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혹시 아파트 실내 전기배선 전문가님 계실까요?

어심전심 IP : f82c72a2f383d4e 날짜 : 2021-12-05 22:57 조회 : 5551 본문+댓글추천 : 0

신축 입주 5년차 입니다.

4년차 12월에 갑자기 전열 차단기가 떨어지더군요.

관리소 연락해서 어렵게 문제 지점을 찾았어요.

배전반 - 거실 화장실 - 세탁실 - 안방 화장실

이렇게 배선이 된 것이더군요.

세탁실 까지는 차단기 안 떨어지는데 안방 화장실 콘센트만 연결하면 차단기가 떨어집니다.

콘센트 방수되는 것으로 교체해서 연결해도 떨어집니다.

콘센트 5개를 사서 모두 연결해도 다 떨어집니다.

해서 콘센트 연결 안하고 올 1년을 지냈습니다.

비데도 사용 못하고 칫솔 살균기도 사용중지.

아예 안방 화장실 자체를 사용 안했습니다.

가끔 청소만...ㅜ.ㅜ

그렇게 10개월 정도 지난 후에 콘센트를 다시 연결해 봤습니다.

헉..아무 이상 없이 비데도 칫솔 살균기도 정상 작동이 됩니다.

오..굿~!!

그러나 2주 정도 지나서 갑자기 차단기가 떨어집니다.

급히 동네 전기공사 업체 불러서 상담을 했습니다.

업체 말이 세탁실에서 안방화장실에 연결된 배선을 뽑아내고 새 전선을 깔아야 한답니다.

비용은 일단 작업을 해 봐서 반나절에 끝날지 하루가 걸릴지 아니면 아예 배선 교체가 불가능 할 수도 있고 그러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그래서 비용은 작업을 해 봐야 안다고..겁주네요.

신축 아파트만 5번째인데 이런 경우는 처음입니다.

 

전기업체 말이 맞는지..

부담 최소화 하면서 해결하는 방법은 없는지..

전문가님 계시면 조언 좀 부탁드립니다.ㅜ

 

추천 0

1등! 어심전심 21-12-05 23:01 IP : f82c72a2f383d4e
그런데 이런 경우 원인이 무엇일까요?
이런 배선이 4년만에 누전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인가요?
4년동안 멀쩡하다가.
그리고 다시 10개월 후에 누전이 없다가 갑자기 다시 누전이 되는 경우가 아떻게 설명이 되나요?
참나..
추천 0

2등! 하드락 21-12-05 23:06 IP : 79f94d439a5955c
먼저

짐작컨데..

결로에 따른 누전 같습니다만,,,


아파트라면

전기배선이 도면에 따라야 할텐데요.

관리실에 찾아가셔서

관리소장하고 이야기해보시고

시설과장이나 기전기사님 계실겁니다.

분명 자격증 가진 분 계십니다. (수당 나오거등요)

그럼에도 외부기사 불러서 하라고 한다면

어쩔수 없지요.
추천 0

3등! 어심전심 21-12-05 23:11 IP : f82c72a2f383d4e
하드락님.
세탁실에서 거실 바닥으로 배선이 지나와서 안방 화장실로 간 것이더라구요.도면에.
거실 바닥에 결로가 생기나요?
난방호스가 주욱 깔려있는데요..휴..
관리소에서는 하자기간 지나서 업체 불러서 해결해야 한다고만 하네요.ㅜ.ㅜ
추천 0

수달행님한마리만 21-12-05 23:17 IP : 7b67507a95d6a86
저도 똑같은 일로 여기 문의 한적 있습니다 신축 빌라 입주 4~5년정도에 완전 같은 일이 있어서 제가쓴글 보시면 답글중에 해법이 있습니다
추천 0

어심전심 21-12-05 23:17 IP : f82c72a2f383d4e
아..수달님..감사합니다.=3=3
추천 0

수달행님한마리만 21-12-05 23:19 IP : 7b67507a95d6a86
저는 거실 화장실 전기 코드만 쓰면 차단기 내려가고 심지어 다시 올리고 계속 사용하니 차단기에서 불꽃이 튀기도 했었습니다
추천 0

어심전심 21-12-05 23:22 IP : f82c72a2f383d4e
수달님
해당 글을 못찾겠네요
ㅜ.ㅜ
추천 0

수달행님한마리만 21-12-05 23:36 IP : 7b67507a95d6a86
아 죄송합니다 저는 차단기가 떨어지는 부위가 거실 화장실 한곳이라 안에 열어서 돼지코 새걸로 교체하고 안에 여분선이 길어서 당기니 절연테이프로 감아 논곳 잘라서 다시 댓글에 설명 해주시는대로 하니 정상작동 됬습니다.. 다시 읽어보니 그런 방법으로 해결될일이 아닌거 같네요 ㅠ
추천 0

