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 공통

· 포럼 공통게시판으로서 낚싯대 추천, 비교 등의 정보가 제공되는 곳입니다.

[친목,자유게시판] 낚시대

한마리만물어봐라 IP : 54fb90f9be6d27b 날짜 : 2018-07-24 18:16 조회 : 6116 본문+댓글추천 : 0

안녕하세요.
더워도 너무 더운 요즘입니다. ^^;;
건강 챙겨가시면서 취미생활 하시길요.

다름이 아니라 월척에서 낚시대 파손사고 및 A/S 글들을 보면서 느낀점을 글로 남깁니다.
먼저 소중한 낚시대 파손으로 마음 상하시고 계시는 월님들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리고 깔끔한 A/S 받기를 기원합니다.

저는 민물낚시도 하지만 바다낚시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여건이 되질 않아 민물낚시가 거의 주가 되고 있지요.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바다낚시의 경우, 낚시대는 어종별, 호수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갯바위 찌낚시대를 기준으로 보면 호수로 나뉘어져 있고 0호 부터 3호 4호로 올라갈수록 낚시대가 빳빳하고 무거워지며 튼튼(?)해집니다.

제가 알기론 낚시대 호수표기는 그 낚시대가 사용할 수 있는 목줄(카본기준)의 가장 낮은 적정호수를 나타내며 이 기준에서 플러스 약1.5호까지는 그 낚시대가 견뎌주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 기준도 오래된 기준이어서 요즘같이 낚시줄 품질이 좋은 시대에는 새로운 기준이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보지만요.
1호 갯바위찌낚시대의 경우, 목줄(카본)의 적정 호수는 1호~2.5호가 되며 원줄은 모노줄 2호~3.5호가 발란스가 어느정도 맞다고 볼 수 있죠. 목줄의 품질에 따라 0.6호까지 사용해보았습니다.

위의 기준으로 낚시를 했을때 만약 대물부시리나 대물참돔 등이 걸릴 경우 8할 이상은 라인(목줄)이 터집니다.
낚시대를 제대로 세우지 못할 정도죠.
고기욕심이 생겨 1호 낚시대에 원줄과 호수를 높여서 사용해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라인이 끊어지지 않고, 매듭이 터지지 않는한 낚시대가 부러질 확률이 높습니다.
즉 낚시대 호수별로 견딜수 있는 하중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외적으로 낚시인의 테크닉(LB릴 사용, 앉았다 일어서기, 위치 이동 등)에 따라 조금 달라질순 있습니다.

이런 원리를 민물낚시에도 적용해보면...
오래전 글라스로드의 경우 낚시대가 무겁고 내구성이 좋아 잉어를 걸면 낚시대를 어깨에 짊어지고 산으로 가면 끌려나온다는 우스갯 소리가 있을 정도로 튼튼했습니다.
그리고 케브라대가 나오고 카본대가 나오면서 민물낚시대는 갈수록 가벼워졌습니다.
반면에 내구성은 떨어졌다고 생각합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업체마다 카본의 함유량과 첨가제 개발, 테이핑 방법의 개발, 각 칸수의 발란스를 조정하여 보완하고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3.2칸대 기준으로 100g 전후의 낚시대는 붕어전용대이고 너무 높은 호수의 원줄을 사용할 경우, 낚시대의 파손이 일어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즉, 고가의 낚시대를 보호하기 위해선 가능한 적정 호수의 원줄 및 목줄을 사용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잉어나 향어의 순간적인 입질, 초릿대보다 그 이상을 과도하게 수면아래에 잠궈두는 경우 등에서 순간 강하게 챔질할 경우, 고탄성의 가벼운 낚시대의 경우 무리가 갈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때 목줄이나 원줄이 끊어져 낚시대의 파손을 막을 수 있어야 합니다.
즉 이러한 결과를 조구사에서 테스트하고 소비자에게 알려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낚시라는 취미에서 일본제품이 인기가 있는 이유는 이러한 SPEC을 고지하고 최대한 준수합니다. 특히 과학적 테스트 자료로 있어보이게끔 소비자를 현혹(?)하고 도장과 마감을 최대한 깔끔하게 하여 더욱 효과를 높입니다.
이런 부분은 정말 국산 조구사가 배워야 할 부분입니다.
예를 들면 낚시대 길이 및 무게의 편차 준수, 카본원재료의 가공 및 테이핑을 최대한 정밀하게 하여 기포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법 등 말이죠.

