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토론방

· 회원이 토론의 이슈를 제안하면 그 주제에 대해 자유로운 댓글을 통해 참여하는 방식의 토론방입니다.
· 이슈의 범위는 제한하지 않으나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자극적이거나 비매너적인 댓글은 삭제됩니다.
· 뉴스기사 및 타 사이트의 게시글을 옮겨와 단순히 게시하는 것, 본인의 의견이 아닌 글은 삭제됩니다.
· 균형있는 게시판 사용과 신중한 이슈 제안을 위해 게시물 횟수를 3일 1회로 제한 합니다.

강바닥 파내 홍수 막는다? "유럽에선 19세기 방식"

짧은대 IP : 2ae4a656f99938d 날짜 : 2010-07-06 07:58 조회 : 3812 본문+댓글추천 : 0

정부의 이른바 '4대강 살리기 사업'이 연일 화두다.
생태적인 위험성과 경제적 효과 등, 숱한 우려와 반대의 목소리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이 사업에 대한 변함없는 강행 의지를 내비쳤다.
그러는 동안 공정률은 어느덧 20%까지 진행됐다.

수질 개선과 홍수 예방 등, 하천 관리의 필요성은 항상 제기돼 왔던 문제다.
그렇다면 '어떤' 하천 관리인가. 국내외 하천 전문가들은 개발 중심의
인공적인 '하천 개조'의 시대는 이미 끝났다고 말한다. 쌓았던 댐과 제방을 허물고,
자연 그대로의 하천으로 되돌리려는 복원 사업도 세계 각지에서 진행 중이다.

반면, 정부는 외국의 사례를 들며 4대강 사업이 '선진국형 하천 관리'라고 주장한다.
같은 사례를 두고, 정부와 4대강 사업 반대론자들이 각각 다른 주장을 하고 있는 셈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외국에서는 이 논란이 이미 20~30년 전부터 진행돼왔다는 점이다.

특히 6.2 지방선거를 통해 충남·경남·광주에 새로운 광역단체장이 취임하며 4대강 사업에 대한 대안 모색이 활발해지고 있다.
무엇이 '생태적'이고 '선진'적인 하천 관리일까.
4대강 사업의 거울로 삼을만한 외국의 하천 복원 사례를 3회에 걸쳐 집중 조명한다.

☞1편: 꼬불꼬불 물길 살리는 세계, '거꾸로 가는' 4대강
[세계의 '강 살리기'①] 댐·제방 허무는 미국의 '생태적 하천 복원'

이명박 대통령이 후보 시절 방문해 한반도대운하 구상을 했다는
'운하의 나라' 독일. 독일서 목도한 운하의 잔영이 채 가시지 않았는지,
최근 파나마를 찾은 이 대통령은 파나마운하를 보면서도 아쉬운 듯
'묘한 여운'을 남겼다지만, 정작 '운하의 본고장'으로 불리는
독일은 강을 본래의 모습으로 되돌리는 하천 '재자연화' 사업에 한창이다.

운하 건설·하천 직강화 등 19세기부터 대규모 하천 개발을 벌여온 독일은 개발 이후
오히려 더 많은 홍수 피해를 겪게 되자, 과거의 오류에서 하천을 다시 자연 상태로 되돌려야 한다는 교훈을 얻게 됐다.
대표적인 것이 스위스·오스트리아·독일·프랑스·네덜란드를 관통하는 중부 유럽의 최대 하천 라인강(Rhine River)이다.

라인강, '홍수 방지' 위해 하천 개발하자 더 많은 홍수

라인강의 직강화는 19세기부터 홍수 예방과 운하 건설을 목적으로 시작됐다.
150년 전의 라인강은 수많은 지류로 갈라져 이 지류들이 끊임없이 나타났다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구불구불한 형태의 자연 하천이었지만,
대규모 준설을 동반한 직강화로 라인강은 독일에서 가장 거대한 '하천 고속도로'의 모습으로 변해갔다.
4대강 사업을 추진하는 우리 정부의 논리대로라면,
독일은 이미 150년 전 물 부족과 홍수에 대비해 수로를 개발한 것이다.

라인강의 이 거대한 '교정' 작업을 지휘한 사람은 독일의 토목 기술자인
요한 툴라(Johann Tulla)였다. 그는 "원칙적으로 무슨 강이든 강바닥은 하나면 족하다'고 선언하며
라인강을 직강화해 단 하나의 수로로 바꾸어 놓았다.

그 결과, 곧게 뻗은 라인강은 과거보다 100㎞ 남짓 짧아졌고,
강의 유속은 전체적으로 3분의 1가량 증가했다.
스위스 바젤에서 칼스루헤까지 유하 시간이 64시간에서 23시간으로 단축될 정도였다.
깊이 2m, 폭 75~100m의 수로를 만들어 바젤까지 배가 다닐 수 있게 한 이 거대한 개발 사업의 결과,
홍수의 파괴력을 약화시키는 습지의 85%가 사라졌다.

