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반려동물 보유세?

하나로 IP : fb4d8ed1c06fd45 날짜 : 2022-06-30 12:32 조회 : 8230 본문+댓글추천 : 34

월척지 유저분들중에도 반려동물 키우는분들이 상당히 많을거로 예상 합니다

저의 집에도  강아지와 고양이가 가족이 된지 6년이 됐네요

정부에서 추진하는 반려동물 보유세에 대해 어떻게 생각들 하시는지......

 

***********************************************************************************************************

정부가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에 보유세나 부담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한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방침에 "장기적으로 유기견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찬성하는 이들과

"세금을 걷게 된다면 부담", "혜택 없는 보유세를 걷는 것보다 병원비 지원이 현실적"이라며

반대하는 입장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추천 2

1등! 맹물회장 22-06-30 12:38 IP : e1e05487898f07e
삭제되었습니다
추천 0

2등! 노지사랑™ 22-06-30 12:48 IP : b8b346b80dbfc88
점점 이상한 사람들이 많아지는군요.
유기견감소?
시행령이 발표되는 순간 더 많이 유기할것 같군요.
그리고 반려견이나 반려묘 전부 세금내고 있습니다.
사료. 간식. 옷. 장난감. 전부 부가세가 10% 붙어있죠.
추천 4

3등! 하드락 22-06-30 12:53 IP : 79f94d439a5955c
어떤

국회의원이

발의 했는지 ...


반려동물로 인하여

가게에 어떤 소득이 생기는지

짐작도 못하겠는데요.


그냥 하는

헛소리라고 생각합니다.
추천 0

두지원 22-06-30 12:57 IP : b7775f648584d13
어려운 문제군요..

어디 까지 반려동물로 볼것인지도..

불분명하고 ..

반려견 반려묘가..거의 대부분 집에 키우는

외국의 사례는 어떤지도.. 궁금하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비율도 궁금하고..

만약 시행 한다면..

논란이 클것으로 보입니다

출처도 궁금하네요
추천 0

목마와숙녀 22-06-30 12:59 IP : 203852549814ca9
유기견 버려지는 한해 숫자
16만 마리
그외 기타등등
전 찾아가지 않는 유기견들
일정기간 지나면 처리하는게
맞다 생각하는 1인 입니다
그걸 방지하기위한 세금
맞다 생각합니다
동물 의료복지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봅니다
추천 4

하나로 22-06-30 13:04 IP : fb4d8ed1c06fd45
삭제되었습니다
추천 2

두지원 22-06-30 13:09 IP : b7775f648584d13
집 사람이 싫어해서 키우지는 못하지만..

버려지는 유기견이 16만마리는

충격적이군요.
추천 0

쩐댚 22-06-30 13:11 IP : 8c7cfe2c797d456
장기적으로는 괜찮아 보이는데..
현시점 천만 반려동물이 유기될 가능성이
더클것 같습니다. 그럼 그 문제는 또 어떻게 해결할지...?
거기에 들어가는 비용도 만만치 않을텐데..

세금좀 제발 그만 ㅠㅠ
추천 2

♡제리♡ 22-06-30 13:11 IP : b02102ced7148fb
ㅋ나라가 참...!
추천 0

당낚시 22-06-30 13:14 IP : 2b91a462d3f627f
서양 중세에 창문세 같네요.
창문의 갯수만큼 세금을 메기던 어처구니 없던 역사.
그래서 건물에 창문을 없이 지었다는 웃푼얘기.
세금내기 힘들어 애완동물을 없애야 할까요?!
웬 미친x 소리 인지원!
벌써 더위먹었나??ㅉㅉㅉㅉㅉ
추천 0

하나로 22-06-30 13:20 IP : fb4d8ed1c06fd45
사료, 미용비, 패드, 간식, 병원비, 의류, 기타 ....
현재도 충분히 비용을 감수하고 동거를 하는데
여기서 세금까지 더 내라 하면....