이런 기본적인 SPEC 부분이 준수된 다음 A/S에 대한 할 말이 있습니다.
기본도 안지키면서 소비자를 탓하는건 조구사 자신들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뿐입니다.
반대로 소비자는요?
기본 SPEC에도 들어가지 않는 제품을 사용하면서 잦은 A/S에 너무 길들여있진 않나 반성해볼 부분도 있습니다.
당연 SPEC을 안지키는 조구사의 입장에선 일단 팔고 묻지마 A/S만 반복할 수 있습니다.
이게 당연시 되면 조구사도 소비자도 마이너스입니다.

결론적으로
낚시대는 제조사가 제시한 SPEC에 맞는지 확인하고,
자신의 낚시스타일과 노리는 어종에 맞게 선택하고,
선택한 낚시대의 특징에 맞게 채비를 하고,
낚시 후 깔끔하게 관리하는게 A/S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날도 더운데 너무 장황하게 썼네요. ^^;
항상 즐낚, 안낚, 깨낚하시고 498 하세요.
추천 2

1등! 밤선비 18-07-24 22:05 IP : 5bf606191e5c2ce
정리를 깔끔하게 잘 해주셨네요.
제원에 충실하고 as를 논해야죠.
추천 0

2등! ★실버스톤★ 18-07-24 22:47 IP : 6b3d594334fbbc6
극히 기초적인, 하지만 간과할수
없는 핵심적인 중요한 내용을
정말 잘 정리해주셨네요.

낚시대와 원줄 목줄 모든게 벨런스가
맞지않음 트러블 이 생기는 원인이
되죠.

간단히 이해를 돕자면 옷도 자신의 체형 이나 칫수에 맞아야 하고
자동차도 중형 차에 대형차 바퀴를
달면 어떨가요.

낚시대도 그 낚시대 성질에 부합한
원줄 목줄 세팅이 100프로는
아니더라도 무리없는 세팅이
되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더운날씨에 모두 모두 안전과
건강에 유의하세요~~~
추천 0

3등! 땡삐1528 18-07-24 23:15 IP : 6950c6285518d21
조구사들은 들어라!!
* 당신들이 올린 제원과 왜틀립니까?
= 32대 제원(중량) 107g 실제중량은 127g ==== 오타입니까? 소비자를 우롱합니까?

소비자들은 후기에 속지마세요
* 신제품 출시후 사용후기를 보시기만 하시고 관심은 1년후에 갖기바랍니다
- 시장에서 충분히 인증이 되었을때 관심보여주세요
추천 0

꾼。고프로 18-07-25 04:13 IP : 32d6831caa9be61
공감가는 좋은 글 잘읽고 갑니다~
조구사는 스펙에 맞게~ 사용자는 용도에 맞게~
추천 0

김포악동 18-07-25 10:17 IP : 0c4df255fe928e4
좋은글입니다 추천드리고갑니다^^
추천 0

S모그 18-07-25 10:44 IP : c3d8410d44d01d6
그냥....
1g이라도 가볍고, 앞치기 잘되면 좋은 낚시대라고만 생각하는
소비자의 저변에 깔린 눈높이가
변태적인 낚시대와 동시에 조구사의 뻥스펙를 양산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낚시대 성능은 일단 제쳐두고
기본 품질이 안되고 기본이하의 낚시대를 생산하면,
낚시대도 아니고, 조구사도 아니라고 생각하고 들어가야 맞는 겁니다.

고질적인
절번편심, 절번 맞물림 오차로 심한 물참현상, 도장들뜸 이런것들 말이죠.
소비자들을 우롱하는 낚시대 길이, 무게 등등으로 뻥스펙이 심한것도 마찬가지구요.

이런 기본 품질이 된 다음에
낚시대 성능이나 AS을 논해야 맞는 겁니다.
추천 0

한번출조담배두갑 18-07-25 11:07 IP : a11cadd7e828561
제 짧은 소견입니다.
낚시대 부러졌다고 A/S요청하는 분들..
붕어대로 상어잡다가 부러졌다고 하는 분 없습니다. 수초나 지구에 걸린거 우격다짐으로 당기다 부러진걸로 무상 요청하는 분 없을겁니다
그런경우 무상요청하는사람도 없을뿐더러 요청하더라도 무상이 아니라고 해도 다 이해할 겁니다.