강의 유속이 빨라지면서 선박이 바다에 도착하는 시간도 짧아졌지만,
홍수를 막기 위해 시작된 라인강 개발은 오히려 더 많은 홍수를 초래시켰다.
예전에는 200년마다 한번 씩 일어났던 대홍수가
1993년, 1995년, 1998년, 2002년, 2003년 연달아 발생해 막대한 피해가 발생했다.
구불구불한 물길을 곧게 만들고 습지를 없애 강물이 곧장 바다로 흘러내려가도록 한 정비 사업으로 인해,
물의 흐름이 빨라지는 병목 구간과 강 하류에서 홍수가 집중적으로 발생한 것.

라인강 인접 국가들이 30년 이상 걸리는 '라인강 홍수터 복원' 사업에 착수한 것은 이 때문이다.
1950년부터 '라인강 보호를 위한 국제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for the Protection of the Rhine·ICPR)를
구성해 공동의 하천 관리를 모색해온 라인강 인접 국가들은 1996년 '친환경 홍수 방어'와
'자연에 가까운 홍수터 복원'을 목표로 IRP(Integrated Rhine Program·통합라인프로그램)를 수립했다.

이 프로그램으로 라인강의 옛 물길을 복원해 지류와 본류를 다시 연결하고,
제방을 바깥쪽으로 후퇴시켜 홍수 시 넓은 침수 면적을 제공해 유속을 저감하는 방안이 추진됐다.
인공적인 수로와 준설로는 홍수를 다스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
강에게 더 많은 공간을 돌려주는' 하천 관리의 전환이 시작된 것.
이들은 2005년까지 홍수터 25㎢을 복원키로 한 목표를 초과 달성해,
2020년까지 160㎢의 강 주변의 땅을 확보해 홍수터를 복원할 계획이다.

엘베강 대홍수의 교훈…주 정부도 "강에게 더 많은 공간을"

라인강·다뉴브강과 함께 독일의 3대 하천으로 꼽히는 엘베강(Elbe River)의 상황도 비슷하다.
과거 대규모 하천 정비와 직강화로 2002년과 2006년 엘베강에서 '재난 수준'의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자,
독일 니더작센주 환경부는 "홍수터 지정을 통해 강에게 더 많은 공간을 되돌려주는 것만이
유일하게 효과적인 홍수 대책이라는 사실을 깨달았다"며 복원 사업에 착수했다.

그렇게 추진된 것이 엘베강 제 1지류인 하펠강(Havel River) 복원 사업이다.
'유럽 최대의 복원 사업'으로 꼽히는 하펠강 복원은 2005년부터 약 14년에 걸쳐 화물 선박의 운항을 금지하고,
홍수터와 습지를 복원하는 내용으로 추진된다.

특이한 점은 복원 사업의 시행자가 정부나 민간업체 아닌, 독일의 환경단체
'독일자연보호연맹(NABU)'이라는 점이다.
4대강 사업에 대한 현장 조사를 위해 '민관 합동 조사단'을 꾸리자는
환경단체의 요구가 반 년 넘게 벽에 부딪히는 우리의 현실과 대조적이다.

독일인들은 둑과 제방 등 구조물을 제거하고 구하도(舊河道·예전에는 물이 흐르던 하천이었으나,
물이 말라 흐르지 않고 물이 흐르던 흔적만 남아 있는 지형)를 복원하는 이 사업을 통해,
그간 선박 운항으로 평평해졌던 하펠강의 수심과 폭을 다시 자연 그대로의 형태로 되돌릴 것을 기대하고 있다.
하천의 폭과 수심이 다양해야 하천 생태계 역시 건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역시 최대 6m 깊이로 691㎞에 이르는 강바닥을 일정하게 준설하는 한국의 4대강 사업과는 대조적인 부분이다.

"준설이 '신개념 홍수 방어'? 그런 나라는 어디에도 없다"

흥미로운 것은 4대강 사업을 추진하는 국토해양부 역시
독일의 강 복원 사례를 4대강 사업의 '본보기'로 꼽고 있다는 점이다.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의 4대강 홍보 블로그인 '행복 4江'에는
독일과 네덜란드의 홍수 방지 대책인 'Room for the River(강에게 더 많은 공간을)'를 소개하며
4대강 사업이 이들과 마찬가지로 '선진국형 치수 대책'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복원에 대한 '해석'은 4대강 사업에 반대하는 환경단체나 하천전문가들과는 정반대다.
정부는 준설과 보 설치를 골자로 하는 4대강 사업으로 강의 '물 그릇'을 확보해,
홍수 방지와 수자원 확보를 동시에 이룰 수 있다고 주장한다.
강을 따라 제방을 높이 쌓는 낡은 방식을 벗어나, 준설로 강바닥을 깊게 파 홍수에 대비하는 '신개념 홍수 방어'를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하천 전문가들은 "준설이 '신개념 홍수 방어'라는 이야기는 전혀 사실 무근"이라고 반박한다.
홍수를 예방하기 위해 강에게 더 많은 공간을 주어야 하는 것은 맞지만, 강을 깊게 파는 준설이 아니라
강의 측면 공간을 늘리는 '홍수터 복원'이 유럽의 21세기형 홍수 방어라는 지적이다.

