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옥수수내림 외바늘채비

Aramis IP : 3f7fa4149743f95 날짜 : 2010-09-03 13:34 조회 : 34595 본문+댓글추천 : 0

요즘들어 옥수수내림을 외바늘로 운용하시려는 분들이 많은것같습니다.
외바늘 내림낚시가 쉽지만은 않은 방법이라 어지간하면 그냥 쌍바늘 채비를 권해드리고 싶습니다만..
질문도 많고, 하나하나 답글로 달기에는 쉽지가 않아서 짧지만 강좌로 몇자 적어봅니다.

외바늘 내림낚시에서 가장크게 발생할수있는 운용상의 문제가,
대충해서 낚시를 하게될 경우, 목줄이 수직인 어리버리나 홀더가 바닥에 닿아버리기 쉽다는 것입니다.

어리버리가되면 당연히 수직인목줄로 인한 이물감이 커지게되어 입질빈도가 줄어들게됩니다.
또 홀더가 바닥에 닿아버리면 바닥낚시와 다를바 없어지죠.

제대로 할려면, 홀더가 뜨고 목줄은 자연스럽게 슬로프상태가 되어야합니다.

외바늘내림낚시는 깔끔한 입질등으로 일반내림낚시인들이 선호하는 기법이긴하지만,
어디까지나 한대정도 운용하기에 적합한 방법입니다.

그래도 외바늘 내림낚시를 하시려면 이렇게하십시요.

1. 찌맞춤을합니다.

2. 바늘하나의 잔존부력을측정합니다.

찌맞춤한상태에서 바늘을빼고 노출목을확인하시면 됩니다.
맞춤목과 바늘을뺀 노출목의차이가 잔존부력이됩니다.

3. 현장에서 수심측정을 하고 수심측정고무에 기억시킵니다.

아주중요한 부분입니다.
여러번투척을해서 수심을 정확히 측정을 해야 원하는 운용을 할 수 있습니다.
당연히 2개의 아래위 찌스톱퍼외에 추가로 수심측정고무인 최상단 멈춤고무를 하나 더 채비하시는것은 필수겠죠.

4. 기억된 수심측정고무를 기준으로, 맞춤목+잔존부력 이상으로 찌톱을 일치시켜서 낚시를하시면 슬로프상태가됩니다.

예를들어 빈바늘 맞춤목 3목, 바늘뺀 노출목 5목이라면 잔존부력은 2목이되는것입니다.
그뒤 수심측정을 정확히하고, 수심측정고무와 찌톱을 5목이상으로 일치시켜서 낚시를 하시면 되는데..
찌톱을 5목보다 얼마만큼 더 길게 잡았느냐에 따라서 슬로프의 정도가 틀려지게됩니다.
만약 긴목줄이 30센티이고 맞춤목+잔존부력인 5목보다 10센티 찌톱을 더 잡아주시면 홀더(봉돌)은 바닥에서 20센티 떠있게되고,
10센티만큼 슬로프가 생기게되는것입니다.

가급적 목줄을 40센티정도로 길게잡아주시고 [맞춤목+잔존부력} 보다 20센티정도 충분히 더 노출시켜서 슬로프를 크게 만들어주어야,
입질이 훨씬 더 깨끗하고 좋아집니다.

이렇게 운용을 하게되면 찌높이는 [맞춤목+잔존부력] 인 5목이 노출이될것이고 이 5목은 슬로프의 정도에 상관없이 일정하게 유지가됩니다.
만약 찌높이가 5목보다 더 노출이된다면, 이것은 편납홀더가 바닥에 닿았다는 뜻이됩니다.

이렇게 낚시를 하시게되면 바람과 물의 흐름, 원줄이 물기를 머금으며서 쳐지게되는 현상 등으로 인해서 노출목이 조금씩 변동이 될수도 있는데..
수심측정만 정확히되었다면 이 부분은 무시하셔도 되는 부분입니다.

이해가 빠르신분들은 이미 아셨을수도있지만,더 쉽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빈바늘맞춤 대신 그냥 홀더만을 가지고 무바늘 맞춤을 하시는 방법인데, 훨씬 편하고 쉽습니다.
==> [맞춤목+잔존부력]이 바로 빈바늘 맞춤목과 동일한 목수이기 때문입니다.
무바늘 맞춤을 기준으로 수심을 측정한 후에 위와 똑같이, 다시말해 무바늘맞춤보다 찌톱높이를 더 잡아주시기만하면 슬로프상태로 운용이 가능합니다.
궂이 바늘의 잔존부력을 측정할 필요가 없어지는 것일 뿐더러, 조금더 정밀한 찌맞춤이 가능한 방법입니다.