A/S에 분노하는 분들은 정말 말도 안되게
붕어대로 붕어 월척도 안되는것 잡다가 부러지거나 찌 수심조정하느라 땡겼을때.. 또는 그냥 챔질했는데 후두둑 부러졌을때 입니다.
쓰신 글은 전혀 다른 상황을 얘기하는 것 같습니다.

일산대가 그리 품질이 좋고 기본이 되어있다면 위와 같이 부러졌을때 자체적으로 조사해서 인정하고 A/S를 해줘야지요
누가봐도 제품 불량인걸 무슨 초정밀 엑스레이기계로 봤는데 이상없다라는 말 한마디로 유상으로 처리되고
그 유상마저도 한달씩 걸리는걸 왜 자꾸 국산대 도장문제 길이 문제로 결부시켜 아무 문제없다고 실드치는지 모르겠네요

낚시하러가서 낚시대 도장보다 옵니까? 고기잡고 오지요.
낚시대 부러지면 다음 낚시가면 낚시할 수 있게 A/S가 되야 또 고기를 잡지요
부러진 낚시대 도장 잘됐네 감상하고 부러진 낚시대 길이 재가며 와...제원에 맞게 길이가 딱맞네..이러고 집에 앉아있을겁니까?
추천 0

한마리만물어봐라 18-07-25 14:06 IP : 54fb90f9be6d27b
담배두갑님의 글에 충분히 공감은 합니다.
저의 의도는 일본 제품을 쉴드할 목적은 아니었는데 그리 읽히셨다니 저의 짧은 작문실력을 반성합니다.

저도 정말 안타깝게 생각하는 부분입니다.
소비자가 스스로 과실을 인정하고 수리를 요구하는 경우, 조구사에선 제품이 단종되었더라도 고객만족 차원에서 최대한 A/S를 해줘야된다고 생각합니다.
부품재고가 있다면 최대한 빨리 수리해서 고객을 만족시켜야겠지요.
그리고 제 글의 실제의도가 다르게 전달될 수 있을것 같아 장황하지만 예를 들어보면...

어떤 낚시인이 A라는 낚시대를 구매했습니다. 조금 수고를 하여 제조사에서 제시하는 SPEC에 준하는지 무게, 길이, 도장, 발란스 등 체크합니다.
이상이 없다고 판단하여 필드에서 처음으로 사용을 합니다.
그런데 입질을 받고 챔질을 했는데 고작 7치급 붕어를 잡았는데 낚시대가 부러집니다.
낚시인의 입장에선 황당하기만 합니다.
그래서 제조사에 문의를 합니다.
상황이 이러이러하니 무상으로 A/S를 해달라고 요청을 합니다.
제조사에선 일단 A/S전에 확인을 해야하니 부러진 절번을 보내달라고 합니다.
보내진 절번은 불량테스트를 위해 이것저것 테스트를 합니다. 테스트 결과, 제품 불량이 아닌 소비자과실이라는 제조사의 연락이 옵니다.
자기들 제품은 SPEC에 충족하고 품질테스트를 통과한 제품이며 불량테스트에서도 자기들 불량이라고 할만하게 없다는게 그 근거입니다.

이 상황에서 제3자의 입장에선 위 상황의 진실은 알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실제 당사자가 아니기 때문이죠.
정말 소비자의 과실인지, 아님 제조사가 자신들의 불량을 감추고 거짓말을 하는지 말이죠.
이때 판단근거가 소비자도 측정 가능한 제품 SPEC이고 A낚시대를 구매한 다른 낚시인들의 A/S 경험 후기정도겠죠.
제품 SPEC에 맞지 않는 제품이 많고 다른 사람들도 동일한 현상으로 A/S를 다수 받았다면 낚시인의 말에 설득력이 있겠고,
SPEC에 맞고 극소수의 소비자들에게서 발생한다면 제조사의 주장이 좀더 설득적일거라 생각합니다.