사장님 나뻐요~~~
추천 0

고지비 22-06-30 13:24 IP : 39f3f56352b19ec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은
소비하는 모든 물건에 10%의 부가세는 기본이고
그제품을 제조하는 기업들이 내는
이런저런 세금이 무시못할 금액으로
나라경제에 이바지를 하고 있다고 봅니다
그런대
세금을 추징해서 유기를 막겠다는
덜떨어진 생각을하는 인간이 있다는 것이
한심하기 짝이 없습니다
반려동물을 유기하는 이유가 뭘까를 고민하고
대책을 만들 생각은 안하고
그저 세금이라는 이름의 삥뜯을 생각만 하는건 아닌지...??
이러다 반려식물에도 세금을 먹인다고 할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면
이나라에 저소득층은
일이나 하고
먹고 싸는일만 해야하는
나라가 되는건 아닐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추천 7

노지사랑™ 22-06-30 13:32 IP : ec3ecd036d6bb7a
고지비님!
반려식물은 제발 이야기 하지마세요.... ㅡ.,ㅡ
그럼 저는 집팔고 차팔고 땅 팔아야 해요..... ^^
추천 0

고지비 22-06-30 13:40 IP : 39f3f56352b19ec
노지님 저도 그래요....^^
개는 리트리버 두마리 뿐이지만
식물은 개수 파악을 안해봤거든요...-_-
추천 0

붕어와춤을 22-06-30 13:55 IP : af9dbbbf3d61f84
반려식물 세받으면 노지님 낚시댕겨야 할듯


목마님 의견에 묻어갑니다.
추천 0

안양초보 22-06-30 14:04 IP : cba29602cd5102b
낚시면허제랑 비슷한 맥락 같습니다.
일부 인간들 때문에 이런 법안이 발의되는 것에 한탄할 뿐입니다.
추천 0

여울사랑 22-06-30 14:20 IP : 8f5b031ddf691cd
어려운 세상 입니다
추천 0

하드락 22-06-30 14:20 IP : 79f94d439a5955c
낚시 허가 또는 면허로 인한

세금과는

결이 많이 다릅니다.


낚시는

국민 전체가

이용하는 하천이나 저수지 등을

개인적으로 이용하니 발생하는 세금이라

시행하는 것에 찬성하고 충분히 공감합니다.

반면,

반려동물(곤충 식물 어류)등은

개인의 공간에

개인의 비용으로 관리하는 겁니다.

그에 따른 비용은 각각의 방법으로

충분히 지불한다는 생각입니다.


산책이나 외출시 밖에 데리고

나가지 않느냐는 의문을 가질 수도 있겠죠.

그럼 통행세 또는 이용료가 되는 겁니다

완전히 다른 문제죠.
추천 1

두바늘채비 22-06-30 14:54 IP : ad502f4c778aafb
조만간에 숨쉬고 살아 있으니 공기세,
하늘 바라보니 시야세
걸어다니니 보행세
집에서 생활하니 주거세
등등 에라이~
공장 대문 앞에 주차 딱지나 때지 말아라,
벌어서 세금 내야한단 말이다!
추천 0

붕어와춤을 22-06-30 14:58 IP : af9dbbbf3d61f84
그래서 어릴때부터 ~세세세~ 노래도 가르쳤잔아요

아침 바람 찬 바람에~~~~~~~~~
추천 1

bjrttl 22-06-30 15:02 IP : c6ae48d8936c099
일부 몰상식한 사람들 때문입니다!

저두 유기묘 2마리 키우고 있습니다.

생후 7일된 고양이 1년 4개월째 키우고 있습니다만

보유세는 아니라고 봅니다.

처음에 어리고 이쁘니 데리고 있다가 성묘나 성견이되고 사고 치고 돈 많이 들어가니 버리는 인간들
반성 해야 합니다!!!

솔직히 반려동물 키우는데 돈 많이들어갑니다

저희집만 해도 자동 화장실에 병원비 간식비.기타비용 장난이 아닙니다!

