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Tip)

· 테크닉, 미끼운용, 용품, 역사, 문화 등 낚시 장르에 구애 없이 낚시와 관련된 모든 실용적 강좌나 TIP이 해당됩니다.

· 기존제품의 개조 또는 자작용품의 경우 나의낚시장비를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본인이 저작권을 가지는 게시물만 게시하여 주십시오.
· 질답 게시판이 아니오니 질문은 월척지식을 이용하십시오.
· 동영상은 동영상게시판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발열내의에 대해서

산붕어2 IP : a804b81f34faadd 날짜 : 2010-11-26 15:30 조회 : 23001 본문+댓글추천 : 0

겨울이 오면서 신문의 광고란과 홈쇼핑에서 발열기능의 여러 제품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쓰기만 해도 3-5도 체감온도 상승', '입기만 해도 체감온도 상승' 한다는 광고문구로 소비자를 유혹하고 있습니다.
정말 입기만하면 체온이 올라가는 기적의 발열 섬유가 새로 나왔는지 궁금하더군요.
최근 월척에서도 여러 회원분들이 발열 내의에 대해 질문을 하시기에 제 나름대로 발열내의에 대해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1. 일반적인 내복/내의----> 뭘 입던 체온은 올라갑니다!

먼저 일반적인 내복에 관해 잘 알려진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문가의 말에 따르면 겨울철에 내복을 입기만해도 체온이 2도 올라간다.
- 내복이 두터울수록 보온력이 좋다.(움직임은 둔하지만)
-공기를 단열재로 사용한 에어메리 내복이 오랫동안 인기를 끌고 있다.
-모 브랜드의 삼중메리아스 내의의 보온력은 강력하다.
-면을 사용한 내복은 따뜻하나 면이 수분(땀)을 오랫동안 품고있어 흡습/속건 기능이 나빠서
땀이 많은 사람 및 운동용으로는 부적당하다..... 이정도 입니다.

2. 기능성내의의 보온력은 좋은가? -----> 글쎄요....

여러 회원분들이 댓글에서 대안으로 제시하는 등산용(아웃도어용, 운동용) 기능성 내복에 대해서 몇가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등산용 기능성 내의의 주된 기능은 피부의 땀을 빨리 흡착해내어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며,
다른 의류와 결합하여 어느정도의 보온성을 추가로 제공합니다.
예외적으로 보온력을 극대화한 브린제 악틱의 경우, 울로 만들어져서 보온력이 강력합니다만, 특정 용도에 한정된
제품입니다. 브린제 회사에서도 보온력에 중점을 둔다면 브린제 스프린터에 클래식을 덧입기를 권장합니다.

-등산은 땀을 흘리는 운동이고, 이런 땀을 피부로 부터 빨리 제거하여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운동시 보온의 기본 원리이기 때문에 기능성 내의는 예상만큼 우수한 보온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흡습/속건이 주기능입니다)
따라서 등산용 기능성 내의는 일반 내의보다 보온력 측면에서 훨씬 떨어집니다.


3. 발열내의는 새로운 제품인가? --> 오래전에 출시되었다 시장 진입에 실패했던 제품.

등산이 대중화된 IMF 이후, 아웃도어 브랜드 및 골프웨어 브랜드에서
일본 제품인 엑스(eks), 써모기어(Thermogear)등의 발열원사를 이용한 내의, 티셔츠등의
제품을 출시했지만, 소비자의 외면을 받아 새로운 시장 창출에 실패했었습니다.

허나, 최근 폭팔적으로 팽창한 기능성 의류시장의 호황에 힘입어
국내에서 개발한 발열 원사를 사용한 제품 및 일본산 원사를 사용한 제품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습니다.

(골프웨어 브랜드에서 나오는 여러가지 발열내의, 코오롱스포츠의 히텍스(중고가),
유니클로의 히트테크 발열 내의 19900원, 이랜드의 Spao 웜히트 내의 9900원, 이마트 자체 브랜드제품에 이르기까지 제품의
종류가 정말 많습니다!)

4. 발열내의의 작동 원리--> 합성섬유에 발열 화학물질을 중합하여 만듬, 첨단 섬유라고 생각하지 맙시다..

발열내의의 발열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섬유와 피부의 마찰에 의해 열을 발생하는 방식.
- 체내에서 발산되는 땀을 이용해서 섬유가 자체적으로 열을 내는 방식.
- 두가지 모두 합성섬유에 발열 화학물질을 중합하여 만듬

- 발산된 수증기와 액체상태의 땀을 흡수할 때 섬유조직이 팽창하면서 열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의류에 적용.