또 다른 낚시인이 B라는 낚시대를 구매합니다.
낚시대 제원을 체크해보니 SPEC보다 길이는 짧고 무게는 무겁습니다.
반품하기도 귀찮고 사용하는데 큰 지장이 없겠다 싶어 사용을 하기로 합니다.
그런데 위 상황과 비슷하게 첫출조에서 낚시대가 부러집니다.
B낚시대 제조사에 자초지정을 설명하니 절대로 그럴리 없다고 합니다.
그 근거를 이야기해보라고 하니 객관적인 자료는 없고 제품이 출고된 이후로 그런일은 단 한건도 없었다고만 합니다.
그래서 소비자가 구입한 제품이 제원보다 오차범위 밖의 길이와 무게다 라고 강력하게(?) 어필하니 그제서야 무상으로 A/S 해준다고 합니다.

우리 월님들이라면 A, B 두 낚시대 중에 어떤 제품을 구매하시겠습니까?
기본을 지키지만 A/S에서 나름 갑질(?)을 하는 제품인가요, 아님 기본은 잘 안지키지만 A/S는 확실한(?) 제품인가요?

혹자는 생각하실수 있습니다.
그럼 제조사들이 SPEC만 지키고 A/S에서 갑질하면 피해는 낚시인이 보는것이 아니냐고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낚시대들이 기본에 충실하다면 소비자들 입장에선 선택의 폭이 넓어지는 것입니다.
기본 때문에 스트레스 받을 일이 없으니까요
기본 이외의 것들, 예를 들면 디자인, 가격, 제조국(국산/일산/중국산), A/S 등 말이죠.
기본에 충실하고 더군다나 국내에서 A/S도 잘되는데 뭣때문에 일산을 쓰겠습니까

국산제품의 기본에 대한 불신이 일산을 찾게 되는것이고 제조사가 갑질을 하더라도 직접적으로 자신이 경험하지 않는 이상 계속 일산 선호가 생기는 것이라 봅니다.
마치 BMW 520D 화재사고가 여러건 발생해도 독일차 구매률이 떨어지지 않는것 처럼요.

제 글의 취지는 절대 일산제품에 대한 옹호가 아닙니다.
조금만 더 신경쓰면 충분이 더 발전할 수 있는 국내 낚시대 제조사에 대한 안타까움이고 충언(?)으로 받아들이시면 좋겠네요.
추천 0

한번출조담배두갑 18-07-25 15:21 IP : a11cadd7e828561
한마리만물어봐라님, 어떻게 하다보니 논쟁이 되어버렸는데 글쓴분께는 악감정이 없다는 점을 미리 말씀드리겠습니다.
일단 지금 게시판들의 분위기가 계속 일산 VS 국산 형국으로 가고 있습니다.
일산 낚시대의 A/S정책에 불만을 표시하는 분들의 생각에 글쓴분께서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고 계신점을을 말해보고자 합니다.
첫번째로 일산낚시대 A/S불만이신분들이 국산이 일산보다 좋다...이건 아닙니다.
모든 분들이 일산 A/S정책에 문제가 있다 라는 문제제기를 하셨는데 다이와 사용자분들이 국산은 제원에 충실하지도 않고 도장도 기술이 없다라고 논제를 이상한 방향으로 끌고 간것이지요.
글쓴분께서 말씀하신것과 같이 국산도 신경쓰고 잘만들면 좋겠지요. A/S잘되는걸 찾아가느냐, 제원에 충실한 낚시대를 찾아가느냐는 소비자의 선택이고요
그러나 분명한것은 일산과 국산을 비교하는것이 아니라 일산의 A/S정책에 문제가 있다라는 것이 포인트이고.. 저포함 많은분들이 A/S좋아졌다라는 평이 생기면 일산
낚시대 살 의향이 충분히 많습니다.

두번째로 원글에서 말씀하셨다시피 바다낚시와 같이 붕어대에도 정해진 한계제원이 있고 일제는 잘 고지해뒀다?
그걸보고 몇호줄을 써야 낚시대가 파손안되고 몇호줄을 쓰면 낚시대 부러지기전에 원줄 끊길것이다 알수 있는 사람 낚시꾼중에 있을까요?
윗 댓글에도 썼다 시피 지금 많은 분들이 낚시대 무리하게 잡아당기고 부러졌다고 해서 불만을 표출하는게 아닙니다.