라인강·엘베강의 사례만 봐도, 제방을 바깥쪽으로 후퇴하고 습지와 홍수터를 복원해 강의 유속을 줄이는
'분산적인 홍수 방어'가 홍수 대책의 골자를 이뤘다. 반면, 한국습지NGO네트워크에 따르면
4대강 사업으로 훼손되는 우리나라의 습지는 애초 정부 발표의 2배인 98곳이며,
이중 45곳은 영구 침수될 위기인 것으로 밝혀졌다. (☞관련 기사:"4대강 사업으로 파괴되는 습지, 정부 발표의 2배")

독일에서 하천생태학을 전공한 기후변화행동연구소 안병옥 소장은 <프레시안>과의 통화에서
"홍수 대책으로 준설을 하는 나라는 세계 어디에도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준설로 홍수를 예방하겠다는
정부의 정책이 신개념은 신개념"이라며 "그런 사례가 있다면 19세기에나 있었을 것"이라고 비판했다.

안병옥 소장은 "강 인근에 제방을 쌓고 농지나 주택을 만들며 인간이 잠식한 땅을 원래의 주인인 강에게 돌려주자는 것이
유럽의 '룸 포더 리버' 정책의 핵심"이라며 "하천 개발로 사라진 홍수터를 복원해 강의 자연스러운
범람을 유도하는 것이 유럽의 홍수 대책이지, 밑으로만 강바닥을 파는 준설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안 소장은 이어 "2002년과 2006년 발생한 엘베강의 대홍수로, 독일은 길게는 몇 백년간 유지해왔던
인위적인 홍수 대책을 반성하고 강 본래의 물길을 되살리고 있다"며
"유럽의 하천 관리 패러다임 자체가 홍수 중심의 대책에서 이제는 자연 보호와
홍수 대책을 결합하는 방향으로 전환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 내용으로
△준설과 구조물 위주의 홍수 대책 폐기
△홍수터 개발 금지 및 제방 후퇴
△소규모 저류지 확보 등 분산적 홍수 방어
△지류 복원 등을 제시했다.

이밖에도 안병옥 소장은 "미국 대다수의 주와 영국·독일·프랑스 등 유럽
국가들은 중금속 오염이 심각한 구간 외에는 원칙적으로 준설을 금지하고 있다"며
"오염원 제거를 위한 준설도 2~5년에 이르는 치밀한 사전 조사와 연구를 통해 조심스럽게 진행하는데,
한국처럼 691㎞ 전 구간을 일괄적으로 준설하는 사례는 어디에도 없다"고 밝혔다.

유럽 하천 개발의 뼈아픈 교훈…"누구도 흐르는 강물을 길들일 수 없다"

이 같은 지적은 외국의 하천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나온다.
<데드라인에 선 기후>, <어느 환경범죄자의 고백> 등 환경과 개발 문제에 대한 광범위한
저술 활동을 벌여온 영국의 과학저술가 프레드 피어스는 최근 국내에 출간된 자신의 책
<강의 죽음>에서 "홍수를 사랑하는 법을 알아야 한다"는 다소 '급진적'인 주장을 내놓는다.

프레드 피어스는 "홍수를 몰아내는 방법은 두 가지"라며 △강에 제방을 쌓고 직강화해
물을 빠른 속도로 바다로 흘려보내는 방법과 △강을 자연의 섭리에 맡기고 비가 그쳐
수위가 낮아질 때까지 그냥 흘려보내는 방법 두 가지를 제시한다.

그는 "과거 토목 기술자의 홍수 방지 시도는 홍수를 일으키려는 음모가 아닌가 의심을 불러일으킬 정도"라며
"오늘날의 홍수 대처는 점점 더 두 번째 방안으로 옮겨가고 있다"고 말한다.
불어난 물을 가둬두는 대신 들판으로 흘러들어가게 하고, 제방을 없애 범람원을
다시 강에게 돌려주는 등, 강물이 넘칠 수 있는 '여유 공간'을 주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그는 한국의 4대강 사업에 대해서도 "한국의 모든 기술자들이 매달리고,
정부에서 가능한 모든 재정을 총동원한다 해도 한국의 주요 강들을 다스린다는 것은 불가능한 목표"라며
"4대강 살리기 사업은 '강 살리기'와는 정반대인 것처럼 보인다.
한국의 지도자들은 지금도 자국의 강물을 콘크리트 수로 속에 가두려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홍수 예방, 수자원 확보 등 어떤 논리를 든다고 해도 '흐르는 강의 혈관만은 막지 말라'는 것.
100여 년 전, 미국이 미시시피강을 정비했을 당시 소설가 마크 트웨인 역시 비슷한 말을 했다.