- 화학섬유 중 발열과 관련된 화학섬유는 대부분 아크릴이며, 아크릴은 보온성은 뛰어나나 보플이 많이
발생하며, 속건기능도 떨어집니다. 정전기가 발생하며,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 섬유 유연제를 사용하면
원사의 표면이 코팅이 되어 기능성이 현저히 떨어지게 됩니다.

5. 발열내의에 대한 개인적 느낌:
개인적으로 엑스(eks) 제품을 두가지 사용하고 있는데,
땀을 조금 흘려야 발열이 된다는 느낌을 받았지만, 이 점 역시 제 주관적인 느낌이기에
확실하지는 않습니다.

어쨌던 발열내의는 그 동작 원리상,

움직임이 크고 활동량이 많은 사람이나 겨울철 스포츠에 사용해야 효과를 볼 것 같습니다.
다만, 땀이 발생해야 발열을 하므로 땀이 적게 나는 사람에게는 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어떤 제품이 제일 우수한지 여부가 우리들의 관심사이지만, 유감스럽게도 우리나라에서
이런 기능성 제품을 비교/분석해 주는 기관/단체가 없어서 소비자가 제품을 구입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정보를 찾기가 어렵더군요.

- 발열 자체보다도 내의로서 편하게 입기위해서는 봉제방식, 디자인, 라벨등의 위치(의류 바깥쪽)
등에 주의해서 제품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가능한 한 몸에 딱 맞게 입으셔야 보온력과
속건기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추기로 입는 보온의류는 공기를 많이 함유하는 플리스류나
울 제품이 바람직할 것 같습니다.

6. 대안은? --> 많이 있습니다. 따뜻한 내의로도 충분할 겁니다.

발열이 아닌 축열의 개념을 지닌 아웃라스트 소재의 제품도 시장에 출시된지 꽤 오래되었고,
낚시용 의류의 선전문구에서는 나사(NASA)를 언급하며, 마치 최첨단 섬유인양 과장광고를
하고있습니다만, 나름 대로 보온용 내의로 활용이 가능한 제품이 여럿 있습니다.
속건성은 떨어지지만(아크릴원사를 사용하므로), 보온력은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아웃라스트로 만든 내의 상의 몇 벌, 장갑 몇 벌, 두터운 셔츠 등의 제품을 입어본 경험치 입니다.
다만, 이 제품들 역시 발열내의 처럼 가격이 만만치 않다는 점이 문제이므로,
50% 이상 할인 판매를 할 때 구입해서 테스트 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군요.
다만,

온도조절기능이 있다는 광고 문구에 현옥되어 여름철에 입지 않도록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여름철에 입으면 몸에 땀띠가 나는 불상사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지금은 무료분양해서 없지만, 아이더의 아웃라스트 긴팔 집티가 제가 늦가을부터
낚시할 때 내의로 입던 제품이었습니다. 낚시에는 딱 좋은 제품이었지요.

요즈음부터 한 겨울 내내 제가 일상용 내의로 입는 옷이 반팔 아웃라스트 티와 몽벨의
지오라인 3D 티셔츠 입니다. 따뜻하다는 점에 한 표 던집니다.

7. 마치며

어떤 보온의류를 선택할 것인가, 그리고 보온의류의 효과가 어떨 것인가에 대해서는
사람마다 모두 다르기 때문에 특정 제품을 권하거나, 언급하기가 쉽지않습니다.
발열내의의 선택 역시 비슷합니다.
더구나 기대치가 높다면 실망도 클 것 같습니다.

[내용추가]
제가 구입해서 사용해본 보온용 기능성 내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닭뼈다귀표 Rho LT Zip
2. eider outlast zip neck, eks 내의(발열/하의)
3. Duofold Veritherm Zip nect, Hydroconduct Crew
4. Phenix Outlast Zip Neck
5. Montbell Zioline 3D crew
6. 레드페이스 eks 집티(발열)
7. 미군 혹한기 내의(상하의)
8. 동보(El Cap) Coolmax Alta Crew
추천 16

1등! 스퐁이 10-11-26 15:33 IP : 2ed586ac97917b3
잘보고 갑니다.

좋은말씀감사합니다.

하나사달라구할까나...ㅎㅎ;;;

참...그리고 일전에 책 감사합니다!!열심히 정리 해놓았습니다 고맙습니다.
추천 0

2등! 피붕 10-11-26 15:52 IP : cd28203d811c1e9
좋은정보 잘보고 갑니다.
추천 0

3등! 낙사모 10-11-26 16:37 IP : 8763574c1614e7d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추천 0

빼장군 10-11-26 16:53 IP : 1eedf46094829b3
아주 좋은 경험과 정보입니다.

근본적으로 몸에 열이많은 체질이라 뚜꺼운 면소재와 기모노 제품은 몸에 맞지가 않더군요.