제발 이쁘다고 귀엽다고 한번 키워봐야지

이런 생각하지 말아주세요.
추천 0

4짜좀보자 22-06-30 15:04 IP : 81bd356ea9cc6fa
음. 당장은 반려동물이 없지만 향후 반려동물과 함께 할 계획은 있습니다.
세금이라는 것 자체가 반감을 불러 오는데 세금이라서가 아니라 이해하기가
쉽지 않네요. 유기 되는 반려 동물들이 걱정이라면 반려동물을 입양하기 전에
심사를 강화하고 최초에 등록 당시 세금을 부과하여 반려동물 정책에 집행을
한다던지 한다면 조금은 이해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유기, 학대하는 사람들에게
좀 더 무거운 징벌을 내렸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추천 0

bjrttl 22-06-30 15:05 IP : c6ae48d8936c099
저희집 막내 입니다.

어미가 버리고가서 젖먹여서 키웠네요.
추천 0

이박사™ 22-06-30 15:05 IP : 8c8af13f418deb0
반려자稅도 냅세다.ㅡ.,ㅡ;
추천 1

낚고보니타이어 22-06-30 15:07 IP : 2affba5e252dc3e
공무원들 공무세좀 걷었으면.ㅋ
오늘도 책상에서 카톡중인 공무원님들 고생이 많으시죵.ㅋ
추천 1

대물도사™ 22-06-30 15:43 IP : 85d7073229c6e61
말그대로 장기적으로 유기견 수가 점차 줄지않을까 라는 예상은되네요
유기견 보호센터 운영비로도 사용될수 있을것이고...
근데 문제는 고유가시대 전기세도 오른다는
현 시점에 개개인 세금부담이 문제네요
추천 0

불타는감자 22-06-30 16:13 IP : 1684f8cbb0b8e8e
ㅡ.,ㅡ^

추천 4

하나로 22-06-30 16:17 IP : fb4d8ed1c06fd45
유기견, 묘가 줄어들거란 생각......
반려동물 키우는 가정이 많이 줄어 들 거란 생각 ...

시간이 흐르면서
들개와 들 고양이가 증가할거란 생각 .....만 해 봅니다
추천 0

낚시의귀신 22-06-30 16:19 IP : c56d01f70a2a2f9
어느 누구의 발상인지 참...
조선후기 세도정치 하에서 이루어졌던 삼정의 문란이 떠오른 것은 지나친 오버랩이겠지요?
백골징포..황구첨정...
추천 1

두바늘채비 22-06-30 16:23 IP : ad502f4c778aafb
한때, 유기견 줄이겠다고 보유견에 칩을 심도록 한적 있습니다.
단속이니 어쩌니,
칩, 그냥 심는것 아닙니다. 돈 줘야합니다.
그럼 아무 동물 병원이나 되냐구요? 아닙니다. 등록 병원에 가야합니다.
그후 어찌되었나요,
tv에도 방송된적 있습니다. 칩의 내용을 삭제해서, 팔아 넘기는 일이 있었죠.
저도 공장에 한 마리 키우고 있습니다.
작년으로 기억합니다.
언제까지 등록 하지 않으면 과태료라고,,,
등록 했습니다, 인터넷 뒤져서 등록 가능 업체 찿아 돈 주고 했습니다.
들어가 보시면 압니다.
반려동물 주민증이네 뭐내, 칩대신이면 목걸이, 거시기 또 뭐 등등 전부 돈입니다.
반려동믈 그냥 키우지 않습니다, 따지고 보면 세금 많이 냅니다.
어릴적 동물 병원 대려가서 기본 접종 하려면 (2~3개월) 싼 곳이 20만 정도 듭니다.
작년에 다리;다쳐 수술비로 60들어갈뻔 했습니다.1주입원조건.
물론 다른 곳에서 저렴히? 했습니다.
기본적으로 먹어야 살죠.
사료비요, 쌀값보다 비쌉니다.
간식이요, 내 간식비보다 비싸서 못 사줍니다.
그렇다고 좋은지 나쁜지 모릅니다.
사료요,가격과 용량을 따져 좋다 그렇지않다 판단 하게됩니다.
싸구려 대용량 먹이고 싶어하는 주인 없습니다.
제 경우 싸고 대용량과 그보다 조금 낫다 싶은거 사서 섞어 먹입니다.
요즘은 장례식장도 있더군요, 기본 30입니다(화장)
여기에 무슨 수의니 관이니,, 유골함이니 등등
부가세 별도입니다.모두 세금냅니다.
오죽하면 개 한마리 키우는 게 애 하나 키우는 것과 같다 할까요.
국민이, 반려동물 키우는 사람들이 봉이 아닙니다.
유기하는 사람들이 잘못된 것이지 키우는 사람이 잘못이 아닙니다.
유기를 줄이고자 한다면 처음 입양조건을 강하게 추진하면 됩니다.
무조건 세금이라는 명목으로 다가가면 안됩니다.
코에걸면 코걸이 귀에걸면 귀걸이.
그냥 나온 말이 아닙니다.
나랏일 보려면 생각이란 것좀 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추천 2

