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낚시꾼은 왕인가? 봉인가?

손마찌마 IP : 5fb398797b17b40 날짜 : 2013-04-24 10:53 조회 : 2203 본문+댓글추천 : 0

낚시를 사랑하고 대물 붕어를 연모하는 월님들! 낚싯대 제 가격주고 사십니까? 혹시 바보 아냐? 하실겁니다.
요즘 신상 낚시대가 연일 쏟아지고 있습니다. 온갖 미사여구를 동원한 광고글, 화려한 도장기술등은 꾼의 가슴을 마치 대물 붕어를 걸었을 때처럼 두근거리게 만듭니다.
문제는 이런 낚시대들의 적정 가격이 얼마냐 하는 겁니다.
낚시점들마다 천차만별 자고 일어나면 몇% D/C니 하면서 꾼들을 전국 최저가 찾아 삼만리하게 하게 만들면서...
신상품을 거의 정가에 산 꾼들을 허탈하게 만듭니다.
제조사님들과 일부 자본가 낚시점주님들!
신상 낚시대 세트로 구입하시는 꾼들 대부분은 대물낚시를 계속 해오던 분들이고 이분들이 일괄 세트로 갈아탑니다. 그리고 가지고 있던 낚시대는 장터나 주위에 분양하면서 신상 낚시대 구입의 일부자금을 마련합니다.저도 일부 장비병이 있어서 ㄱㅇ산업의 ㅈㅅㅈ시리즈 두종류를 두세트씩 초기 모델로 거의 정가에 구입했다가 가격이 폭락에 폭락을 하면서 신상가격이 삼분의 일로 떨어져 완전 헐값에 넘겼습니다.
회사가 곧 망하네 허접 낚시대네 짜장 낚시대네 하는데도 계속 만들어 파는걸 보면 초기 모델의 인기에 얹혀가는 무임승차인지, 무감각인지, 배짱영업인지 헷갈리기만 합니다. 차라리 단종을 시키십시요.그나마 그동안 ㄱㅇ산업의 낚시대를 구입했던 고객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인것같습니다. 횡설수설 했는데요 그 가격에 팔아도 팔리기만 하면 이윤이 남으니 만들고 그만큼 낚시대 거품이 큰거고 낚시꾼은 봉이 되는건가요.
월님들에게 심려를 끼쳐 드렸다면 송구합니다.거품 빼 주시고 적정가격으로 판매 부탁합니다.
추천 0

1등! 이박사2 13-04-24 11:06 IP : dbb075f91f3f3bb
이것저것 다 따져놓고 판매원가 200원~500원 하는 커피를 무슨무슨 커피 전문점에서 한 잔에 5~6천 원에 팝니다.
아웃도어 용품 50~70%가 거품이란 건 다 아시죠?
화장품은 또 어떻습니까. 5천원짜리하고 10만원 짜리하고 성분은 거의 같거나 비슷하다더군요.
그 외 휴대폰을 필두로 각종 가전제품 생산가격은 어떻고요.
車가격도 절대 빼놓을 수 없겠죠?
거기에, 낚시대 생산원가 아시면 기절하실 겁니다.
생산원가로만 따진다면, 최소로 잡아도 70%는 거품일 겁니다.
추천 0

2등! 석천공 13-04-24 11:12 IP : 55e554b1bcc74d2
소비자의 선택몫이 더 큰것
아닐까요?
소비자가 두번다시 안산다면....?
추천 0

3등! 터미박 13-04-24 11:24 IP : 3fee5ac73b313b6
초기에 드림이나 큐를 사셨던 분들의 섭섭한 마음은 충분히 이해가 갑니다

특히 팔려고 장터에 내놓으면 빈정이 상해 그대로 쓰시거나 남에게 줘버린분들도 많습니다

강원산업이 월척특급 프로그램과 2005년 대물낚시붐과 맞물려
드림과 큐로 큰돈을 벌었습니다

당시에도 낚시시장 가격이 흩틀어 졌는데,
강원산업은 타업체와 달리 소매가격을 철저히 통제를 해서
소매점에서 큰 신뢰를 얻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후
후속작들의 불발과 경쟁 제품의 등장,기포 에이에스 문제,공장확장 같은 사업영역을 넓히다 보니
현금이 부족해 가격을 지키는 영업방침이 무너져 버렸습니다

무엇보다 안타까운것은 강원산업 스스로 자초했다는것 입니다

제품개발에 보다 신중하고 제품 마무리에 신경을 써서 내실을 다졌다면
오늘날 드림이나 큐를 현금마련하는 창구로 쓰지는 않았을 겁니다

저도 강원산업의 큐를 여전히 쓰고 있고
강원붕어대는 장대가 좋아 4칸,44칸을 쓰고 있고 강원대물1은 뽕대로 쓰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한사람으로서, 그 동안 경험을 발판으로 보다 내실있게 회사를 이끌어 영원한 강원산업이 되길 바래 봅니다

낚시에서 아니러니 한것은

만드는 조구업체도 파는 동네 낚시가계도 모두 어려운것으로 보아
우리의 생각처럼 낚시대를 만들거나 팔아서 손님에게 봉을 씌운것은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조구제작업체는 어차피 디씨될가격 터무니 없이 가격책정 하지 마시고

소비자도 과연 싼곳만 찾아 다니는게 바람직 한가?도 생각해 보아야 할것 입니다

커피의 공정무역이 있는것처럼 낚시문제도 그런 시선이 필요 할듯 합니다
추천 0

물가의마법사 13-04-24 11:46 IP : 374daf6c69b2703
거의모든공산품의제조원가는4분의1가격이면만들어집니다
일반소비자도자기자신의노동력을4배높게받는다면
가난하지않겠죠
거의모든조구사들이
초도물량
할인제품
이후
일명똥대로전환
이과정을거친다고생각합니다
문제는
중고시에한그물에고기가되어
제돈다주고산대나
50프로할인받고산대나
중고가격은같다는겁니다

해답이없습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