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 자유게시판

주간 찌맞춤 야간 찌맞춤

찜니 IP : 64c601331468cff 날짜 : 2023-09-24 19:58 조회 : 6511 본문+댓글추천 : 7

안녕하세요 선배님들

 

제가 주간 야간 찌맞춤 같게하려고

 

주간케미 0.23g짜리사고 야간캐미도 br건전지 포함해서 0.23g짜리로 맞춰보는데요..

 

수조에서 같은 봉돌 부력으로 주간케미 캐미고무 상단에 맞췄는데 야간캐미 끼끼면 찌가잠깁니다..

 

같은g수인데 이럴 수 있는건가요?ㅜ

해결방밥은 없을까요?

추천 1

1등! 부처핸섬 23-09-24 20:36 IP : 610f329849d1b43
야간케미 배터리 뒤집어 주야겸용 쓰시거나
오링으로 가감하셔야죠
유료터 다니시면 서치키시면 케미 안쓰셔도 됩니다
추천 1

2등! 시련의천사 23-09-24 21:15 IP : 18594ed2521a5bb
정확하게 주,야간 케미의 비중이 같은 경우 라면 아마도 찌나 봉돌, 낚시줄, 케미등에 기포가 있고 없고의 차이가 아니까 생각됩니다.

첨에 수조통 물에 들어갈 때 발생된 기포(공기방울)로 부력이 가벼워진 상태였다가 다시 케미 교체후 수조통에 넣을땐 기포가 사라졌다면 무겁게

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해결책은 저의 경우입니다만 주간케미든 야간케미든 찌맞춤 할때 수조통에 찌를 넣은후 케미끝을 잡고 위 아래로 흔들어

줍니다. 물속에서 기포를 없앤다고나 할까...암튼 이렇게 하면 기포가 거의 떨어져 나가더라구요.
추천 0

3등! 물안개낀아침 23-09-24 21:23 IP : 301fd1789ba9a37
저 같은 경우에는 찌밎춤은 그낭 가자마자 물에 1시간 정도 담가놓고 있다가 찌 가 맞춤하고 중간에 한번 더 맞춰요
그리고 최종으로 밤낚시 하기전에 한번 더 맞춰요 총3번을 맞춰서 낚시를해요
그럼 다음에 가도 또 맞출 필요없이 그냥 계속 그 봉돌로 해요
제 경우에는 이렇게 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추천 1

수달행님한마리만 23-09-25 00:03 IP : 9cd876bd7213bcb
저는 채비 새로하면 수조통에서 보통 반목은 따고 현장가서 찌맞춤 다시하는 편인데 그래도 현장가면 잠기거나 수평 정도 나옵니다

0.23그램 주 야간 캐미가 완전 같을수도 없을 뿐더러 무게 감지도 안될정도로 칼날로 봉돌 살살 긁어내도 찌가 오르고 합니다 애초에 0.23그램이라해도 완전 같은무게가 아닌데 100프로 같게는 못마추는게 정상 입니다

저는 주간 기준으로 그냥 맞추고 야간 캐미는 이것저것 막써도 따로 찌맞춤 한다는 말은 처음들어 봤네요 완전 둔하고 예민하고에 차이는 있겠지만 그정도 차이 정도는 그냥 해됩니다
추천 2

소류지백경 23-09-25 00:10 IP : 23ce6f83faeba40
캐미고무 상단이면,
주간 캐미가 부력으로 일부 작용 할 여지가 있다고 보여집니다.

반대로 찌 맞춤 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야간 캐미로 찌맞춤 하시고, 주간 캐미로 점검 하는 정도....

제 경우, 노지 낚시 위주라서
야간 캐미로 찌맞춤하고, 주간 캐미는 g수 같은 거로 구입 후 점검없이 사용합니다.

PS:
저는 야간캐미 찌 반목에서 한목 맞춥니다.
주간캐이든 야간캐미든 수면에 노출 되기 때문에 둘다 무게로 작용해서 동일한 맞춤이 되더군요.

수조 맞춤이시면 찌맞춤시 찌가 내려갈 때 중간 정도에서
찌탑을 손으로 잡았다가 다시 놓아서 천천히 내려가도록 하셔야 오차범위가 줄어듭니다.
(캐미고무 표면 장력이 생각 보다 큽니다.)
추천 0

하드락 23-09-25 00:41 IP : a678643af79b931
쉽지않지요.