세번째는 제 개인적인 의견입니다만...
낚시대 부러진 형상만봐도 이게 사용자 부주의인지 제품하자인지 낚시하는사람이면 누구나 알수 있다고 봅니다.
제조사에서 이건 하자가 아니다 뭐다 하는건 자기들도 다 알면서 책임지기 싫어서 하는말이라고 생각하고요
낚시대 부러졌다고 제조사에 얘기하면서 제원과 달라서 부러졌다라고 항의하는사람이 있을거라고는 생각안되네요
추천 0

로또로인생역전 18-07-25 23:45 IP : 73fd29eea63114b
갑분싸라는 말이 요즘 있죠 게시판 어디를 봐도 일산 VS 국산 으로 몰고가는 사람은 다이와 관련 글마다 빠짐없이 글다는 한 두분 밖에 안보이는데 말입니다? 다이와 AS를 옹호하는 사람도 단 한명도 없는데 왜 갑자기 혼자서 분노하면서 일산 대 국산 대결로 간다느니 하는 소리를 하시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다이와 게시판 가보세요 거기서도 다이와 AS 옹호하시는분 한분도 없어요;;; 도대체 누가 다이와 AS 정책을 옹호한다는 것인지? 다이와 AS가 나쁜건 나쁜거고 국산대 제원 사기치는건 사기치게 맞죠 게 어떻게 물타기가 되서 대결구도 된다는 것인지요? 제가 볼땐 절대 다수분들이 국산대는 제원 사기 치는게 진절머리나고 일산대는 제원은 충실해도 AS가 개판이다 이렇게들 보여지는데요? 왜자꾸 국산과 일산이라는 대결구도로 몰아가려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추천 0

Purpleluthien 18-07-25 23:59 IP : ffb8c3bbffdbc4c
제원에 충실한 낚싯대.. 암이와가 최고죠! 제원에 너무나 충실한 나머지 낚싯대 쳐서 넣다가 바톤대가 하캡과 함께 찢어지고 개박살나는 진귀한 파손을 경험할 수 있는 낚싯대.. 초기불량인건 인정하지만, 보증서는 이럴때 쓰는거라는 합리적인 AS정책과 개노답 CS마인드까지 겸비하고 있는 조구사 국내 조구사는 생각도 못하고 따라갈수도 없을겁니다! 물론 수릿대는 살수 있지만 2달 이상 기다려야 하는 건 덤입니다.
추천 0

로또로인생역전 18-07-26 00:08 IP : 73fd29eea63114b
그리고 국산대들이 10년 넘게 제원가지고 장난치는건 엄연히 사기혐의에 가까운 소비자 우롱 형태이고 다이와 AS가 개판인건 제품 외적으로 따로 놓고 볼 사항이지요. 최소한 아예 AS가 안된는 건 아니지 않습니까? 두 가지 사안이 절대적으로 비교할 만한 대상이 아니지요 때문에 당연히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는 국산 조구사들이 더 심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이에 분개한다고 생각합니다만? 상식적으로 단순하게 생각해보세요. 실제 3.9대을 40대로 팔아먹으면서 무게 제원 속여 파는 행위가 나쁩니까? AS가 느리고 무조건 유상인 것이 나쁜 행위입니까? 통상적인 상식을 공유하는 성인이라면 당연히 전자가 더 나쁜 행위라는 걸 누구나 공감할 것입니다.
추천 0

붕어맥스 18-07-26 09:34 IP : c346cd00c974f88
공감하는글이네요..잘보고갑니다!
추천 0

눈개 18-07-26 15:15 IP : 711c4b92a5522af
일산이든 국내산이든 공통적으로 부러질땐 부러집니다 다 거기서 거기입니다 부러진후 as는 잘되어야 하겠지만 부러지지 말아야겠지요 저도 바다낚시를 하지만 손맛을위해 로드 호수도 많이 낮춰 사용하지요 붕어대 가지고 잉향어 잡고 뭐 비슷하죠 감성돔대에 손님고기 참돔이오고 요즘 바닷대도 as때문에 국산대로 많이 돌아서죠 일산은 지네관리 잘못하는거지요 뭘 싸울것도 없고 손에 형편에 맞는거 쓰고 내손에 맞으면 최고죠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