"그 누구도 거침없이 흐르는 강을 길들일 수는 없다. 이리로 흘러라, 저리로 흘러라하며 복종시킬 수 없다."

8㎞ 복원에 '준비만 10년' 독일 VS 634㎞ '2년 내 완공' 한국



도시를 가로질러 흐르는 강물 위에 수십 마리의 오리 떼가 한가로이 노닐고, 강변의 은빛 모래톱에선 시민들이 일광욕을 즐기고 있다.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 뮌헨시를 가로지르는 이자르강(Isar River)의 모습이다.

내용이 너무 길어서 오늘은 여기까지만 적어 봅니다..

4대 어항 만길 사업... ㅎㅁ....
추천 0

1등! 한강붕어 10-07-06 08:32 IP : eb43cb4684df651
저도 4대강 반대 하지만 너무 많은 퍼온글은 반감을 살수도 있겠네요.

우야둥둥 수고 하셨습읍니다.
추천 0

2등! 집시로 10-07-06 16:29 IP : 89b0990676925e3
장.단이 뚜렷한 사업이죠

오늘 신문을 보니 내년 4대강 사업에 대한 예산이 또 큰 폭으로 확대요청될 것이라 하더군요

아무리 좋은 사업이라도 국민적 동의가 없다면 이는 권력자의 독선이고 그 부담은 국민들의 묷이지요

안하무인격 날뛰는 정치쟁이들의 싹바기지를 확 뜯어 고치는 지혜와 용기가 절실한 지금

우리네는 아직도 당파싸움중이니 이를 어쩔꼬~~~

딱한 일이로세
추천 0

3등! 집시로 10-07-06 16:37 IP : 89b0990676925e3
이슈 토론방의 활로를 모색키 위해 수고하시는 짧은대님께 박수를 보냅니다

다만 정치논쟁을 야기할 수 있는 ..... 그래서 또 뒤죽박죽 헝크러지는 ..... 그런 불상사는 없어야겠지요

건전하면서 서로 동감하고 비교할 수 있는 좋은 얘기들이 많아지길 기대합니다

행복하세요
추천 0

강원붕어대 10-07-06 18:10 IP : 16d137602686089
항상 짧은대님의 글 잘 보고 있습니다.

조심하세요...월척에서 대통령이 하고자 하는일 반대한다고 개인사찰 들어갈지도 모릅니다.

올해 태풍도 2~3개만 영향을준다는데...

4대 어항 사업 이러다가 홍수를 막는데 효과가 있다고 개뻥치는거 아닌가 모르겠네요
추천 0

짧은대 10-07-06 19:08 IP : 6ae68aaa12adf7c
강원붕어님.. 감사 합니다...

당연 사이버 수사대가 있으니 제 글 모니터링하겠죠!!

그리고,당연 지지층도 있으니...

그래도 전 할 말을 꼭하고 싶습니다.

그리고,저 같은 국민이 아닌 서민들이 알권리에 좀 더 노력할까 합니다..

아는 것이 힘인만큼 알아야 무엇을 판단하더라고

좀 더 명확히 할 수가 있다란 생각이 들어서요!!


집시로님.. 넵... 조언 감사 합니다..

한 사람을 침몰 시키는 일보다 좀 더 발전적으로 나라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알아야 다음 대선이나 투표때 누구를 뽑아야

할 지 알아야 할 권리를 조금이남아 나눠 드린다란 생각을 해 봅니다..

만약 다시 이 이슈방에 싸움장이 된다라고 하면 바로 그만 할까 합니다..

저로 인해 또다른 월척 회원 탈퇴자가 생긴다면...

저 또한 다른 사람들에게 피해를 준다란 것이......


올해는 아무래도 태풍의 규모가 많이 커질 듯 싶다란 생각이 듭니다.

항상 안전 출조 하시고 집에 피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추천 0

대갈빡 10-07-06 20:21 IP : 8e0fa42f31d555c
순리 대로.....


언젠가 복구하고 복원할때 몇배의 자금이 투입될것인데...
그래도 원상회복은 절대 못할것이고....

후대의 자손들에게 정말 죄를 짓는것 같습니다..
추천 0

서방 10-07-09 02:26 IP : 781aa8df8fe8368
좋은 글 감사합니다.
추천 0

콜롬보 10-07-11 01:01 IP : 265f5470993116a
물은 흐르는데로 두면 됩니다.
기가 찰노릇 입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