어들이 노는 물에 따른 파워가 극과극이더군요.
봄철 수초대 붕어힘이 1이라면 여름철 고수심(수초대에 비해)에서의 파워는 5를 넘는듯합니다.
5치 정도급만 되도 한눈팔다 늦게 챔질하면 바로 사고 나겠더군요.
결론은... 잘은 모르지만서도 계절과 수심에 의한 붕어힘의 문제가 아닐까하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