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공통

· 포럼 공통게시판으로서 낚싯대 추천, 비교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곳입니다.

[정보/팁] 낚시대 카본톤수

앗따라비어 IP : 1b2fec153c1c8eb 날짜 : 2015-03-23 20:51 조회 : 17040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대구에 서식중인 맥주를 엄청 좋아하는 앗따라~비어 입니다.^^

낚시대 주재료인 카본섬유에 대해서 궁금해 네이X에 검색해보고 글을 올려 봅니다.


일반적으로 낚시대에 쓰여지는 카본은 20톤~60톤까지 사용이 가능하며 주로 24톤에서 46톤까지 많이 쓰여진다.

현재까지는 46톤 카본이 낚시대 재료로 거의 한계로 여겨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톤 수가 높으면 감도가 좋고 억세지만 부러지기 쉽고 톤 수가 낮을 수록 무겁지만 질긴 낚시대를 만들 수 있습니다.

(고탄성 카본은 특성상 얇게 만들수 있어서 가볍고 탄성력이 우수한 반면 순간적인 힘에 잘 부러지는 단점이 있다.)

카본섬유의 톤수는 인장탄성률을 말한다.

<참고 도표>
jo_014_08280066.jpg

하지만 톤 수가 낚시대의 성질을 전적으로 결정하지는 않는데

그 이유는 카본낚시대라고 이름은 붙어 있지만 사실 많은 첨가물들이 들어가기 때문입니다.

(대표적으로 보론(붕소)이란 첨가물이 들어가면 낚시대의 물성이 월등히 향상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카본원단에 에폭시로 코팅을 한다던지 해서 그 물성을 보완 향상시킵니다.

또한 하나의 낚시대를 부분마다 다른 톤 수의 카본원단으로 제작하여 그 기능성을 추가하기도 합니다.)

또한, 같은 톤수의 카본이라도 그 카본섬유의 균일성과 순도에 따라서 질이 달라진다.

(즉 컴퓨터가 같은 팬티엄이라고 해도 성능이 다르듯 카본 또한 톤수가 같다고 해도 제작 방법의 차이에 따라 값의 차이가 많이 난다.

모 제조사의 40톤 카본 낚시대와 수파이미테이션 낚시대의 40톤 카본이 같이 않다는 이야기이다.)


