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새우에 대한 궁금증

백평좌대 IP : e0d33d1ba6e0a62 날짜 : 2024-05-21 20:47 조회 : 4154 본문+댓글추천 : 6

1,ㅡ  외래어종(블루길,베스터)에서는 정말 새우가 살지못하는가?

 

 

2,ㅡ새우는1년에  산란을 몇번이나 하는가?

(어떤분들은 1년에 두번한다고 들었음)

 

궁금합니다,  알려주세요^^

추천 2

1등! 부처핸섬 24-05-21 21:26 IP : 8d80f0c00f21b2c
1.다 잡아먹음
(민물가재도 토종은 외래종(붉은가재)한테 진다꼬ㅡ.,ㅡ;
2.한번 이상은 할거같습니다.
채집할때 씨알작은거 늦은시기까지 나오는거보면
추천 0

2등! 청풍붕어 24-05-21 22:34 IP : 7ef5f94fd3c0e9c
요즘 청풍호에 재생새우가 넘쳐 납니다.
불루길.배스를 가마우지가 다잡아
처먹처먹 해서 그런가 추측해 봅니다.~~^^;
추천 0

3등! 하드락 24-05-22 01:55 IP : 1c1dc0b5736b933
채집망에

징거미.

들어오더군요.
추천 0

S모그 24-05-22 08:14 IP : 80265c247f11b4c
살긴 삽니다. 적어서 그렇지만요. 새우들이 숨어살기 좋은 장애물이 많은 곳은 채집망에도 들어올 정도로 새우가 제법 삽니다.
특히, 징거미새우는 같은 덩치의 물고기와 맞다이? 뜰 정도로 사나워서 개체가 꽤 유지되는...

산란은 조건만 잘 맞으면 계속 하는 것 같다는...

제 어항속 30cm붕어 (암컷만)두마리와 미꾸라지(성별모름solo), 버들치(암컷solo), 갈겨니(암컷solo)는 여태 산란을 단 한번도 한 적이 없고, 포란 조차 한 적이 없구요.
각시붕어들은 수온만 맞으면, 1년 내내 꾸준히 산란하더군요.(어릴적 시골집에서 키우던 토종닭이 생각날 정도로 꾸준히 산란함...)
(낚시미끼용 미끼로 주로 쓰는)줄새우 10여개체 이상을 키우고 있긴한데. 얼마 전 절반개체 정도가 포란해서 알을 털어내서, 직후에는 꽤 많은 유생들이 보였으나. 1cm이상의 개체로 성장한 개체가 불과 2-3마리 뿐인 것 같습니다.(얼핏보니 성체 새우들이 유생들을 잡아먹고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새우들 자체가 수질과 수온에 굉장히 민감한 생물들이라 어항에서도 환경이 맞지 않으면, 불과 2-3일을 살지 못하고 폐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장시간 살면서, 포란하는 것 조차도 힘든 데. 저 나름대로 좋은 어항 환경을 만드는 데 상당한 발전을 했다는.....저 위의 붕어가 사는 어항 안에서 최대 1년 6개월 정도 살다 간 녀석도 있었다는...(끝내 붕어에게 잡아 먹힌...)

다슬기나 우렁이류도 봄과 가을 쯤에 한번씩, 연중 2번 정도 산란을 하는 것 같은데요. 그것도 아마 적정한 수온에 기인한 것 같습니다.
(어항에서는 산란해봤자 붕어들이 다 잡아먹어버림)
생미끼 낚시를 즐겨하면서, 채집망에 들어왔던 새우의 크기분포를 기억해보면, 새우 종류들도 크게 보면 봄과 가을 쯤에 한번씩 하지 않을 지.....
(5~6월쯤에 유독 작은 새우들이 채집망에 많이 들어오고, 10~11월쯤에도 5~6월만큼은 아니지만, 작은 개체가 제법 보이죠.)
추천 3

어인魚人 24-05-22 09:49 IP : b34d19b36e99c1c
개체수가 적어져 잘 안보이지만,
살긴 삽니다~
저도 외래어종 많은곳에서 채집망 넣어보면
간간히 새우가 보입니다.
문제는 씨알이 작더라구요
추천 0

붕어대물낚시 24-05-22 09:52 IP : 8c76c6780bd393a
배스터에도 석축부위나 은폐물부위엔 새우가 서식하고 있습니다

5월말 6월쯤에 전체적으로 산란을 하는걸로 알고있지만
개체수가 부족하면 언제든지 산란한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

잠자는꾼 24-05-22 13:25 IP : 467293023d78106
거의 모든 배스터에도 새우 징거미 살더군요
충주호에는 생각보다 많더라구요
추천 0

토종사랑 24-05-22 15:29 IP : 4822986bf56056f
예전에 갈겨니 있는 토종터에 세우,참붕어가 참 많은곳이 있었죠.