땀이 흘러서 젖어 버리면 우째 방법이 없더군요.찝찝합니다.

그래서 고기능성 제품을 찾게되구요.

수고했습니다.
추천 0

天沚朋漁 10-11-26 23:46 IP : 10eafa1da38a248
발열내복 하나 구입할라 했더니 사이즈가 105까지 밖에 없더군요..ㅜ

110은 생산안합니까..?햇더니 상담원~~뚱뚱한 사람은 열 많아 잘안팔린다나요..ㅎㅎ

그래 사이즈 맞는게 없어 안입어요^^~!
추천 0

은둔자2 10-11-27 10:04 IP : dbb9a04b6e92fe4
저도 같은 생각으로 구매하고 싶은 마음을 누루고 있었는데
정확한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산붕어2 10-11-27 10:54 IP : a804b81f34faadd
댓글 달아주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혹, 발열내의를 구입하려는 분들을 위한 조언을 드린다면,

- 섬유혼용율(내의 안쪽에 달려있는 택을 보시기 바랍니다)을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예를 들어, 유니클로의 히트테크 발열내의는

아크릴: 39%, 폴리에스터:33%, 레이온: 20%, 우레탄:8% 의 혼용율을 보입니다.

이 중 아크릴이 발열을 담당하는 부분이고,
폴리에스터는 땀을 흡착, 배출하는 부분,
레이온: 보온
우레탄(혹은 라이크라): 신축성을 주기 위함 입니다.

추위를 많이타는 분은 아크릴과 레이온 성분이 많은 제품을...
땀이 많이 나는 분은 폴리에스터 성분이 많은 제품을 선택하면 됩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eks 집티는 폴리에스터 91%, 아크릴:9% 의 무늬만 발열인 제품입니다.
폴리우레탄(라이크라) 성분이 없어서 신축성은 별로 없습니다.

그래서인지 흡습/속건 기능은 뛰어납니다.

그리고 발열섬유를 섞어서 만든 터틀넥 제품도 판매가 되고 있더군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천 0

★투투★ 10-11-27 11:02 IP : f8b226d20ba43b3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죽간어옹 10-11-27 15:52 IP : 5d24b9c4e64a217
발열내의 에대해 궁금했는데 많은 도움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지름이 10-11-27 17:41 IP : 16cac67bd1d6d0b
음... 그렇다면요.... 산붕어2님이 생각하시기에 움직임이 현저히 적은 낚시용 내의로는 반팔 아웃라스트 티와 몽벨의
지오라인 3D 티셔츠 요 두가지 제품이 가장 좋다는 말씀이신가요?
일단 원리는 알겠고 어떤 소재로 되어있는 옷을 사야한다는것은 알겠는데 일일이 모든 내의제품의 택을 보며 맞는제품을 찾는다는게 쉽지 않을것 같아서요.. ^^
왠만하면 추천해주시는제품을 함 볼까하는데요...
낚시용 내의 몇가지만 추천 부탁합니다...
추천 0

노타치 10-11-27 19:18 IP : 7eb47f9b8f4a589
많은 도움이 됬습니다..추천 드립니다 ^^
추천 0

햇빛같은기쁨 10-11-27 22:22 IP : d85b7444ebd3145
젖어도 보온력이 유지되는 소재는 울입니다. 단점은 보푸라기가 일어나서 2~3년 입으면 처음 살 때보다 보온력이 많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지요.
추천 0

붕어와춤을 10-11-28 13:23 IP : 40f40835b31b66e
역시 과학입니다.

조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슬램이글 10-11-28 18:51 IP : d3072ed191230fb
정말 도움이 많이 되는 좋은 정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추천 0

산붕어2 10-11-29 10:31 IP : a804b81f34faadd
지름이님께//

아웃라스트 티 가격(정상가)도 브랜드에 따라 천태만상입니다. 가격에 거품이 많이 있습니다.
할인행사때 구입하시기를 바라며, 아크릴:폴리에스터의 비율이 50:50 인 제품이 따뜻하고
흡습기능도 괜찮습니다. 몽벨의 지오라인 제품은 예전부터 기능성 내의로 나름대로 알려진 제품이며
내복 전용으로 나오는 제품은 가격이 상당하다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네요.