※결론은 낚시대의 물성에 카본톤수 카본의질이 중요하나 더 중요한건 만드는 과정에서의 기술력,노하우가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심심해서 올렸습니다.
~~~~~ 즐거운 시간 되십시요 ~~~~~
추천 6

1등! 함안낚시 15-03-23 22:20 IP : 9dd8fecaac0ae6e
좋은정보잘들었습니다 글올려주셔서감사합니다~많은도움이됫네요~^^
추천 0

2등! 앗따라비어 15-03-23 22:26 IP : 1b2fec153c1c8eb
결론은 가볍고 질긴낚시대는 만들기 어렵다는 내용이네요.
추천 0

3등! 잡어고수 15-03-24 00:23 IP : 1113bb2c2bbe7e6
역시 제일 튼튼한 낚시대는 낮은 카본톤수로 두껍게 만든 향어대이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옥수수왕◆ 15-03-24 07:49 IP : 8830b68c31cbaed
좋은 정보네요.
감사드립니다.
추천 0

SupaFlex水波 15-03-24 12:35 IP : 959ac7242aa6ef3
톤수와 인장강도가 반비례하는군요...
음...좋은 정보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이명 15-03-24 16:41 IP : cf9367644912de6
톤수보다 중요한것이 고압성형(사실 메질을 적게 사용한다는것뿐 별다른건 없는데 그렇게 표현하고 부르더군요)이게 제일 중요합니다.
그런데 제가 오랜기간 낚시대를 갈아타면서 우리회사 낚시대는 저압성형으로 만들어진 낚시대 입니다. 라고 하는 낚시대 제조사는 본적이 없네요. 비단 한국뿐 아니라 일본회사 미국회사 전부 마찬가지입니다.
얼마나 적은 메지를 사용해서 낚시대를 만들었는가 하는 정확한 기준이 없다보니 그냥 하나같이 우리꺼는 고압성형 또는 초고압성형 이라고 광고하는데.
뭔가 기준이 있었으면 조금이나마 기술적인 부분을 알수있을텐데 말이죠....
추천 0

앗따라비어 15-03-24 17:34 IP : 1b2fec153c1c8eb
정확히는 모르겠지만 대부분의 낚시대들이 여러가지 카본톤수를 적절하게 섞어서 만들지 않을까 생각되어 지네요.
추천 0

바람쏙으로 15-03-24 18:52 IP : cf52937eb38b174
일본낚시대의 경우 46톤으로 광고를해도

짧은척수는 저탄성과 고탄성을 썩어 만든다 들었습나다 긴척으로 갈수록 고탄성카본을 많이 사용하고

세이코 낚시대의 경우는 전척수 그라스섬유를 썩어 만든다던데 얼마나썩는지는 비밀이고요

이러한 이유로 같은 낚시대라도 척수마나 손맛이나 휨새 강도가다다르게 나오고

국산같은경우는 잘모르겠습니다
추천 0

밤하늘엔별 15-03-27 22:15 IP : cb012ed9ba07ef8
낚싯대의 가장 이상적인 카본톤수가 36톤 정도라고 알고있습니다.
질김과 탄성이 가장 적절한 수치라고 하더군요.
여기에 적당한 마디의 두께와 길이, 제조기술이 접목하면 명간이 태어나겠지요~^^
추천 0

빛고을시민 15-03-28 00:31 IP : 9113e80d1ac3f31
노랭이와 밤생이?
추천 0

붕어503 15-03-28 01:16 IP : 97f2cfe11e7e033
낚시대 카본원단 톤수?? 제조사마다 몇톤~몇톤 썼다고.....광고들 ㅋㅋ 다 필요 없죠...그냥 소비자 현혹 하는 광고일뿐~~필드에서 어느정도 검증되고 꾸준히 사랑받는 낚시대들이 명간이겠죠~~~

적당히 가볍고 합리적 가격에 적당히 질기고 도장 좋고 a.s잘되고 그정도면 훌륭하죠..

사실 카본톤수 소비자가 알길없고 조구사 장난질에??? 낚시대 휨새가 같은 칸수인데 몇년지나 덤핑판매 될때면 처음과 확!!!달라져 있어 말많고 탈많은~~케이스가 한둘이 아니죠...

그냥 조구사 양심에 맡기는 수밖에...낚시대 만드는 노하우는 일본 따라가려면 한참~~멀었다 생각합니다...적어도 일본 조구사애덜은 이런 장난질 하지는 않죠...

일본애들은 이런점에선 확실하죠...장인정신하난 배워야 합니다...

제가 일본에 잠시 있으면서 느꼈던점~~낚시용품 정찰제~~100만원이상 물건 구입해도 백원단위까지 철저히 계산...중고물품 거래하는 시장도 정말 양심적으로 거래하고..잡음도 별로 없고요...

도쿄시내를 하루종일 걸어도 담배꽁초 쓰레기 거의 없고~~ 음식점마다 정말 청결하고 알바고 사장이고 할것없이 주어진 시간엔 정말 최선을 다하는 태도...

어쩔수없이 인정~~느끼고 배울점 참~~많았습니다...

전국의 강과 저수지에 생활 쓰레기에 낚시쓰레기에 몸살을 앓고 있고 낚시인이 환경 오염에 주범이라 인식되는 이시기에 인식의 전환이 없으면 규제밖에 없겠죠!!!

조구사들도 금방 뽀록날? 장난질좀 그만하구 장인 정신좀 갖자구요!! 요즘 소비자들 호갱아닙니다...시장에서 도태되지 않으려면 치열해야 하지요...

어려운 시기에도 우리나라 제조업들 건승하길 비는 일인입니다...

p.s 뭔!!! 얘길 중얼~~ 중얼~~술한잔 하고 쓰는 글이라 ㅋㅋㅋㅋ
추천 0

사랑한스푼 15-03-28 05:00 IP : 5fd90bd4655922a
장대는 60.80톤 생산하는 낚시대도있어요
추천 0

앗따라비어 15-03-28 11:46 IP : 1b2fec153c1c8eb
아, 그런가요?

80톤이면 탄성은 좋지만 강도에 문제는 없을런지 궁금하네요.
추천 0

sotang1028 15-03-29 16:27 IP : 29d388c3748fa5e
아직 제대로 된 붕어를 만나보질 못했지만 요즘 낚시대 잉어를 걸어도 파절되는 일 없지 않나요? ^^*
추천 0

dbsehd 15-03-29 19:23 IP : 0be6249c5f3e228
낚싯대 제조사 엔지니어의 말을 빌리자면, 가령 45톤 카본낚싯대라고 하면 전체가 45톤카본이 아니라 그낚싯대에 사용된소재중 가장높은 톤수라는 겁니다. 즉, 고탄성은 잘부러지므로 많이 휘어지는 상단부는 저탄성으로, 고탄성일수록 하단부에만 사용한다는 겁니다.
그러므로 그낚싯대에 사용된 카본중 가장높은 톤수를 이야기하는 거라고 보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당시 원다에 근무하는 분이었는데, 테크노스골드에 50톤카본이 들어가지만, 그러한 기술적인 이유로 하단부에만 들어간다고 하시더군요
추천 0

누구로 15-03-30 18:46 IP : 2afde11be919229
또하나 배우고 갑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