목줄꼬임, 수초대안착등을 이유로 외바늘채비를 생각하시는분들이 많은데..
바닥층이 고르지않은 노지에서 그것도 다대편성을 하면서 정확한 수심측정과 찌맞춤을 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입니다.
어지간하면 그냥 쌍바늘채비를 쓰시길 권장드리고, 외바늘채비를 하시려면 위의 방법대로 꼼꼼하고 세밀하게 낚시를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그리고,수심측정에 의한 오차등을 줄이기위해서 가급적 목줄을 40~50센티정도로 길게 써주시는게 도움이 됩니다.
또한 찌맞춤도 채비가 물기를 충분히 머금은 상태에서, 수심에 가장근접하게 정밀하게 해주셔야합니다.

외바늘내림채비는..실제 낚시시에 아래바늘이 바닥에 놓여져있고 홀더를 비롯한 채비들은 그냥 자유롭게 떠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 상태는 마치 찌맞춤을할때 채비가 좌우로 실실 떠다니는것과 마찬가지인 상태가 됩니다.
따라서, 좌우로 채비가 떠다니면서 목줄이 땡겨져 슬로프가 아닌 사선으로 팽팽해진 상태가 될수도 있고, 이런 상태에서는 찌톱이 당연히 좀더 가라앉게 됩니다.

그래서, 가능한 착실히 원줄을 가라앉혀주는게 또한 중요하고, 찌톱이 어느정도 가라앉는것을 대비해서 찌맞춤시 찌톱을 넉넉히 잡고 맞춰주시는게 유리합니다.
(이미 말씀드린것처럼 원줄등의 채비가 밤새 물기를 머금고 쳐지게되면서도 찌톱은 조금씩 가라앉게됩니다. 바꿔서 말씀드리자면, 대류에 의해서 찌톱이 오르기도합니다.)

시간이 있으면 사진같은것을 함께 곁들이면 좋을텐데..
갑자기 생각이 들어 급하게 적어보았습니다.
아무쪼록 낚시하시는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즐거운 가을시즌 맞이하시길 바랍니다.
추천 12

1등! 경상도 10-09-03 17:15 IP : 46a0da491807605
자세한 설명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2등! 이칠 10-09-03 17:48 IP : ebdad9323e96a1b
항상 느끼지만 Aramis님의 글이 참 가슴에 와닿습니다. 좋은글인건 분명한데
당최 이해를 할 수 가 없네요. 쩝 요즘 회계공부 하고 있는데 그것 보다 더어려워요.
생업이라 모르면 안되니 이해가 되는건가요?

뭔내용인지는 모르겠지만 추천 한방 누르고 갑니다.

옥내림하시는 분들은 머리가 좋으신 분들인가 봅니다.
추천 0

3등! 천년의기다림 10-09-03 19:25 IP : cc34ec712e9ada6
좋은 정보 잘보고 갑니다!!
항상 안출하세요^^
추천 0

하나유통할인마트 10-09-03 20:48 IP : addd9d97cb45b11
자세하고 상세하게 잘 올려주셨네요^^
좋은 글 잘보고 갑니다..
초짜이지만 조금 부연설명을 드리자면
쌍바늘을 사용해서 목줄꼬임때문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분이나 옥수수 두알달기 귀찮으신분들은 외바늘을 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쌍바늘과 외바늘?
목줄꼬임과 빠른낚시(?) 바늘이 하나이기에 옥수수를 한번만 달면되는것.
이외에는 더 좋은점은 사실없습니다.
저는 터가센곳(배스터)에서는 쌍바늘 잔챙이 손맛과 찌맞을 보기위해서는 외바늘을 고집합니다.
물론 외바늘이 낚시를 할때는 편하기는하나 낚시하기전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줘야
실제로 낚시할때 그 편함을 유지할수 있습니다.
고생뒤에 낙이 오듯 외바늘로 하시려면 낚시전에 많이 고생해야 나중에(낚시할때) 편합니다^^
추천 0

2430 10-09-04 12:25 IP : 528780add781827
실제 외바늘 옥내림을 해 보면
목줄이 수직이건 슬러프를 주건
조과의 차이는 미미합니다.

많은 경험에서 드리는 말씀입니다.
추천 0

꺼이허이 10-09-04 14:07 IP : 62890ebc0482bb3
참고로 제 나름의 부언을 달자면..

1.바늘을 제외한 정상적인 채비로 투척 하여 목수 체크.
2.바늘을 채비한 후 투척하여 목수 체크.
3.대체로 1번 목수와 2번 목수 안에서 낚시를 하며 1번에 체크한 목수에 가까울수록 목줄에 슬러프를 줄수 있슴.

