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낚시터를 고르는 방법

붕어고니 IP : df8540bffa5c4af 날짜 : 2017-09-05 10:22 조회 : 10197 본문+댓글추천 : 0

낚시 걸음마 단계입니다
2년전부터 재미를 붙여 손맛터를 1년정도 다니다가 올해부터 노지를 다니는데 이게 만만치가 않습니다
낚시도 배우는입장이지만 낚시터를 찾는 일이 저에겐 정말 어렵더군요
'낚시대백과'란 책도 사서 몇군데 다녀 봤는데 책에서 설명한거랑 현장 도착해서랑은 다르더군요
낚시금지 된곳도 있고, 포인트에 접근자체를 못하는곳도 있고...
이번에도 다녀왔는데 마찬가지였습니다
제가 궁금한것은
집에서 가까운 곳이야 뭐 상관 없으나 1박정도 하는곳의 낚시터를 고를실때
다른분들은 어떤것을 기준으로, 어디에서 정보를 얻어서 가시는지입니다
보시는 모든조사님들 어복이 충만하시길...^^
추천 0

1등! 당찬붕어7 17-09-05 10:25 IP : f531216195cd97e
낚시방 이용하시면
수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추천 0

2등! 한번출조담배두갑 17-09-05 10:26 IP : 8ca4c80fe5867af
포인트선정은 조력수십년 선배님들께도 어려운문제죠
가장쉬운건 적당한 조우회가입후 여러곳을따라다니는것과 가까운낚시점에서 미끼사면서 물어보는것..
결국 여러군데를가보는게 재산입니다
추천 0

3등! ™효천 17-09-05 10:37 IP : b6f2a5bfb7db2b1
낚시일기를 쓰시는 분들이 꽤 계시더군요.
자료가 축적되면 도움이 되겠죠?

지금부터라도 써 보심이.

전 안씁니다.켁
추천 0

하드락 17-09-05 10:38 IP : a5bf3e3d10c36e4
낚시는

낚시하는 행위만을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닙니다.

출조전에 포인트를 먼저 방문하여 자리를 보고

시뮬레이션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들어, 귀동냥 또는 인터넷 등을 통해서

포인트를 얻으셨다면, 낚시대 한대만 들고

미리 방문하여 수심도 찍어보고 바닥도 읽어보고

주변 낚시꾼들이 계신면 정보도 얻고

그렇게 하루 탐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 정도 날 잡아서 주변 50km 정보를 수집하여

포인트탐색 여행?을 즐기시는 것도 좋습니다.
추천 0

랩소◇디 17-09-05 11:03 IP : 7d466348667045d
조력이 쌓이면
자연스레 시기에 따라 가는 낚시터가
정해지더군요
가봤자 잠만자다 오지만요
추천 0

도톨 17-09-05 12:10 IP : 589951a78fa6542
가끔은
잡고기도 잡으러 갑니다.

지금도 잡고기 잡으러 왔고요.
그냥 되는대로 갑니다.
꽝이니까요.
추천 0

붕어고니 17-09-05 13:49 IP : df8540bffa5c4af
시간내어 답변주신 조사님 감사합니다. 이게 하루 이틀에 되는건 아니군요
조언참고하여 즐거운 낚시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보이스피셔맨 17-09-05 16:50 IP : 5e8cc4bb54ea8b9
입질 없을때 휴대폰 매모장에
출전한 저수지에 대해서 대충 정리해둡니다.
거창한 건 아닌데 한 해 두 해 지나니까 쌓이고
다시 읽어보니 새롭고 그렇데요.
추천 0

부산용팔이 17-09-05 19:00 IP : 8b5fa5011724c60
동호회 가입해서 몇번 동출하면 저수지에 관한 정보나 위치 채비 등등 모든게 한번에 해결됩니다. 물론 모임에 참석하셔서 활동도 하시며 선배님들의 조언을 듣고 본인 스타일의 낚시를 만들어 가야겠지요. 저도 초보로 시작해서 지금은 4년째 매주 밤낚시만 다닙니다. 낚시 일기도 쓰다 보니 이제는 저한테 물어보시는 분들이 더 많아졌습니다.
추천 0

스케쳐스영통 17-09-05 20:14 IP : e0e1c02360916af
제게는 아주 좋은 동생이 한명 있어서~~~ㅎㅎㅎㅎㅎ요건 자랑 입니다.
그래도 정해진 출조지 가는길과 집에 오느길에 답사를 하는것도 괜찬은 방법 입니다~~~경로상에 저수지나 수로등등~~~직접 보는게 좋기는 하죠~~~
그래서 출조시에는 국도로 다니고 있습니다.
추천 0