0.23g
추천 0

안양초보 23-09-25 06:36 IP : 71419fac41013c0
1. 전자저울에 무게 측정하면 주야간 케미 무게가 다르게 나올 때도 많습니다.
주로 야간케미가 제원 무게보다 더 많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찌맞춤시 찌에 충분히 물을 먹인 후에 부력조절을 하는 것이 오차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수분이 마짝 마른 상태에서 바로 찌맞춤을 하고 나서 시간이 흐르면 찌에 약간이라도
물을 먹게 된 후에는 무겁게 가라앉게 됩니다. 그러니 처음에 주간케미로 맞출 때와
나중에 밤이 돼서 야간케미로 교체할 때 쯤에는 찌가 많이 무거워진 상태가 됩니다.
3. 예민한 맞춤을 원하는 경우에는 케미고무 아래쪽 또는 찌 한목 정도 노출로 맞추고
추후에 오링 등으로 조절하는 게 도움이 됩니다.
4. 양어장 낚시가 아닌 일반 관리형 저수지나 노지에서는 어느 정도 무거운 맞춤이어도
입질 보는 데는 큰 문제는 없습니다.
추천 0

고김사구낚안 23-09-25 08:18 IP : d5641567f254648
제 소견으로는 수조에서 한목 찌를 맞추시면 노지에서는 아마도 원줄이 찌를 누르는 작용을하여서 가라않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특히 카본원줄을 사용하였을때 누르는 힘이 더 작용한다고 봐야겠죠.
그래서 저는 수조에서는 2--3목 정도에 셋팅후 노지에서 찌를 봉돌이 바닥에 찍고 그수심에서 1--2목을 가감해서 낚시를 하고있습니다.
그리고 질문에 답변을 하였지만 그렇게 예민하지 않아도 된다는 1인입니다. 아무쪼록 월님들 항상 어복충만하시고 다가오는 추석명절 잘보내십시요.
추천 0

수우우 23-09-25 09:17 IP : bab45ce0e0a2334
g수가 같더라도 주간케미 부피가 커서 부력이 더 클 것 같습니다.
다행이 야간케미 부력이 낮으니 그냥 사용하셔도 될 것 같아요.
추천 0

응디혀기 23-09-25 10:59 IP : 725d5f07b3cd9d2
부력과 침력의 차이에서 오는듯 합니다.
저의 추측으로는 케미고무 속 공기의 량이 각각 달라서 오는 현상 같읍니다.
확인을 위해서는 케미고무 상단이 아닌 케미고무 하단이나 1목에 맞춰서 확인 해보심이.....
추천 0

大物꾼™ 23-09-25 11:16 IP : fbe5de80b13fce8
제가 어제겪은 일과 같은 경험을 하셨네요

수조통 보다는 현장 찌맞춤을 권해 드리고 싶습니다

주간캐미로 부력을 맞추고 야간캐미를 끼고 낚시를 하였었습니다

한데, 야간에 찌가 바닥을 못 찾았다는 생각이 들어 0점을 다시 맞추어 보니

찌가 떠 있더군요

야간캐미를 달고 다시 찌맞춤을 하고나니 확실히 알겠더군요

같은 부력의 주간캐미와 야간캐미 사이에도 부력의 차이가 확실히 있단것을...

야간캐미로 다시 찌맞춤 하시기를 권해 드립니다
추천 1

jys 23-09-25 12:27 IP : e01892e47253a2f
주간케미 와 야간케미 표면장력 때문 일수도 있습니다

주간케미 와 야간케미 무게 가 같더라도 부피의 질량은

다르기에 케미를 끼우고 케미의 윗부분 딸깍 찌마춤 을

하면 주간케미 와 야간케미 의 표면장력이 다르기 때문에

똑같은 수심에서 주간케미 로 한목을 내고 했다면 야간케미

로 교체를 하게 된다면 2~3목 나올겁니다

찌 맞추실때 케미를 끼우고 케미 고무밑분에 딸깍 맞춤 하시면 되실 겁니다
더 쉬운 방법이 있는데 글로 설명하기가 힘드네요
추천 0

객주 23-09-25 13:46 IP : da857978d7b622a
같은 무게라도 플라스틱인 주간 케미는 물 위에서 부력으로 작용 하고 전자케미는 전지 무게 때문에 침력으로 작용 해서 그렇습니다

낮 낚시에는 주간케미로 케미 고무가 나오게 맞처서 쓰면 야간 케미 끼워도 케미 끝이 나옵니다
추천 1

S모그 23-09-25 15:46 IP : 0a54acf04549ce1
[1] 수조에서 찌맞춤을 했다. 원줄의 무게(생각보다 많이? 무겁습니다.)가 감안되지 않았으니, 수조통에서 찌맞춤 하신 것 보다 (원줄의 무게 만큼)무겁습니다.

[2] 저울에 올려서 잰 무게가 주간캐미와 전자캐미의 무게가 서로 같다 할지라도
물에 잠겨 들어가는 순간 물의 부력영향을 받게 되어, '부피'가 큰 쪽이 그에 비례하여 많이 부력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수조에서 찌맞춤 했을 때 캐미 고무 위쪽이 수면 아래로 잠기게 하려면,
(주간캐미 머리 부분의 부피 VS 전자캐미 머리부분)의 부피에 해당하는 물의 무게값이 추가 되어야 합니다만.