제일 좋은 소재는 햇빛같은기쁨님이 언급한 울이 맞습니다.
기능성 내의로 유명한 브린제 제품이 울+메라클론을 섞어서 만든 제품입니다.
추천 0

kiki9800 10-11-29 11:13 IP : 0436af988473b96
구입하려 고민중인데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수성21 10-11-29 17:01 IP : 6d780a6da6951b6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드립니다.
추천 0

3미리낚시인생 10-12-01 10:41 IP : 9b7dd38de464c6b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예 저두 스포츠 신문상에 나오는 광고보고 올초 상의(흰색)만 구입 출조시
입고 있습니다. 처음 내의 위에 입은 느낌은 따뜻한 느낌이 없고
좀 더 추운 느낌이 들어 내의입고 내복입고 그 위에 입으니 체감 추위는 들 느낌 정도입니다.
참고 하세요.
추천 0

붕어구신 10-12-01 11:54 IP : 58d2688e5a49bd7
발열내의도 잘알아 보고 사야 겠네요 감사합니다
추천 0

낚시꾼아빠 10-12-01 13:52 IP : edf292df3be4ced
덕분에 발열내의 너를 알고 싶다! 시원하게 해결했습니다.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유니클로 터틀넥 사서 입어보니깐 얇은게 따듯한 느낌을 주기는 하더군요.
추천 0

두바늘 10-12-01 16:54 IP : 3b1bf2ecbc5d0c4
좋은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하얀칠판 10-12-07 16:09 IP : 877efb86edce41b
정보 감사 합니다... 덕분에 많은 지식을 얻고 갑니다.
추천 0

지름이 10-12-08 00:28 IP : d8c138f3468bc4b
산붕어2님 감사합니다...
근데요.. 어떤걸 사라고 하시는건지 잘모르겠어요..ㅠ.ㅠ
제가 직접 내복사러가서 택을 보고 울50% 메라클론 50% 짜리를 사면 된다는거죠??
그냥 어디 브렌드니 모 이런거 상관없이...
맞나요? ㅜ.ㅜ
추천 0

서독 10-12-08 10:08 IP : 79805915c8e95c3
대단한 분석력을 보이십니다.
마치 보온내의 전문가의 글 같이 느껴질 정도입니다.
"월척"에서 이런 글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은 분명 행운입니다.
앞으로도 낚시와 관련된 좋은 정보를 많이 올려주시길 기대해 봅니다.
추천 0

늘초보 10-12-10 08:57 IP : edfa04db0e6d13f
정보공유 감사드립니다.
정성이 담긴 글 잘 읽었습니다.
추천 0

산붕어2 10-12-14 18:40 IP : 929c297d89961a8
오늘 자게판을 보니, 발열내의에 관해서 어제 9시 뉴스에 방송이 나왔다는 글이 있어서 그 곳에
아래와 같은 댓글을 달았습니다.
==============================================================================================

신체 내부온도는 36.5도이고 피부표면 온도는 34도가 정상입니다.

발열내의가 열을 발산하게되면(자기네 주장대로 3-4도 올라가면) 피부온도는 37도 이상이 됩니다.

깜짝놀란 피부는 열을 식히기 위해 땀을 배출하기 시작할 것이고 34도가 될 때까지 열심히 땀을 배출하게 됩니다.

이 땀이 증발하면서 피부는 서늘한 느낌을 받을 것이고요.

이 땀에 반응한 발열내의는 또 열을 발산할 것이고, 이에 놀란 피부는 다시 땀을 배출할 겁니다.

이런 순환이 반복될 것 같습니다. 피부 표면 온도가 34도가 될 때까지 입니다.

기능성 의류를 좋아하지만, 제 짧은 지식으로는 발열내의는 효과 없다에 백만한표 입니다.


기능성 내의로 유명한 제품들은 보온성이 뛰어나서 유명한 것이 아닙니다. 피부의 땀을 신속히 흡수해서
피부 바깥으로 배출하기 때문에 기화열을 뺏기지 않아 춥지 않게 느끼는 겁니다.

피부에 바로 접촉하는 베이스레이어인 기능성 내의는 주된 기능은 보온이 아닌 흡습/속건 기능입니다.
추천 0

터프맨 10-12-23 17:20 IP : 5431bb4c1653e90
몆일전 9시뉴스에 나왔습니다
별효과 없다고
추천 0

어이임씨 11-01-10 09:55 IP : 2000ebbc356cbcc
오늘 많은걸 보고 가는데요 저도 발열내의는 구매충동이 전혀 일어나지 않더라고요
저같은 경우에는 위에 나열하신 제품군중에 플리스 의류가 보온성이 가장 좋은듯 합니다 가볍고 신축성 소재가 들어가 있으면
움직임까지 좋으니까요 몇몇 고가의 제품을 많이 입어봤지만 썩 효과는 못본거 같습니다
좋은정보 감사 드립니다
추천 0

훗으으응 11-02-25 11:59 IP : a2710f07dcd0760
역시 과학입니다.

조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

꿈꾸는어부 11-12-02 22:01 IP : 697ed3e670c036e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추천 0