졸때만찌올리네 17-09-06 11:35 IP : 57df6a5ec0467db
저도 관련 책 보고 몇 군데 찾아다녀 봤는데 책에서 설명되어 있는 내용과 현장 도착해서 직접 본 것이 다른 경우가 상당히 많더군요.
말씀하신 것처럼 낚시 금지 된 곳도 있었고, 포인트에 접근 자체를 할 수 없는 곳도 있었고, 수위나 주변 환경이 완전히 생각한것과 다른 경우도 있었고...
직접 가서 눈으로 확인하시는게 베스트이나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이니 만큼, 믿을 만한 정보원을 여러명 확보하시는 것이 첩경인 것 같습니다...^^
추천 0

유연 17-09-06 13:17 IP : 6d7a33177505488
저도 그 책을 봤는데..일단 제가 아는 곳이랑 비교해봤을때 정말 알짜배기 정보들은 없더라고요

거기다가 배수기에 풀들이 자라서 거의 안 맞는거 같더라고요

저는 낚시갈때 지인들이 가는곳 따라갑니다ㅋㅋ
추천 0

붕어고니 17-09-06 13:36 IP : df8540bffa5c4af
아이구~ 이렇게 의견들 주셔서 감사합니다 ^^
내공이 더쌓여야 할듯합니다. ㅎ
추천 0

솟아라찌야 17-09-06 15:34 IP : 3de21b99d21183a
인터넷지도 검색해보시면 지도상에 강이나 저수지 수로 둠벙이 많이 보이죠~
내가 안가본곳 집에서 가까운곳부터 주말에 시간내어 한번씩 가보곤 합니다~
가서 분위기 괜찮으면 대도 담가보고~ 이곳에관한 정보도 인터넛 검색도 해보고~~
그러면서 한곳한곳 나만의 낚시터가 생기곤하죠~
한번은 산속에 저수지 찾아 갔다가 산길 소방도로가 있어서 나의 애마 카니발을 끌고 들어갔는데 차량 바닥이 바위에 찔려
엔진오일이 세어나와 괜찮겠지하고 저수지 둘러보고 내려왔는데 ㅠㅠ
엔진오일이 모두 빠져나와 엔진이 달라붙어 폐차한적도 있어요 ㅠㅠ
그러면서 하나하나 배우는것 같아요~
추천 0

淸水김현배 17-09-06 17:58 IP : c350dba8a0ebf29
낚시방이 빠르죠
아님 직접 찾아 움직이면 적응하셔야
합니다
추천 0

4치조사 17-09-06 19:26 IP : 8d0ba5722ec6e45
저같은 경우는 다음지도나 네이버 지도로 강계나 수로 저수지등을 살펴 본뒤

낚시 금지 구역인지 확인해보고

장소를 정하면 최소 5번 이상 연속 출조 하여 생자리도 파보고

기존 낚시한 흔적있는곳에서도 해보며 그곳에 대해 공부?

한뒤 조금씩 여려 노지낚시터들을 알아갔습니다

그러다 이제 알게된 곳들이 많아지는 머리만 아프네요

어디로 갈지 ^^;;

한방터 자주가다 손맛이 그리우면 토종터로 가서 잔잔한 손맛보고

토종터에서 잔씨알에 시달리면 다시 한방터로 가고 ^^
추천 0

청춘아9728 17-09-06 19:53 IP : 93a47cbfeb350d7
일단 담력부터 키워야 합니다
산속 소류지 붕어 많다는 정보듣고 날밝은 저녁에 올라가 혼자뿐인 소류지 전 펼쳐놓고 슬슬 어두워지자 소름돋고 오금이 저려오는데
나중에 헛게 다 보이고 장비고ㅗ 뭐고 다 놔놓고 밑에 마을까지 줄행랑 쳐
차안에서 바들바들 떨다 담날 날새고 올라간적 한두번이 아닙니다
추천 0

우비 17-09-06 21:46 IP : b6234e5c7465c1f
조력이 좋고 어복이 있는분 따라 다니면서 벤쳐마킹 하면 고수가 될듯 핲니다 ㅋㅋㅋ
밥하고, 고기굽고, 1년은 해야 될 뜻 하네요
화이팅 대물상면 하세요
추천 0

민물사랑777 17-09-06 21:46 IP : bb73abb2254699a
음, 시간이 해결할 것을 미리 확땡겨 알려면 공부가 필요 할듯 합니다. 책사서 보는 방법 그나마 조금 은 감잡는데 유리합니다. 송귀섭님이 쓰신 낚시 책 있습니다. 3권짜리요 아주 기초 정도는 섭득 가능 하실겁니다. 그렇다고 현장과 꼭 일치 하진 않습니다 만은 도움 될듯합니다. 전 25년 낚시 다니고 있고 대구 토박이입니다. 그나마 그책이 가장 정석일듯 합니다. 나머지는 걍 스윽 훌터보는 정도 이구여. 20년 정도 하신 조사분들은 그 자리에서 바로 모두 읽을 정도로 그림 많이 설명 간단하게되어 있고, 대충 다아는 내용 이지만 초보분들에게는 아주 유용한 내용 일겁니다. 계절별, 저수지의종류, 저수지별 포인트 읽는법, 물색, 미끼, 장비(찌의종류와 활용, 낚시대종류,미끼활용,떡밥등등) 민물낚시에 필요한 기초는 다있어요....
추천 0