외바늘 내림(혹은 옥내림)은
바늘을 단상태와 달지않은 상태의 목수의 차이를 정확히 파악하여야 피곤한 낚시를 피할 수 있습니다.
대류등으로 찌가 흘러 피곤할 때는 바늘위 목줄 5~10cm정도와
찌 상단 멈춤고무와 초릿대와의 중간쯤의 원줄에 극소형 좁쌀봉돌을 물림으로서 조금은 극복할 수 있으며
이때의 어신형태는 주로 전통바닥낚시 형태의 찌올림이 많습니다.
외바늘 채비(전통바닥.내림.옥내림.중층포함)....
조금만 생각의 폭을 넓힌다면 아주 매력적인 낚시기법입니다...
추천 0

수초구멍치기 10-09-05 06:23 IP : fdb5b41d3a1b684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자연을낚자 10-09-05 11:36 IP : f186a3cd77d2df1
좋은정보는 정부인데 이렇게어려우니 낚시하기가 참힘들래요
추천 0

달인잔챙이 10-09-08 15:14 IP : de83c52c70ac0bb
항상느끼는거지만 Aramis님은 뭐하시는분일까요??
답글보면 프로꾼이거나 그러겠죠^^
부럽습니다.어떻게 그렇게 많이 아시는지
추천 0

일투이어 10-09-10 01:35 IP : 5dc4295d2c684c6
어떤 박사라는 사람이 책에다가 낚시하는 사람의 뇌가 가장 동물의 뇌와
가깝다고 끄적여 놨다는 소릴 들은적이 있습니다.
그 사람이 낚시를 좀 알면 그런 소리 할까 싶네요.
낚시! 하면 할 수록 어렵습니다.
Aramis님께 또 한 수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꾸벅-----
추천 0

코크로치 10-09-10 10:57 IP : 38a52a23cf14e75
윗글에 공감하며 참고해서 더욱 편하게 하려면...
무바늘 맟춤 7목정도 한다음 바늘을 달아보면 바늘무게만큼 목수가 잠기겠죠
그뒤 고무찰흙으로 수심을잡고 낚시를 시작할때 7목이상 즉 9목을 내놓으면 두목의 슬러프가 생긴겁니다
예를들어 11목짜리 찌 에 7목 무바늘 맞춤을 하고 10목을 수심채크 고무에 맞추면 3목의길이만큼 슬러프가 만들어집니다
단 외바늘 채비는 바닥이 일정하지 않으면 슬러프도 역시 변하게 됩니다
두바늘 채비는 단차가 있으므로 어느정도 커버를 할수있겠죠 ^^
추천 0

Aramis 10-09-13 18:58 IP : 3f7fa4149743f95
코크로치님께서 핵심만 다시한번 잘 말씀해주셨습니다...^^

달인잔챙이님을 비롯 댓글달아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풍성한 한가위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0

소쩍새우는밤 10-09-15 22:10 IP : 83f6442859aa8ff
저는 골치아파서 쌍바늘을 외바늘 처럼 사용합니다.

윗바늘의 길이를5cm 이하로 하고(덧바늘;입질을 받기위함이 아니고 부력 유지만)

아랫바늘 길이를 20~30cm으로 합니다.
추천 0

小湖强豪 10-09-27 11:28 IP : 5184a457301ed1f
좋은정보 감사히 배우고갑니다.
추천 0

언덕 10-10-21 10:33 IP : e49ebb8ac4c8876
한수 배워볼까 하고 스크랩합니다 좋은강좌 감사합니다
추천 0

햇빛같은기쁨 10-11-27 22:35 IP : d85b7444ebd3145
수심만 정확하게 체크되면 남 한 번 던질 때 두 번 던질 수 있습니다. 입질 확실합니다. 어느 순간 들어오는 찌목이 있습니다. 그 목을 기억하면 재미있습니다.
추천 0

류군아 10-12-29 10:47 IP : 95792c1d11cc739
이해는 가는데.. 궁금한게 있습니다..

바늘을 뺸 상태에서. 찌마춤시에.

자기 스타일 대로 몇목 마춤할것인지 정하면 되는것인지요 .. ?
추천 0

eorka 11-05-22 23:18 IP : e7d5b880579651f
좋은 유익한 정보 감사 드립니다
추천 0

eorka 11-05-23 18:46 IP : 8cf78afabf5982e
금주에 다시 도전합니다...감사^^
추천 0

찔레꽃조사 11-08-07 08:17 IP : 1633ea79ef943bd
외바늘 할꺼면 차라리 수연채비로 하는게 어떨지요 해보니 훨씬 편하고 옥내림 할 필요성을 못느끼겠던데요.
추천 0

빈바늘만 11-09-16 20:10 IP : a2a34276edfb8c9
아... 옥내림을 정리해 주셨네요.
저같은 초보에게는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항상 안출하세요~
추천 0

율포리 11-10-29 06:02 IP : 79ace81a5dc0d99
정보감사합니다
추천 0

걸린넘만잡는다 12-02-20 19:01 IP : 4ddd8af8b62d163
감사합니다
추천 0

보현사랑 13-06-10 18:27 IP : 3e8d9a0dbe51d8c
배우고 갑니다.^^
추천 0

무릉 14-05-13 18:26 IP : c8a248ef3b6ca85
많이 배우내요 감사합니다
추천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