어심전심 21-12-05 23:48 IP : f82c72a2f383d4e
수달님.말씀하신 글 찾아서 읽었어요.
차단기가 습기 많은 전열배선이라 30미리 암페아로 세팅해서 민감하게 반응하는 굥우도 있다는 댓글이 눈에 들어오네요.
그럼 10미리 암페아 정도로 차단기를 바꾸면 해결이 될까요?
이렇게 하면 안방 화장실에서 감전사고가 날 수도 있는 것일까요?
아무리 생각해도 배선이 벗겨졌거나 그런 문제는 아닌 것 같고 차단기가 민감해서 그런 것이 아닐까 싶네요.
차단기 몇 미리 암페아로 교체해 볼까요?
전문가님들 제발 불쌍한 영혼 좀 구원해 주세요.ㅜ.ㅜ
추천 0

하드락 21-12-05 23:49 IP : 79f94d439a5955c
저도

얕은 지식이라

글을 읽고는 다 설명을 못드립니다.

다만,

세탁실과 화장실은

결로에 취약한 곳입니다.

제 짐작일뿐이니 신경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여하튼

기술자가 고쳐야하니 방법을 말씀 드렸을 뿐입니다.

그 기술자를 아파트관리실에서 찾으시면

막걸리값 정도로 해결되기도 합니다 ( 고마우신 분들이죠. )
추천 0

어심전심 21-12-05 23:57 IP : f82c72a2f383d4e
수달님의 글에 달린 꼴통 메신저님의 댓글이 뉸에 들어옵니다.
30미리 암페아가 민감하다면..
그리고 100미리 암페아면 감전돼서 죽을 수도 있다면..
30미리 보다 둔감하되 감전사고가 심각하지 않는 암페아는 어느정도 일까요?
10미리가 안전하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꼴통님 댓글 다시 잘 읽어보니 40미리가 맞는거 같기도 하고..휴..
어느 것이 맞나요..ㅜ.ㅜ
추천 0

초율 21-12-06 00:01 IP : 0de8736217bc918
공장이야 다 노출 배선이라..금방 잡아주겠지만..
벽체속에 있는놈은..마리아프겠네요..
저도..차단기중에 하나가..자꾸 떨어져서..ㅡㆍㅡ
담주에..공장 내부 배선 싹 다 손볼려고
기사님 섭외해놨어요..
추천 0

어심전심 21-12-06 00:03 IP : f82c72a2f383d4e
초율님.진짜 머리 아퍼요.ㅜ.ㅜ
추천 0

Kim스테파노 21-12-06 00:46 IP : 396901ab74fcc33
시설에 구조적 문제없이 시공했다면 그리 어려운 작업은 아닐듯 합니다만...
그냥 전문가에게 맡기는걸 추천합니다...
요즘 인건비가 많이 세죠? ㅎ
인건비 빼면 기술과 재료비는 1/3정도 뿐이 안될겁니다.
잘 해결하시길요..
추천 0

백설공주씨다바리 21-12-06 06:21 IP : a34381955ff124f
전기공사쪽 일하고있습니다.
전선쪽 이상이라면 가전제품사용을
안해도 누전차단기 동작하는게 정상입니다
혹시 예외에 상황도 있을수 있으니
전열기구코드 모두빼시고
차단기투입 그리고 기존사용하시던 비데나 칫솔살균기말고 다른전열기구 한번 꽃아보세요
아무이상없으면 전열기구 이상이니 사용하시면
안되구요.
전문가가 아니시고 메가라는 제품이 없으시니
이렇게 우선 확인해보세요
추천 0

백설공주씨다바리 21-12-06 06:28 IP : a34381955ff124f
궁금하신게 있으시면 전화주셔도 되구요
지역이 대구시면 작으나마 도와드리겠습니다
추천 0

어심전심 21-12-06 09:25 IP : f82c72a2f383d4e
백설공주님.버쁘신데 직접 통화를 해 주셔서 너무나 감사합니다.
아주 큰 도움아 되었습니다.
사업 번창하시고 언제나 건강하세요.꾸벅.
추천 0