민물사랑777 17-09-06 21:59 IP : bb73abb2254699a
송귀섭님의 낚시책을 다습득한 후에는 지금은 고인이 되신 서찬수님의 인터넷 강의, 갓 낚시로 유명하죠 , 경북,경남지방의 특색을 가장 정확히 설명되어 있고, 난이도가 중 이상을 알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게절과 시간대별 새우의 이동과 대어들의 이동포인트 , 도로가 가로등 밑은 불빛에 적응되어있으니 걱정 하지 말아라/!!! , 아주 갈수기 저수지 대어 포인트와 공략 , 늦가을 지렁이 활용, 등등,, 잘 설명 되어 있지요,,, 이다음은 행낚(행복한낚시)의 동영상과 다음주 예보를 수시로 익혀서 감잡으면 어지간히 저수지 가면 포인트 대충 읽어내구요,,,, 그정도 되면 계절별 내가 자주가는 저수지 생기기 시작합니다... 물론 책이나 동영상정보로만 가능하지 않고 꾸준히 현장낚시를 해야 되겠죠 ```` 제가 아는 한 분은 20년 넘게 유료터만 다녀서 잘모르시더라구요 이밖에 번개치는 날 쏘나기 입질 , 갑작스러운 쏘나기이후 떼잉어입질, 큰비후 저수지 대왕메기 잡는법, 땜장어 포인트 , 한여름 강낚시포인트 잡는법, 떼징거미 포인트는 앞다리 자른 징거미가 답이다. 등등 경험으로 만 익히는 기술은 자주가는 저수지의 특성에 따라 시간이 지나야 익히실수 있을 겁니다.
추천 0

4짜조사양 17-09-06 23:03 IP : dd3fe888a665059
그쪽 지역에 아는동생이나 형님이 있어서, 잘 나온다는 초기 정보 듣고 같이 출조도 합니다.

예전에 출조했을때 조행기를 다시 보고, 참고하기도 합니다.

낚시점 조황은 낚시점 출조 차량팀이 없는곳은 믿을만한 조황이 못 되더군요.
추천 0

붕어고니 17-09-07 09:08 IP : df8540bffa5c4af
많으신분들께서 조언을 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여러의견 참고해서 하나씩 배워나가도록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대물조행 17-09-07 15:36 IP : b7ea296c05ece1a
출조지 정보에 익숙치않으시면 현지 낚시점에서
미끼사면서 낚시점주에게 조언을 구하는게 답입니다
추천 0

단결 17-09-09 23:04 IP : 8830528259a1423
현지 낚시점이 쉽습니다.
그리고 사실 누구나 저수지 선정이 가장 어렵고 고민하는 부분이라 봅니다.
저역시 마찬가지이고 자기의 놀이터 몇개쯤은 경험으로 가지고들 있다보구요.
저수지는 엄청 많고 알고있어도. 거의 편하고 자주가던곳 만 가게 됩니다.
한군데씩 전국일주 하듯이 다니시는분은 의외로 잘없을겁니다.
지인들이나 저역시도 그많은 저수지들이 있다한들. 막상 갈때가 없다 라고 합니다 ㅎㅎ
현지 낚시점에 정보를 얻으시고 지도나 여러 인맥 정보나. 즐긴다생각하고 저수지를 다녀보시고
나만의 놀이터 지역별 몇군데 정도씩 가지고 있으면 좋지않나 싶습니다.
아무정보 전혀없이 가게되면 낭패 보는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물말라. 자원이 거의없다던지. 금지됐다던지. 공사중이라던지. 주민과 마찰생기는 곳이라 낚시가 불가하다던지. 기본정보는 알고 가는게 좋을듯 합니다.
추천 0

추적 17-09-10 16:53 IP : 7d281b8da3c1998
저수지 선정..... 낚시한지 20년이 넘었지만 아직도 고민합니다...

이제는 이런 고민이 당연하고. 고민끝네 선정한 저수지에서 잡으면 기쁨이 두배. 못잡으면 변명거리를 만드는거죠...

...
...
...

시간이 지나면서 저수지 선정만 고민이겠습니다. 그 고민은 낚시라는 행위의 일부 고민입니다.

차근 차근 그 고민도 즐기시고...

한낮에 출발해도 대 필때는 깜깜한 밤에 필때도 있습니다. 이정도되면 저수지 선정에 고민하신겁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