두지원 22-06-30 16:24 IP : b7775f648584d13
붕어와 춤임 댓글이 오늘의 장원입니다
추천 0

쟤시켜알바 22-06-30 16:25 IP : a36b0d6a04a305d
유기 동물이
큰 문제 이기는 한데...

여의도에 있는 ㄷㄱㄹ들로
묘책이 나올까요?????????
추천 0

인형의꿈 22-06-30 17:39 IP : 978322cc8805154
요즘 살만들 하는듯.
개 고양이 기른다?
같이 사는것, 이 맞는듯.
세금이라니? 그 의원 뉘신지 돌+!아닌지 싶네요.
추천 0

청석 22-06-30 18:13 IP : 179be1b02432f69
유기견 유기묘를 불쌍하다고 거두어 키우는 분들한테 빨리 길바닥에 방생하라는거랑 별반 다를게없겠는데요
한해 발생하는 유기동물은 어찌해결할지 그답도 없이 세금걷는거에 두눈 뒤집히지않은거면 그런 어설픈 정책은 만들수 없다고봅니다..
추천 0

글루텐환상배합 22-06-30 18:27 IP : 1e95f1bf45208c8
경유차에 매기는 환경개선부담금을 걷어서, 그동안 얼마나 환경을 개선하는데 썼는지부터 묻고싶군요.

그냥 세금걷자는 생각입니다.
추천 1

마부위침 22-06-30 18:41 IP : b0f98a10e65675a
숨쉰다고 세금 낼듯 하네요
추천 0

영윤 22-06-30 18:47 IP : d3c41e0e13d14b7
저도 강아지 키우지만

세금을떠나 키우는거 자체를
허가?제를 했으면 합니다.

유기견센타 봉사 몇시간 이상수료
라던가

장난감 사듯 쉽게 사니
어려움도 예상못하고 버리고

즉 키울수있는 여건과 자격이 되는
사람만 키우게 하는것이 제일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추천 0

혈뢰 22-06-30 18:51 IP : 5ba5730789f3332
세금이 능사가 아닌데요.. 이래가 세금 저래가 세금.. 참 답답하네요.
처제가 키우던 페르시안 냥이 처제 사정이 생겨 한 2년반 보살피다 다시 처제에게 갔고,
지인분 사정이 생겨 시츄랑 말티즈 한 1년 좀 넘게 돌봐주고 다시 친구에게 갔고,
애 놓기전 6-7년정도 말티즈 키우다가 집사람 애기 출산2개월쯤 전
동네 독거노인분께(기존에 애완견 키우시다가 애완견 사망) 입양 보냈네요.
오랜시간을 키워본건 아니지만 어지간히 애 하나 키우는만큼 돈과 관심이 필요합니다
세금을 부과하면 유기견이 줄어든다??
세금이랑 유기견 줄고 늘고는 크게 연관이 있을까 싶네요
대부분이 정보없이 입양했는데, 비용 및 케어여건이 안되서 유기되는거지.
추천 0