간지남요 21-12-06 09:54 IP : 1c229273de46a84
전선의 종류가 여러가지 있는데
HSIX전선이 습에 약합니다..'
한때
이전선이 규격이라서 몇년동안
보완없이 썼네요..
비가오거나 숩하면 누전이 만아서
프랴임이 엄청났던 전서임다..
아마도
그 전선같네요..
왠만하면
갈으셔야 합니다..
두번 고샹안하실라믄...'
습이 있는곳은 정격감도전류
15mA쓰는게 검사 규정임다..
추천 0

뭉실뭉실 21-12-06 10:02 IP : 72aab79b4821b02
첨언합니다
차단기가 제용량이 딸려도 그러더군요
저도하도 떨어져서 용량을 올려 교체했더니 이상없어요
추천 0

안양초보 21-12-06 10:17 IP : fda08cf531ad095
백설공주씨다바리님 말씀처럼 일단 테스트를 해 보심이...
저는 전기기술자는 아닙니다만, 관련해서 어느 정도 투박한 해결책을 제안해 드립니다.
가전제품 전기코드를 다 뽑으실 필요는 없으시구요, 차단기에 보시면 스위치가 종류별(거실 등, 벽 콘센트, 주방, 에어컨, 기타 등등)로 있는데 그 중에서 안방 화장실 관련된 스위치만 제외하고 다른 스위치를 다 내려놓고 테스트 해 보셔도 됩니다.
이렇게 스위치를 하나씩 온오프 하시면서 관련 스위치들이 어디 전기를 담당하는지도 알아 두시면 더 좋구요.
그 담에 안방 화장실 전원만 남기고 다 오프하신 후에(안방 화장실 전원만 따로 동작하지는 않을 겁니다. 다른 곳과도 같이 연결돼 있을 수 있으니 어디가 연결돼 있는지도 같이 확인하시고 그 부분은 따로 전기코드를 제거) 기존 쓰시던 전기기구를 작동시켜서 차단기가 내려가는지 여부와, 다른 전기기구를 연결해서도 같은 방법으로 먼저 확인하세요.
문제가 없다면, 오프한 차단기 중 하나를 올려놓으시고 같은 방법으로....
확실히 이 부분이 문제가 된 게 확인이 되었다면, 다음 순서로 진행하세요.
철물점에 가셔서 차단기에서 안방화장실까지 충분한 길이의 전선(파란색 빨간색 두 가지 정도 같은 길이)을 구매하시고, 감전이나 쇼트 방지를 위해 반드시 해당 안방화장실 차단기 스위치를 내리신 후에 차단기에 연결된 전선 색깔과 안방 화장실 벽 콘센트(드라이버로 나사못 탈거 후에 콘센트 잡아 뺌) 색깔이 같은 걸 확인하세요.
드라이버로 차단기에서 확인된 전선을 분리 후에 사온 전선을 연결합니다. 그리고 안방화장실 콘센트 전선도 분리하고 그쪽도 새로 연결한 후 차단기를 올리시고 테스트 해 보세요.
같은 증상이 안나타나면 이 전선만 바꾸면 되고 아는 지인분 찬스(주변 지인분들 중에 이쪽 계통 아시는 분들 수배)를 이용하시면 그나마 비용이 덜 들구요.
같은 증상이면 좀 더 큰 사안이라 확실히 전문가가 필요합니다.
직접도 가능은 합니다.
전기공사 하시는 분들이 가지고 계시는 것인데, 기존 전선을 교체할 때 이 전선을 꽉 물리게 해서 철사로 꼬은 긴 줄을 이용해서 한쪽 전선에 연결해 놓고 반대쪽 전선을 잡아당기는 방식으로 교체가 가능할 수도 있지만 전선파이프가 각진 곳이 많거나 통로가 좁으면 해결이 쉽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전문가를 부르셔도 아마 이 방법을 먼저 생각하실 겁니다.
이건 반대쪽에서 선을 밀어주고 반대쪽에선 동시에 잡아당기는 거라 반드시 두 사람의 호흡이 필요합니다.
이게 아니면 정말 대공사가 됩니다 ㅠㅠ
모쪼록 잘 해결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안양초보 21-12-06 10:22 IP : fda08cf531ad095
차단기에서 안방화장실까지 긴 줄은 필요없구요, 2~3미터 정도 전선과 그냥 여분의 콘센트 하나만 더 준비하셔서 차단기 옆에서 같이 연결해서 테스트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추천 0

어심전심 21-12-06 12:14 IP : e6685d0ab3938f5
세탁실까지는 정상판정 받았구요.거기서 안방 화장실 까지 온 선이 문제로 결론 났어요.
댓글 주신 모든 님들께 감사드립니다.꾸벅.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