그런데 대부분 그러하듯이 배스가 유입되어 잔챙이들이 많이 없어질시점에

밤낚시후 아침에 물유입구쪽에 잔 물파장으로 요란하더군요

그래서 뭔가 하고 궁금증에 가봤더니~ 세상에나 갈겨니와 배스 치어들이 새우를 포위하고 있더군요

그 치어 배스들이 크면 다음은 지들 차래일지도 모르는데 참 씁쓸하더군요.

그 다음해에 갔을때는 물까지 완벽하게 수돗물에 새우,참붕어는 눈씻고 찾아봐도 볼수 없었습니다.
추천 1

대물의향연 24-05-22 15:40 IP : 9cb347962da93af
유명한 배스탕에 새우 있던데요.

어느 조사분께서 채집망으로 새우 잡아서 붕어 잡으신걸 본적 있습니다.
추천 0

똘이아부지 24-05-22 16:08 IP : 41d37393e1eb605
배스터에도 새우 삽니다
추천 0

실전븅어낚시 24-05-22 16:42 IP : 5519f46f8cf9f12
베스터 블루길터라도 저수지 특징에 따라 토종고기가 씨가마르는 곳이 있는가하면 생태계에서 적당한 공종을 하느냐가 달라지기도 합니다..

계곡에서 특별한 또는 인위적인 요인이 없이 맑은물만들어오는곳 아주 일반적인 저수지는 언젠가는 토종잔챙이가 보이고 어려가지 생물이 늘어나는 곳들이 생깁니다.. 요즘 베스터라 하는 곳들도 10중에 잔챙이 나오는 곳이 예전보다 훨씬 많아 졌다는걸 많이 느낍니다..
이유는 결국 외래종이 최대치까지 늘었다 먹을 것이 없으니 자동줄어들지요 그러면 밑에 개체들이 다시 올라오고..

특수한 저수지 ... 주수원이 강이나 양수형 저수지들.. 이런곳들은 토종계체수가 잘안늡니다... 인위적으로 양수를 하고 이에따른 먹잇감들이 계속 적으로 유입이 되기에 외래종 개체가 버틸수 있는 양분을 계속적으로 공급하지요...

아예씨가 마를수도 있겠지만.. 극소수 살아가는 애들도 있긴해서 통발에 소량 잡히기도 합니다.
추천 0

궁디에붕어문신 24-05-22 18:23 IP : b756b9e789a2de4
삽니다
추천 0

엘리사 24-05-22 22:15 IP : b391546356c1bb7
십니다.
추천 0

백평좌대 24-05-22 23:40 IP : e0d33d1ba6e0a62
모든분들 감사합니다

많은지식을 얻어갑니다
추천 0

말귀뫼 24-05-23 10:01 IP : d335282fed93b5f
배스,블루길 많은 섬진강에서.. 떡밥 개려고 물을 뜨니..
새우가 잡히더군요...

저도 놀랬습니다...아..배스 블루길이 많은데..
새우가 살수도 있구나 하구요..
추천 0

거친번개 24-05-23 12:14 IP : 94896d8a4981ba5
겁나 터센 배스터도 새우 징거미등등 있어요
추천 0

오공쌍정 24-05-23 19:51 IP : 2cee40b31b390a5
배스만 있는데는더러 있긴한데
블루길 있는데는 씨가 마르더군요
추천 0

담여수 24-05-25 00:59 IP : f005234bab57511
배스 터에 새우는 드물게 있기는 한데
블루길 터에는 그야말로 아무것도 없습니다.
추천 0

가을의기도 24-06-01 20:17 IP : 8739e008a17dc37
산다 못 산다로 표현해서 그렇지 베스나 블루길이 유입되지 않은 저수지 밤에 물가에 후레쉬 비춰보면 새우 무지 나와 있었죠
현재 외래종 유입된 저수지 물가에 간혹 불 비춰 봅니다만 참붕어나 새우 찾아보기 힘듭니다
최근에 혹시나 해서 담궈본 새우망에 한마리 달랑 들어왔던데 차마 미끼로 쓸수가 없었어요
바글바글하던 새우,참붕어, 납자루 새우망 넣어봐도 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런 상황이니좀 과장해서 씨가 마른단 소릴하죠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