붕어와춤을 22-06-30 19:25 IP : ae9e9484f90acbb
현정부 전정부 싸우까봐 조마조마

했는데

다행입니더
추천 0

강동대봉 22-06-30 20:59 IP : 24f668a079e3db7
보유세 걷어서 석여리놈 술값할거같아서 반대 ..
추천 0

볼빨간갱년기 22-06-30 21:07 IP : dc06ca924bc89d5
도대체 누구발상인가요 반려동물을 물건취급하고 발의한거같은데 도대체가 인간인지 궁금하네요
추천 0

철호파 22-06-30 22:21 IP : 77b2e9746ad6862
흠~~~~~~
반려동물이라~~~~~~
물고기도 동물이니 어항에 백마리쯤 키우면 세금을 얼마 내라고 하려나~~~~~ ㅜㅠ
에휴


돈 없으면 동물도 못 키우는 이 ㅡ
서러운 세상~~~~-.-
추천 0

폼만낚수꾼 22-06-30 22:35 IP : 043ed73b48e3223
부부관계 거시기세도 신설해라~ㅎ
추천 0

필로그 22-07-01 01:22 IP : 3d204343f8f300a
어떤식이든 반려동물의 관리는 필요합니다 개인 관리면 충분하다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국가차윈의 등록제(마이크로칩)등의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의외로 반려견의 산책을 싫어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저도 개들의 영역표시는 눈살을 찌프리게 하더군요. 사람이 소변을 여기저기 뿌리고 다닌다고생각하면.... 반려동물 세금은 다른 나라에서 많이 시행합니다. 특히 독일은 한 인격체처럼 대우해 줍니다. 사고파는 것도 금지입니다. 버스도 돈내고 탈 수 있다고 합니다. 코로나를 겪어봐서 아시겠지만 공동체 안의 개인이란 단절할 수 없는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1800년 후반부터 개에 대한 세금을 독일에서는 걷고 있다네요. 명목은 전염병관리 목적이라네요.
반려동물을 키우시는 분들도 세금을 내고 공공장소에 떳떳하게 다니시는 것도 좋은 방안이라 생각됩니다. 반려견을 키우지 않는 분들의 눈치를 보지 않아도 되게...
추천 0

부처핸섬 22-07-01 01:51 IP : 534125d56b85dc3
세금을 줘야 유기견 줄어드는거 아입니까?
추천 0

잠들면시체 22-07-01 08:13 IP : fe689761ead4368
독일에서는 세금을 냅니다. 맹견같은 경우 안전교육을 이수하면 세금이 1/10이하로 감면해준다더군요. 맹견은 셈이 1년에 백만원단위라 안전교육을 다들 받는다고합니다. 아마 모든 반려동물에 세금을 내는듯합니다. 입양도 정해진 기관에서만 가능한거같구요. 독일은 하루 3번 산책안시키면 벌금도 나온답니다. 빡센나라입니다.
추천 0

동2피싱홀릭 22-07-01 09:26 IP : 6ada30a25f863ee
솔직히 저희 아파트 개 키우시는 분들 보면, 어떻게든 관리가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새벽에도 짖어대고, 산책로에 똥 싸놔서 딴 데 보고 가다가 밟기 일쑤고, 엘베에도 똥 그냥 지려놓고 그냥가고, 기둥 비스무리한 것만 보면 오줌 지려놓고, 애들 지나가면 으르렁거리고, 훈련도 안돼서 주인을 개끌듯이 끌고가려고 하고..
다들 자기네 개는 아니라고 하는데, 그럼 누가 그럴까요?
뭐가됐든 대책은 필요해 보이네요..
추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