[3] 채비하신 원줄의 무게가 전자캐미의 머리가 수중으로 가라앉을 정도의 충분한 무게라서 전자캐미는 물속에 가라앉은 것이고,
주간캐미의 머리부분은 상당히 부피가 커서 원줄의 무게가 추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주간캐미를 끼웠을 때는 가라앉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 공기 중에서 저울에 올려 나온 무게 값은 공기 중의 무게이고, 그 물체들이 물속에 들어가는 순간 물의 부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혀다른 무게값을 가지게 됩니다. 공기중에서 100kg짜리 쇳덩이 추와 100kg짜리 쇳덩이로 최대한 크게 만든 공은 물속에 던져지는 순간, 전자는 그냥 무서운 속도로 가라앉겠지만, 후자는 (물의 부력을 받을) 부피가 훨씬 더 크기 때문에 바다에 떠 있는 철로 만든 배들과 다름없이 뜨게 될 공산이 매우 크죠.
추천 0

2칸대최고 23-09-25 16:57 IP : c9e876f7a8124c4
물에 뜨는 주간케미 쓰시면 그런 현상이 있더라구요
캐미 꽂이 하단에 맞춰보세요
추천 0

내가좀멋쪄 23-09-25 20:23 IP : 04ff5bff3cfb420
설명들이 엄청 나네요

야간 케미 배터리 무게가 일정하지 않아서 그러네요 ㅎ
추천 0

크레인2 23-09-25 22:14 IP : 07ecbdc4005c1bb
간단하게
부력차이
야간캐미에 맞춰서
주간엔 오링추가
추천 0

수7124 23-09-25 23:17 IP : 3648e971393da57


부력이 있는 주간케미, 케미꽂이의 상단과 수면 맞춤시에 부력이 쎈 주간 케미라 할지라도 주간케미의 오리지널 부력이 주간케미 몸통 부분이고..

수조 맞춤에 케미꽂이에 끼워서 물에 잠기는 케미 밑부분은 부력이 아주 미미한 정도입니다.
그런데 야간 전자케미로 교체해서 수조 맞춤시에 잠긴다는 것은 이해가 가지않네요.

혹시 주간케미의 빨간 몸통이 약간이라도 물에 잠긴 맞춤이었다면 같은 무게라도 야간 전자케미가 잠길수는 있습니다.

해결 방법은 야간 전자케미로 찌맞춤을 하거나 봉돌과 찌고무만 부착하고 케미고무 하단 맞춤을 하면 됩니다.
추천 0

가을독조 23-09-26 07:28 IP : 23a38c82d89a7d2
잘보고 갑니다^^
추천 0

실전븅어낚시 23-09-26 15:01 IP : 5519f46f8cf9f12
주 야간 케미 무게가 같다는 전재라면
결국에는 찌고무속 공간(공기양) 에 차이가 아닐까 싶습니다... 무게가 같은데 둘다 물속에 잠기는 것도 아니고 찌고무에 찌마춤을 하셨다하니.. 다른의심점은 없는것 같습니다..

주간케미쪽이 꼽히는 부분 길이가 적다하면 빈공간에는 공기가 있을것이고 야간케미가 상대적으로 길어 깊숙히 들어가면 빈공간이 없으니 공기가 없을 것이고...

근데... 그렇다고 저렇게 까지 극단적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데 히안합니다..
추천 0

내일은맑음 23-09-26 16:29 IP : 14167613e542ee4
무게가 같다고 부력이 같은 것은 아닙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주/야간에 같은 채비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캐미 헤드 중에 다른 상품보다 조금 더 큰 사이즈가 있습니다
저의 경우 노안이 온 상태이지만 야간에 사용한 캐미를
주간에는 전지 방향만 바꾸어 계속 사용합니다
제가 사용하는 캐미는 직경 7mm 길이 12mm 입니다
이 정도면 어지간한 시력이라면 주간 시인성에 크게 문제는 없으리라 봅니다
추천 0

연꽃못 23-09-27 18:48 IP : 762678d8d6a5f51
주. 야간 같은부력으로 사용하려면
1.야간케미로 찌맞춤을 한다
2.주간케미를 끼고 부력을 체크한다 이때 부력이 다른것을 알수있음 해결방법 ㅡ 주간케미에 편납을 조금잘라 부력을 맞춘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찌맞춤을 해보니 우리가 생각했던것보다 편납이 많이 들어가는것을 알수 있읍니다 저는 고심끝에 모든주간케미의 하단 구멍에 구리선을 잘라 넣어 부력을 야간케미와 동일하게 맞추어서 사용중입니다 단, 현장 찌맞춤은 항상하는것이 좋아요 구리선은 뺀찌로 한번 눌러서 쓰세요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